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자 사자형뚜껑 향로(사진)_1향로
이미지
- 관련태그
- #국가유산청 #충남태안 #사진 #청자사자형뚜껑 향로 #4K
- 제공기관
-
- · 촬영연도 : 2024
- · 촬영기관 :
- · 소장기관 : 국가유산청
- 공공누리 유형
-
국가유산청이(가) 보유한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1유형: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 저작물 정보
- 저작물 설명
-
‘청자 사자형뚜껑 향로’는 사자형상을 한 뚜껑과 네 굽이 달린 받침으로 구성된 고려시대 향로로서, 각각 2점씩 한 세트를 이루며 모두 4점이다. 이 유물들은 2007~2008년 태안 대섬 앞바다에서 발견된 ‘태안선’에서 출수(出水)되었다. 태안선은 같이 인양된 ‘탐진(耽津)’, ‘최대경(崔大卿)’과 같은 목간을 통해 12세기 전반 강진에서 제작한 청자를 싣고 개경으로 가던 중 침몰한 선박이다. 이 선박에서는 약 25,000여점의 청자 및 여러 유물들이 출수되었으며, 지정 대상 ‘청자 사자형뚜껑 향로’ 역시 그 중 일부이다. 이 청자향로는 원형의 동체에 사자형 장식을 단 뚜껑이 세트를 이루고 있다. 향로뚜껑 위에 올려져 있는 사자는 앞다리를 세우고 위를 향해 치켜세워진 꼬리가 특징이다. 목에는 방울이 달려 있으며, 앞다리와 뒷다리 사이에는 보주(寶珠)를 끼고 있다. 전체적으로 몸통에 비해 사자의 얼굴이 큰 편이며 양옆으로 활짝 벌린 입, 이빨, 혓바닥 등이 세밀하게 표현되었고, 뒷면은 갈기가 그려져 투박하지만 사자의 형상을 모두 갖추고 있다. 다소 파격적이고 거칠게 표현된 사자의 형상은 고려청자에서 볼 수 없는 이례적인 모습이며, 고려인들의 또 다른 미적 취향을 보여주는 희귀한 자료라고 할 수 있다. 비록 도자기를 굽는 과정에서 몸통 일부가 정제되지 못했으나, 이는 상형청자의 제작방법이 그만큼 어렵다는 사실을 간접적으로 말해주는 또 하나의 증거이자, 1124년『선화봉사고려도경(宣和奉使高麗圖經)』에 설명된 유물로서 당시 고려청자가 중국 청자와의 대외교류를 통해 고유성을 확보했음을 보여주는 작품이다. ‘청자 사자형뚜껑 향로’는 제작사례가 많지 않는 희귀한 상형청자에 해당하는 작품으로, 발견 시기와 장소가 명확하고 투박한 표현으로 해학적인 조형미를 보여주는 매우 독특한 유물이다. 고려시대 청자 제작의 다양한 양상을 보여주는 작품이다.
저작물 설명‘청자 사자형뚜껑 향로’는 사자형상을 한 뚜껑과 네 굽이 달린 받침으로 구성된 고려시대 향로로서, 각각 2점씩 한 세트를 이루며 모두 4점이다. 이 유물들은 2007~2008년 태안 대섬 앞바다에서 발견된 ‘태안선’에서 출수(出水)되었다. 태안선은 같이 인양된 ‘탐진(耽津)’, ‘최대경(崔大卿)’과 같은 목간을 통해 12세기 전반 강진에서 제작한 청자를 싣고 개경으로 가던 중 침몰한 선박이다. 이 선박에서는 약 25,000여점의 청자 및 여러 유물들이 출수되었으며, 지정 대상 ‘청자 사자형뚜껑 향로’ 역시 그 중 일부이다. 이 청자향로는 원형의 동체에 사자형 장식을 단 뚜껑이 세트를 이루고 있다. 향로뚜껑 위에 올려져 있는 사자는 앞다리를 세우고 위를 향해 치켜세워진 꼬리가 특징이다. 목에는 방울이 달려 있으며, 앞다리와 뒷다리 사이에는 보주(寶珠)를 끼고 있다. 전체적으로 몸통에 비해 사자의 얼굴이 큰 편이며 양옆으로 활짝 벌린 입, 이빨, 혓바닥 등이 세밀하게 표현되었고, 뒷면은 갈기가 그려져 투박하지만 사자의 형상을 모두 갖추고 있다. 다소 파격적이고 거칠게 표현된 사자의 형상은 고려청자에서 볼 수 없는 이례적인 모습이며, 고려인들의 또 다른 미적 취향을 보여주는 희귀한 자료라고 할 수 있다. 비록 도자기를 굽는 과정에서 몸통 일부가 정제되지 못했으나, 이는 상형청자의 제작방법이 그만큼 어렵다는 사실을 간접적으로 말해주는 또 하나의 증거이자, 1124년『선화봉사고려도경(宣和奉使高麗圖經)』에 설명된 유물로서 당시 고려청자가 중국 청자와의 대외교류를 통해 고유성을 확보했음을 보여주는 작품이다. ‘청자 사자형뚜껑 향로’는 제작사례가 많지 않는 희귀한 상형청자에 해당하는 작품으로, 발견 시기와 장소가 명확하고 투박한 표현으로 해학적인 조형미를 보여주는 매우 독특한 유물이다. 고려시대 청자 제작의 다양한 양상을 보여주는 작품이다.
- 다운로드
-
※ 고화질의 대용량(20~30MB/장)사진의 경우 다운로드에 다소 시간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출처표시 예시
- 예시
01 -
본 저작물은 OOO(기관명)에서 OO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유형번호]유형으로 개방한 저작물명(작성자:OOO)을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OOO(기관명), OOO(홈페이지 주소)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위 내용은 예시이므로 작성연도 및 해당 기관명과 홈페이지 주소, 작성자명 기입
- 예시
02 -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유형번호]유형에 따라 [기관명(사이트 URL), 작성자:OOO]의 공공저작물을 이용하였습니다.
- 예시
03 -
* 출처 -[기관명], [사이트명(사이트상세 URL)]
유의사항
1. 온·오프라인 상에 공유 및 이용 : 온·오프라인을 통하여 공유 및 이용 가능
2. 저작물 변경 : 2차적 저작물로 변경하여 이용 가능
3. 이 저작물은 영리 목적으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물 사용 조건>- 출처 표시 : 저작물의 출처를 표시하셔야 합니다.
공공기관이 후원 한다고 하거나 공공기관과 특수한 관계에 있는 것처럼 제 3자가 오인하게 하는 표시를 해서는 안됩니다.
< 알아야 할 사항 >I. 이용조건의 표시 및 변경
1. 이용자가 공공누리 저작물 활용 시 출처표시를 꼭 해 주셔야 합니다.
2. 공공누리 저작물의 이용조건은 변경될 수 있습니다.
다만 이용자가 이용조건 변경 전 사용하셨다면 해당저작물 한해 용도변경 없이 계속 이용할 수 있습니다.
II. 이용조건의 위반1. 이용자가 공공누리 이용조건을 위반할 경우 그 즉시 이용허락이 종료됩니다.
2. 이용자가 이용조건 위반 후 지속적으로 공공저작물을 이용할 경우 저작권 침해가 성립되므로 형사상, 민사상 책임을 부담 하실 수 있습니다.
원본신청안내 및 개인정보 수집동의
고품질 공공저작물 원본 신청
공공누리에서 제공하는 공공저작물 중 공공누리 1유형은 출처표시만 한다면 영리, 비영리 목적으로 모두 활용 가능하며 개작 등 2차 변형이 가능하도록 무료로 개방하고 있습니다. 다만, 원활한 저작물 제공과 관리를 위해 아래와 같이 원본 이용 신청을 받고 있습니다.
원본 신청 파일 수령 안내
한국문화정보원에서는 공공저작물 원본 파일을 방문수령 또는 저장장치 배송을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원본 신청 접수 완료 후 상세 수령 절차는 기입하신 이메일을 통해 안내 드립니다.
* 1일 이내 안내메일 발송(주말제외)
* 원본 저장 장치(USB, 외장하드 등)를 사전에 준비하셔야 하며 왕복 택배비는 신청자 부담입니다.
개인정보이용 동의 안내
한국문화정보원에서는 공공저작물 원본 관리 및 전달 등과 관련하여 귀하의 개인정보를 아래와 같이 수집하고자 합니다. 다음의 사항에 대해 충분히 읽어 보신 후, 동의 여부를 체크, 서명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개인정보 수집항목
- 기 업 : 기업명, 소속/부서
- 담 당 자 : 성명, 이메일 주소
- 일반 국민 : 성명, 이메일 주소
* 개인정보 수집목적
- 이용허가 및 저작권 이용관리
보유기간 : 수집된 정보는 3년간 보존하며, 수집된 정보는 수집 목적 이외의 다른 목적으로 사용되지 않습니다.
위의 개인정보 수집에 대한 동의를 거부할 권리가 있습니다. 그러나 동의를 거부할 경우 원활한 저작권 이용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원본신청안내 및 개인정보 수집동의
공공누리 이용 약관 및 개인 정보이용 동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