거문고
3D
- 제공기관
-
- · 촬영연도 : 2017
- · 촬영기관 : 국립국악원
- · 소장기관 : 국립국악원 바로가기
- 공공누리 유형
-
국립국악원이(가) 보유한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1유형: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 저작물 정보
- 349.67 MB
- 저작물 설명
-
거문고의 형태를 그대로 활용하여 관광기념품이나 전시와 관련된 복제품으로 사용할 수 있다. 거문고는 고구려에서 시작된 오랜 전통의 악기로 자체의 모습을 통해서도 우리나라 악기의 아름다움을 확인하고 느낄 수 있음이다. 기념품이나 복제품을 통해서 국악기에 대한 인식을 높일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다.거문고는 우리나라 대표적인 현악기이다. 거문고는 궁중 음악과 선비들의 풍류방 음악의 악기로, 전문 연주가의 독주 악기로 전승되었다. 오른손에는 대나무로 만든 술대를 쥐고 현을 뜯어서 소리를 내고, 왼손은 공명통 위에 고정된 괘를 집어 음정을 얻는다. 『삼국사기』에 의하면 고구려의 재상 왕산악이 거문고를 만들었다고 전한다. 또한 무용총을 비롯한 고구려 고분벽화에 거문고와 유사한 모습이 확인된다. 거문고는 고구려의 대표적인 악기였다. 고구려에서 발생한 거문고는 통일신라에 전해져 신기(神器)로 보전되다가 옥보고(玉寶高), 속명득(續命得), 귀금(貴金), 이찬(伊飡), 윤흥(允興), 안장(安長), 청장(淸長), 극상(克相), 극종(克宗) 등에게 전수되어 민간에 널리 퍼졌다고 한다. 거문고는 신라의 삼현삼죽(三絃三竹)의 하나로 향악 발전에 크게 공헌했다. 조선시대 거문고는 궁중에서보다 민간에서 더욱 발전되었다. 조선 후기에 이르면 거문고는 일부 양반들과 중인계층에 수용되어 선비들의 필수품의 하나로 여겨졌다. 이들은 거문고를 연주함으로써 정신을 수양하고 다스리고자 했다. 선비들에 의해 많은 거문고 악보가 만들어졌고, 현재까지 전하는 고악보의 대부분은 바로 이 시기에 만들어진 것이다. 20세기 초반 거문고는 거문고 음악의 역사상 아주 색다른 변화를 겪는다. 백낙준(1884~1933)에 의해 풍류 악기가 산조 연주를 시도하게 된 것이다. 거문고풍류에 익숙한 청중들은 백낙준의 거문고 산조를 달가워하지 않았다고 한다. 그러나 오히려 산조를 통해 거문고의 새로운 매력을 발산하게 되었다. 백낙준 이후 백석기, 신쾌동, 한갑득, 김윤덕, 원광호 등 자유롭고 개성 있는 산조 유파가 형성되었다.
저작물 설명거문고의 형태를 그대로 활용하여 관광기념품이나 전시와 관련된 복제품으로 사용할 수 있다. 거문고는 고구려에서 시작된 오랜 전통의 악기로 자체의 모습을 통해서도 우리나라 악기의 아름다움을 확인하고 느낄 수 있음이다. 기념품이나 복제품을 통해서 국악기에 대한 인식을 높일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다.거문고는 우리나라 대표적인 현악기이다. 거문고는 궁중 음악과 선비들의 풍류방 음악의 악기로, 전문 연주가의 독주 악기로 전승되었다. 오른손에는 대나무로 만든 술대를 쥐고 현을 뜯어서 소리를 내고, 왼손은 공명통 위에 고정된 괘를 집어 음정을 얻는다. 『삼국사기』에 의하면 고구려의 재상 왕산악이 거문고를 만들었다고 전한다. 또한 무용총을 비롯한 고구려 고분벽화에 거문고와 유사한 모습이 확인된다. 거문고는 고구려의 대표적인 악기였다. 고구려에서 발생한 거문고는 통일신라에 전해져 신기(神器)로 보전되다가 옥보고(玉寶高), 속명득(續命得), 귀금(貴金), 이찬(伊飡), 윤흥(允興), 안장(安長), 청장(淸長), 극상(克相), 극종(克宗) 등에게 전수되어 민간에 널리 퍼졌다고 한다. 거문고는 신라의 삼현삼죽(三絃三竹)의 하나로 향악 발전에 크게 공헌했다. 조선시대 거문고는 궁중에서보다 민간에서 더욱 발전되었다. 조선 후기에 이르면 거문고는 일부 양반들과 중인계층에 수용되어 선비들의 필수품의 하나로 여겨졌다. 이들은 거문고를 연주함으로써 정신을 수양하고 다스리고자 했다. 선비들에 의해 많은 거문고 악보가 만들어졌고, 현재까지 전하는 고악보의 대부분은 바로 이 시기에 만들어진 것이다. 20세기 초반 거문고는 거문고 음악의 역사상 아주 색다른 변화를 겪는다. 백낙준(1884~1933)에 의해 풍류 악기가 산조 연주를 시도하게 된 것이다. 거문고풍류에 익숙한 청중들은 백낙준의 거문고 산조를 달가워하지 않았다고 한다. 그러나 오히려 산조를 통해 거문고의 새로운 매력을 발산하게 되었다. 백낙준 이후 백석기, 신쾌동, 한갑득, 김윤덕, 원광호 등 자유롭고 개성 있는 산조 유파가 형성되었다.
- 다운로드
-
※ 3D 뷰어는 익스플로러에서는 재생되지 않습니다. 컴퓨터 사양에 따라 3D 뷰어 이용 및 고화질 대용량(20~30MB/장)사진 다운로드에 다소 시간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출처표시 예시
- 예시
01 -
본 저작물은 OOO(기관명)에서 OO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유형번호]유형으로 개방한 저작물명(작성자:OOO)을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OOO(기관명), OOO(홈페이지 주소)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위 내용은 예시이므로 작성연도 및 해당 기관명과 홈페이지 주소, 작성자명 기입
- 예시
02 -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유형번호]유형에 따라 [기관명(사이트 URL), 작성자:OOO]의 공공저작물을 이용하였습니다.
- 예시
03 -
* 출처 -[기관명], [사이트명(사이트상세 URL)]
유의사항
1. 온·오프라인 상에 공유 및 이용 : 온·오프라인을 통하여 공유 및 이용 가능
2. 저작물 변경 : 2차적 저작물로 변경하여 이용 가능
3. 이 저작물은 영리 목적으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물 사용 조건>- 출처 표시 : 저작물의 출처를 표시하셔야 합니다.
공공기관이 후원 한다고 하거나 공공기관과 특수한 관계에 있는 것처럼 제 3자가 오인하게 하는 표시를 해서는 안됩니다.
< 알아야 할 사항 >I. 이용조건의 표시 및 변경
1. 이용자가 공공누리 저작물 활용 시 출처표시를 꼭 해 주셔야 합니다.
2. 공공누리 저작물의 이용조건은 변경될 수 있습니다.
다만 이용자가 이용조건 변경 전 사용하셨다면 해당저작물 한해 용도변경 없이 계속 이용할 수 있습니다.
II. 이용조건의 위반1. 이용자가 공공누리 이용조건을 위반할 경우 그 즉시 이용허락이 종료됩니다.
2. 이용자가 이용조건 위반 후 지속적으로 공공저작물을 이용할 경우 저작권 침해가 성립되므로 형사상, 민사상 책임을 부담 하실 수 있습니다.
원본신청안내 및 개인정보 수집동의
고품질 공공저작물 원본 신청
공공누리에서 제공하는 공공저작물 중 공공누리 1유형은 출처표시만 한다면 영리, 비영리 목적으로 모두 활용 가능하며 개작 등 2차 변형이 가능하도록 무료로 개방하고 있습니다. 다만, 원활한 저작물 제공과 관리를 위해 아래와 같이 원본 이용 신청을 받고 있습니다.
원본 신청 파일 수령 안내
한국문화정보원에서는 공공저작물 원본 파일을 방문수령 또는 저장장치 배송을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원본 신청 접수 완료 후 상세 수령 절차는 기입하신 이메일을 통해 안내 드립니다.
* 1일 이내 안내메일 발송(주말제외)
* 원본 저장 장치(USB, 외장하드 등)를 사전에 준비하셔야 하며 왕복 택배비는 신청자 부담입니다.
개인정보이용 동의 안내
한국문화정보원에서는 공공저작물 원본 관리 및 전달 등과 관련하여 귀하의 개인정보를 아래와 같이 수집하고자 합니다. 다음의 사항에 대해 충분히 읽어 보신 후, 동의 여부를 체크, 서명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개인정보 수집항목
- 기 업 : 기업명, 소속/부서
- 담 당 자 : 성명, 이메일 주소
- 일반 국민 : 성명, 이메일 주소
* 개인정보 수집목적
- 이용허가 및 저작권 이용관리
보유기간 : 수집된 정보는 3년간 보존하며, 수집된 정보는 수집 목적 이외의 다른 목적으로 사용되지 않습니다.
위의 개인정보 수집에 대한 동의를 거부할 권리가 있습니다. 그러나 동의를 거부할 경우 원활한 저작권 이용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