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어
제공기관
    등록년도
    ~
    저작물 유형
    저작물 구분
    설명 보기:각 기관에서 제공해주신 원문DB 공공저작물로 바로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각 기관에서 제공해주신 원문DB 공공저작물로 바로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설명 보기: 각 기관 사이트에서 연계한 저작물로 기관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각 기관 사이트에서 연계한 저작물로 기관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이용조건 이란

    1) 제1유형 : 출처표시
    - 출처표시
    -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

    2) 제2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출처표시
    - 비상업적 이용만 가능
    -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

    3) 제3유형 : 출처표시 + 변경금지
    - 출처표시
    -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금지

    4)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 출처표시
    - 비상업적 이용만 가능
    -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금지

    5) 만료공공저작물 : 이용조건(출처표시 포함)이 없이 자유롭게 이용
    - 이용조건(출처표시 포함) 없음

    조익선생일괄유물_문효공 포저 조선생묘지명(사진)

    이미지

    조익선생일괄유물_문효공 포저 조선생묘지명(사진)_1번 사진
    조익선생일괄유물_문효공 포저 조선생묘지명(사진)_2번 사진
    조익선생일괄유물_문효공 포저 조선생묘지명(사진)_3번 사진
    조익선생일괄유물_문효공 포저 조선생묘지명(사진)_4번 사진
    조익선생일괄유물_문효공 포저 조선생묘지명(사진)_5번 사진
    조익선생일괄유물_문효공 포저 조선생묘지명(사진)_6번 사진
    조익선생일괄유물_문효공 포저 조선생묘지명(사진)_7번 사진
    조익선생일괄유물_문효공 포저 조선생묘지명(사진)_8번 사진
    조익선생일괄유물_문효공 포저 조선생묘지명(사진)_9번 사진
    조익선생일괄유물_문효공 포저 조선생묘지명(사진)_10번 사진
    조익선생일괄유물_문효공 포저 조선생묘지명(사진)_11번 사진
    조익선생일괄유물_문효공 포저 조선생묘지명(사진)_12번 사진
    조익선생일괄유물_문효공 포저 조선생묘지명(사진)_13번 사진
    조익선생일괄유물_문효공 포저 조선생묘지명(사진)_14번 사진
    조익선생일괄유물_문효공 포저 조선생묘지명(사진)_15번 사진
    조익선생일괄유물_문효공 포저 조선생묘지명(사진)_16번 사진
    조익선생일괄유물_문효공 포저 조선생묘지명(사진)_17번 사진
    조익선생일괄유물_문효공 포저 조선생묘지명(사진)_18번 사진
    조익선생일괄유물_문효공 포저 조선생묘지명(사진)_19번 사진
    /
    59 114
    공유하기
    관련태그
    #국가유산청 #충남논산 #조익선생 일괄유물 #사진 #문효공 포저 조선생 묘지명 #4K
    제공기관
    • · 촬영연도 : 2024
    • · 촬영기관 :
    • · 소장기관 : 국가유산청
    공공누리 유형

    국가유산청이(가) 보유한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1유형: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저작물 정보
    저작물 설명

    조선 후기의 문신 조익(1579∼1655)의 무덤에서 나온 묘지 16점으로, 묘지란 죽은 사람의 이름이나 행적 등을 새겨 무덤 옆에 파묻는 돌이나 도판을 말한다. 조익은 1602년 문과에 급제하여 벼슬에 나아갔다가 인목대비가 유폐되는 사건이 빚어지자, 벼슬을 그만두고 은거하였다. 1623년 인조가 즉위하면서 이조좌랑에 임명되어 조정에 들어갔다. 대동법의 시행을 적극 주장하였고 효종이 즉위하자 우의정과 좌의정에 올랐다. 1613년 벼슬을 버리고 신창현 도고산 밑에 초가를 짓고 여생을 보냈는데, 이 때문에 예산과 인연이 맺어져 예산에 묻혔다. 조익의 무덤에서 그의 행적과 이력이 기록된 묘지 16개가 나와 그와 당시의 조정에 대해 알 수 있게 되었으며, 문집으로 『포저집』35권이 전한다.

    저작물 설명
    조선 후기의 문신 조익(1579∼1655)의 무덤에서 나온 묘지 16점으로, 묘지란 죽은 사람의 이름이나 행적 등을 새겨 무덤 옆에 파묻는 돌이나 도판을 말한다. 조익은 1602년 문과에 급제하여 벼슬에 나아갔다가 인목대비가 유폐되는 사건이 빚어지자, 벼슬을 그만두고 은거하였다. 1623년 인조가 즉위하면서 이조좌랑에 임명되어 조정에 들어갔다. 대동법의 시행을 적극 주장하였고 효종이 즉위하자 우의정과 좌의정에 올랐다. 1613년 벼슬을 버리고 신창현 도고산 밑에 초가를 짓고 여생을 보냈는데, 이 때문에 예산과 인연이 맺어져 예산에 묻혔다. 조익의 무덤에서 그의 행적과 이력이 기록된 묘지 16개가 나와 그와 당시의 조정에 대해 알 수 있게 되었으며, 문집으로 『포저집』35권이 전한다.
    다운로드

    ※ 고화질의 대용량(20~30MB/장)사진의 경우 다운로드에 다소 시간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출처표시 예시

    예시
    01
    본 저작물은 OOO(기관명)에서 OO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유형번호]유형으로 개방한 저작물명(작성자:OOO)을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OOO(기관명), OOO(홈페이지 주소)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위 내용은 예시이므로 작성연도 및 해당 기관명과 홈페이지 주소, 작성자명 기입

    예시
    02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유형번호]유형에 따라 [기관명(사이트 URL), 작성자:OOO]의 공공저작물을 이용하였습니다.
    예시
    03
    * 출처 -[기관명], [사이트명(사이트상세 URL)]

    유의사항

    <이용자가 가지는 권리 >

    1. 온·오프라인 상에 공유 및 이용 : 온·오프라인을 통하여 공유 및 이용 가능

    2. 저작물 변경 : 2차적 저작물로 변경하여 이용 가능

    3. 이 저작물은 영리 목적으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물 사용 조건>

    - 출처 표시 : 저작물의 출처를 표시하셔야 합니다.

    공공기관이 후원 한다고 하거나 공공기관과 특수한 관계에 있는 것처럼 제 3자가 오인하게 하는 표시를 해서는 안됩니다.

    < 알아야 할 사항 >

    I. 이용조건의 표시 및 변경

    1. 이용자가 공공누리 저작물 활용 시 출처표시를 꼭 해 주셔야 합니다.

    2. 공공누리 저작물의 이용조건은 변경될 수 있습니다.

    다만 이용자가 이용조건 변경 전 사용하셨다면 해당저작물 한해 용도변경 없이 계속 이용할 수 있습니다.

    II. 이용조건의 위반

    1. 이용자가 공공누리 이용조건을 위반할 경우 그 즉시 이용허락이 종료됩니다.

    2. 이용자가 이용조건 위반 후 지속적으로 공공저작물을 이용할 경우 저작권 침해가 성립되므로 형사상, 민사상 책임을 부담 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