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 지산동 고분군 세계유산등재 홍보 영상
영상
- 제공기관
-
- · 촬영연도 : 2023
- · 촬영기관 : 경상북도 고령군
- · 소장기관 : 경상북도 고령군
- 공공누리 유형
-
경상북도 고령군이(가) 보유한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2유형: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 저작물 설명
-
고령 지산동 고분군 세계유산등재 기념 홍보영상 대본/시놉시스/설명 00:01 고령 지산동 고분군
00:06 세계가 인정한 자랑스러운 대한민국의 유산
00:09 한국의 고대 정치체 가야의 실체를 증명하는
00:13 가야고분군이 우리나라 16번째 세계유산에 등재되었습니다
00:19 주변국과 공존하면서 자율적이고 수평적인
00:22 (대성동고분군, 말이산고분군, 옥전고분군, 0송학동고분군, 교동과 송현동고분군) 독특한 체계를 유지해 온 가야고분군
00:26 조선시대 지리서인 신증동국여지승람에는
00:31 고령 지산동 고분군에 대한 최초의 기록이 남아 있습니다.
00:36 (지산동 고분군, 경상북도 고령군, AD 5~6C 대가야 최고지배층의 무덤군) 고령 지산동 고분군은 크고 작은 봉토분 약 700 여기로 조성된
00:40 대가야의 위상을 높여줄 가야 최대 규모의 고분군입니다
00:45 찬란했던 대가야의 문화를 담은 유물인
00:48 보물 2018호 금동관
00:51 무사의 기상을 드러낸 갑옷과 투구
00:54 화려한 장식의 고리자루큰칼
00:57 풍만한 곡선미의 대가야토기
01:00 해양 교역의 증거 야광조개국자 등
01:03 지산동 고분군에서 출토된 다양한 유물들은
01:06 대가야의 뛰어난 기술력은 물론
01:09 교역 활동이 활발했음을 증명하고 있습니다
01:12 지산동 고분군은 가야고분의 무덤구조를 대표하는
01:16 구덩식돌덧널로 축조되었고
01:18 계세사상이 반영된 순장문화를 통해
01:21 대가야만의 역사적, 문화적 정체성을 담아내고 있습니다
01:25 일제에 의한 발굴이라는 아쉬움을 딛고
01:28 해방 이후 우리 손에 의한 가야고분군의 발굴과 연구를 통해
01:33 가야시대 역사와 문화를 밝히는데 독보적, 중추적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01:39 고령 지산동 고분군은 지역민의 자긍심이자
01:43 수호 정신을 일깨워줄 소중한 유산입니다
01:47 대가야의 역사와 문화를 오롯이 품은 고령 지산동 고분군의 세계유산적 가치는
01:52 그 무엇과도 비교할 수 없습니다
01:56 고령군은 이제 대한민국 대표 역사문화도시를 넘어
02:00 글로벌 세계유산도시로 한걸음 더 나아갈 것입니다
02:04 가야문화의 위엄을 드높일 대한민국 16번째 유네스코 세계유산
02:09 가야고분군
02:12 고령군이 그 중심에서 함께하겠습니다
저작물 설명고령 지산동 고분군 세계유산등재 기념 홍보영상
대본/시놉시스/설명 00:01 고령 지산동 고분군
00:06 세계가 인정한 자랑스러운 대한민국의 유산
00:09 한국의 고대 정치체 가야의 실체를 증명하는
00:13 가야고분군이 우리나라 16번째 세계유산에 등재되었습니다
00:19 주변국과 공존하면서 자율적이고 수평적인
00:22 (대성동고분군, 말이산고분군, 옥전고분군, 0송학동고분군, 교동과 송현동고분군) 독특한 체계를 유지해 온 가야고분군
00:26 조선시대 지리서인 신증동국여지승람에는
00:31 고령 지산동 고분군에 대한 최초의 기록이 남아 있습니다.
00:36 (지산동 고분군, 경상북도 고령군, AD 5~6C 대가야 최고지배층의 무덤군) 고령 지산동 고분군은 크고 작은 봉토분 약 700 여기로 조성된
00:40 대가야의 위상을 높여줄 가야 최대 규모의 고분군입니다
00:45 찬란했던 대가야의 문화를 담은 유물인
00:48 보물 2018호 금동관
00:51 무사의 기상을 드러낸 갑옷과 투구
00:54 화려한 장식의 고리자루큰칼
00:57 풍만한 곡선미의 대가야토기
01:00 해양 교역의 증거 야광조개국자 등
01:03 지산동 고분군에서 출토된 다양한 유물들은
01:06 대가야의 뛰어난 기술력은 물론
01:09 교역 활동이 활발했음을 증명하고 있습니다
01:12 지산동 고분군은 가야고분의 무덤구조를 대표하는
01:16 구덩식돌덧널로 축조되었고
01:18 계세사상이 반영된 순장문화를 통해
01:21 대가야만의 역사적, 문화적 정체성을 담아내고 있습니다
01:25 일제에 의한 발굴이라는 아쉬움을 딛고
01:28 해방 이후 우리 손에 의한 가야고분군의 발굴과 연구를 통해
01:33 가야시대 역사와 문화를 밝히는데 독보적, 중추적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01:39 고령 지산동 고분군은 지역민의 자긍심이자
01:43 수호 정신을 일깨워줄 소중한 유산입니다
01:47 대가야의 역사와 문화를 오롯이 품은 고령 지산동 고분군의 세계유산적 가치는
01:52 그 무엇과도 비교할 수 없습니다
01:56 고령군은 이제 대한민국 대표 역사문화도시를 넘어
02:00 글로벌 세계유산도시로 한걸음 더 나아갈 것입니다
02:04 가야문화의 위엄을 드높일 대한민국 16번째 유네스코 세계유산
02:09 가야고분군
02:12 고령군이 그 중심에서 함께하겠습니다
- 다운로드
-
※ 고화질의 대용량(1G) 동영상의 경우 다운로드에 다소 시간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출처표시 예시
- 예시
01 -
본 저작물은 OOO(기관명)에서 OO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유형번호]유형으로 개방한 저작물명(작성자:OOO)을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OOO(기관명), OOO(홈페이지 주소)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위 내용은 예시이므로 작성연도 및 해당 기관명과 홈페이지 주소, 작성자명 기입
- 예시
02 -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유형번호]유형에 따라 [기관명(사이트 URL), 작성자:OOO]의 공공저작물을 이용하였습니다.
- 예시
03 -
* 출처 -[기관명], [사이트명(사이트상세 URL)]
유의사항
1. 온·오프라인 상에 공유 및 이용 : 온·오프라인을 통하여 공유 및 이용 가능
2. 저작물 변경 : 2차적 저작물로 변경하여 이용 가능
<저작물 사용 조건>- 출처 표시 : 저작물의 출처를 표시하셔야 합니다.
공공기관이 후원 한다고 하거나 공공기관과 특수한 관계에 있는 것처럼 제 3자가 오인하게 하는 표시를 해서는 안됩니다.
- 상업적 이용금지 : 비영리 목적으로만 저작물을 이용하셔야 합니다. 다만, 별도의 이용허락을 받아 공공저작물을 상업적으로 이용하는 것은 가능합니다.
< 알아야 할 사항 >I. 이용조건의 표시 및 변경
1. 이용자가 공공누리 저작물 활용 시 출처표시를 꼭 해 주셔야 합니다.
2. 공공누리 저작물의 이용조건은 변경될 수 있습니다.
다만 이용자가 이용조건 변경 전 사용하셨다면 해당저작물 한해 용도변경 없이 계속 이용할 수 있습니다.
II. 이용조건의 위반1. 이용자가 공공누리 이용조건을 위반할 경우 그 즉시 이용허락이 종료됩니다.
2. 이용자가 이용조건 위반 후 지속적으로 공공저작물을 이용할 경우 저작권 침해가 성립되므로 형사상, 민사상 책임을 부담 하실 수 있습니다.
원본신청안내 및 개인정보 수집동의
고품질 공공저작물 원본 신청
공공누리에서 제공하는 공공저작물 중 공공누리 1유형은 출처표시만 한다면 영리, 비영리 목적으로 모두 활용 가능하며 개작 등 2차 변형이 가능하도록 무료로 개방하고 있습니다. 다만, 원활한 저작물 제공과 관리를 위해 아래와 같이 원본 이용 신청을 받고 있습니다.
원본 신청 파일 수령 안내
한국문화정보원에서는 공공저작물 원본 파일을 방문수령 또는 저장장치 배송을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원본 신청 접수 완료 후 상세 수령 절차는 기입하신 이메일을 통해 안내 드립니다.
* 1일 이내 안내메일 발송(주말제외)
* 원본 저장 장치(USB, 외장하드 등)를 사전에 준비하셔야 하며 왕복 택배비는 신청자 부담입니다.
개인정보이용 동의 안내
한국문화정보원에서는 공공저작물 원본 관리 및 전달 등과 관련하여 귀하의 개인정보를 아래와 같이 수집하고자 합니다. 다음의 사항에 대해 충분히 읽어 보신 후, 동의 여부를 체크, 서명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개인정보 수집항목
- 기 업 : 기업명, 소속/부서
- 담 당 자 : 성명, 이메일 주소
- 일반 국민 : 성명, 이메일 주소
* 개인정보 수집목적
- 이용허가 및 저작권 이용관리
보유기간 : 수집된 정보는 3년간 보존하며, 수집된 정보는 수집 목적 이외의 다른 목적으로 사용되지 않습니다.
위의 개인정보 수집에 대한 동의를 거부할 권리가 있습니다. 그러나 동의를 거부할 경우 원활한 저작권 이용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원본신청안내 및 개인정보 수집동의
공공누리 이용 약관 및 개인 정보이용 동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