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어
제공기관
    등록년도
    ~
    저작물 유형
    저작물 구분
    설명 보기:각 기관에서 제공해주신 원문DB 공공저작물로 바로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각 기관에서 제공해주신 원문DB 공공저작물로 바로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설명 보기: 각 기관 사이트에서 연계한 저작물로 기관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각 기관 사이트에서 연계한 저작물로 기관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이용조건 이란

    1) 제1유형 : 출처표시
    - 출처표시
    -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

    2) 제2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출처표시
    - 비상업적 이용만 가능
    -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

    3) 제3유형 : 출처표시 + 변경금지
    - 출처표시
    -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금지

    4)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 출처표시
    - 비상업적 이용만 가능
    -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금지

    5) 만료공공저작물 : 이용조건(출처표시 포함)이 없이 자유롭게 이용
    - 이용조건(출처표시 포함) 없음

    윤봉길의사 유품(1972-2)(사진)_지갑부중국화폐

    이미지

    윤봉길의사 유품(1972-2)(사진)_지갑부중국화폐_1번 사진
    윤봉길의사 유품(1972-2)(사진)_지갑부중국화폐_2번 사진
    윤봉길의사 유품(1972-2)(사진)_지갑부중국화폐_3번 사진
    /
    64 19
    공유하기
    관련태그
    #국가유산청 #충남예산 #윤봉길의사유품 #사진 #지갑부중국화폐 #4K
    제공기관
    • · 촬영연도 : 2024
    • · 촬영기관 :
    • · 소장기관 : 국가유산청
    공공누리 유형

    국가유산청이(가) 보유한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1유형: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저작물 정보
    저작물 설명

    윤봉길은 충청남도 예산군 덕산면 사량리에서 태어나, 덕산보통학교와 오치서숙에서 공부하였고 19세 때 고향에 야학을 세워 농촌계몽운동을 시작했다. 20세 때 각곡독서회를 조직하고 『농민독본』을 편찬했으며, 22세 때 월진회를 조직, 농촌운동을 정열적으로 전개하였다. 윤봉길의사는 국내에서 독립운동이 어려워지자 23세때 중국으로 망명하여 1931년 김구선생의 한인애국단에 가입하였다. 그 뒤 항일 투쟁을 계속하다가 1932년 4월 29일 혼자 일본의 상해사변 전승축하회가 열리던 상해의 홍구공원에 폭탄을 던져 일본군총사령관 시라가와 등 일본의 군수뇌부를 제거하는 데 성공하였다. 그 자리에서 체포된 윤봉길 의사는 군법재판 단심에서 사형을 선고받고 11월 일본으로 이송되어 1932년 12월 19일 일본 대판 위수형무소에서 24살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 윤봉길의사 유품 내역 1. 회중시계 : 상해(上海)의 홍구공원(虹口公園)으로 떠나는 날 아침 김구(金九) 선생과 바꾸어 찬 낡은 시계인데, 세상을 떠날 때까지 몸에 지닌 유품(遺品)이다 지름 5㎝, 줄길이 30㎝, 두께 1㎝, 스위스제(製)이다. 2. 윤봉길의사 유품-지갑부중국화폐(尹奉吉義士 遺品-지갑附中國貨幣)는 중화민국건국기념폐인 1원은화 3개, 광서원보인 칠전이분 1개, 이십원지폐인 2각화폐 1매, 이십원동전인 2박주전 5개가 있으며, 지갑의 크기는 가로 7㎝, 세로 11. 5㎝이다. 3. 윤봉길의사인(尹奉吉義士 遺品-尹奉吉義士印)은 골각에 ‘윤봉길신’이라 새긴 것으로 홍구공원에서 거사를 치를 당시의 몸에 지니고 있던 유품이다. 4. 윤봉길의사 유품(尹奉吉義士 遺品)-손수건은1932년 4월 29일 상해 홍구공원에서 폭탄을 투척하는 의거를 일으킨 독립운동가 윤봉길(1908∼1932)의사가 남긴 유품들 가운데 하나인 손수건으로 홍구공원에서 거사를 치를 당시에 몸에 지니고 있던 유품이다. 5. 윤봉길의사 유품-안경집(尹奉吉義士遺品 - 眼鏡集)은 홍구공원에서 거사를 치를 당시에 몸에 지니고 있던 유품으로, 사다리꼴의 형태로 되어있다. 6. 윤봉길의사 유품-일기(尹奉吉義士 遺品-日記)는 1932년 4월 29일 상해 홍구공원에서 폭탄을 투척하는 의거를 일으킨 독립운동가 윤봉길(1908∼1932)의사가 남긴 유품들 가운데 일기이다. 이 일기는 윤봉길의사가 직접 묵으로 쓴 것으로, 각 11행이며 27매 1책으로 되어있다. 7. 윤봉길의사 유품-월진회창립취지서(尹奉吉義士 遺品-月進會創立趣旨書)는 1932년 4월 29일 상해 홍구공원에서 폭탄을 투척하는 의거를 일으킨 독립운동가 윤봉길(1908∼1932)의사가 남긴 유품들 가운데 하나로, 윤봉길의사가 월진회를 창립하면서 직접 묵으로 쓴 문서이다. 8. 윤봉길의사 유품-농민독본(尹奉吉義士 遺品-農民讀本)은 1932년 4월 29일 상해 홍구공원에서 폭탄을 투척하는 의거를 일으킨 독립운동가 윤봉길(1908∼1932)의사가 남긴 유품들 가운데 하나로, 어린아이들에게 글을 깨우치고자 펴낸 농민계몽서이다. 교과서 제1권 8과, 제2권 7과로 되어있으며, 2권 모두 프린트한 것이다. 9. 윤봉길의사 유품-형틀대(尹奉吉義士 遺品-刑틀臺)는 1932년 12월 29일 일본대판위수형무소에서 사형을 당할 때 윤봉길의사를 묶어 세웠던 것이다. 10. 윤봉길의사 유품-편지(尹奉吉義士 遺品-便紙)는 이 편지들은 총 4통으로 되어 있으며, 충의사에 보관되어 있다.

    저작물 설명
    윤봉길은 충청남도 예산군 덕산면 사량리에서 태어나, 덕산보통학교와 오치서숙에서 공부하였고 19세 때 고향에 야학을 세워 농촌계몽운동을 시작했다. 20세 때 각곡독서회를 조직하고 『농민독본』을 편찬했으며, 22세 때 월진회를 조직, 농촌운동을 정열적으로 전개하였다. 윤봉길의사는 국내에서 독립운동이 어려워지자 23세때 중국으로 망명하여 1931년 김구선생의 한인애국단에 가입하였다. 그 뒤 항일 투쟁을 계속하다가 1932년 4월 29일 혼자 일본의 상해사변 전승축하회가 열리던 상해의 홍구공원에 폭탄을 던져 일본군총사령관 시라가와 등 일본의 군수뇌부를 제거하는 데 성공하였다. 그 자리에서 체포된 윤봉길 의사는 군법재판 단심에서 사형을 선고받고 11월 일본으로 이송되어 1932년 12월 19일 일본 대판 위수형무소에서 24살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 윤봉길의사 유품 내역 1. 회중시계 : 상해(上海)의 홍구공원(虹口公園)으로 떠나는 날 아침 김구(金九) 선생과 바꾸어 찬 낡은 시계인데, 세상을 떠날 때까지 몸에 지닌 유품(遺品)이다 지름 5㎝, 줄길이 30㎝, 두께 1㎝, 스위스제(製)이다. 2. 윤봉길의사 유품-지갑부중국화폐(尹奉吉義士 遺品-지갑附中國貨幣)는 중화민국건국기념폐인 1원은화 3개, 광서원보인 칠전이분 1개, 이십원지폐인 2각화폐 1매, 이십원동전인 2박주전 5개가 있으며, 지갑의 크기는 가로 7㎝, 세로 11. 5㎝이다. 3. 윤봉길의사인(尹奉吉義士 遺品-尹奉吉義士印)은 골각에 ‘윤봉길신’이라 새긴 것으로 홍구공원에서 거사를 치를 당시의 몸에 지니고 있던 유품이다. 4. 윤봉길의사 유품(尹奉吉義士 遺品)-손수건은1932년 4월 29일 상해 홍구공원에서 폭탄을 투척하는 의거를 일으킨 독립운동가 윤봉길(1908∼1932)의사가 남긴 유품들 가운데 하나인 손수건으로 홍구공원에서 거사를 치를 당시에 몸에 지니고 있던 유품이다. 5. 윤봉길의사 유품-안경집(尹奉吉義士遺品 - 眼鏡集)은 홍구공원에서 거사를 치를 당시에 몸에 지니고 있던 유품으로, 사다리꼴의 형태로 되어있다. 6. 윤봉길의사 유품-일기(尹奉吉義士 遺品-日記)는 1932년 4월 29일 상해 홍구공원에서 폭탄을 투척하는 의거를 일으킨 독립운동가 윤봉길(1908∼1932)의사가 남긴 유품들 가운데 일기이다. 이 일기는 윤봉길의사가 직접 묵으로 쓴 것으로, 각 11행이며 27매 1책으로 되어있다. 7. 윤봉길의사 유품-월진회창립취지서(尹奉吉義士 遺品-月進會創立趣旨書)는 1932년 4월 29일 상해 홍구공원에서 폭탄을 투척하는 의거를 일으킨 독립운동가 윤봉길(1908∼1932)의사가 남긴 유품들 가운데 하나로, 윤봉길의사가 월진회를 창립하면서 직접 묵으로 쓴 문서이다. 8. 윤봉길의사 유품-농민독본(尹奉吉義士 遺品-農民讀本)은 1932년 4월 29일 상해 홍구공원에서 폭탄을 투척하는 의거를 일으킨 독립운동가 윤봉길(1908∼1932)의사가 남긴 유품들 가운데 하나로, 어린아이들에게 글을 깨우치고자 펴낸 농민계몽서이다. 교과서 제1권 8과, 제2권 7과로 되어있으며, 2권 모두 프린트한 것이다. 9. 윤봉길의사 유품-형틀대(尹奉吉義士 遺品-刑틀臺)는 1932년 12월 29일 일본대판위수형무소에서 사형을 당할 때 윤봉길의사를 묶어 세웠던 것이다. 10. 윤봉길의사 유품-편지(尹奉吉義士 遺品-便紙)는 이 편지들은 총 4통으로 되어 있으며, 충의사에 보관되어 있다.
    다운로드

    ※ 고화질의 대용량(20~30MB/장)사진의 경우 다운로드에 다소 시간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출처표시 예시

    예시
    01
    본 저작물은 OOO(기관명)에서 OO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유형번호]유형으로 개방한 저작물명(작성자:OOO)을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OOO(기관명), OOO(홈페이지 주소)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위 내용은 예시이므로 작성연도 및 해당 기관명과 홈페이지 주소, 작성자명 기입

    예시
    02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유형번호]유형에 따라 [기관명(사이트 URL), 작성자:OOO]의 공공저작물을 이용하였습니다.
    예시
    03
    * 출처 -[기관명], [사이트명(사이트상세 URL)]

    유의사항

    <이용자가 가지는 권리 >

    1. 온·오프라인 상에 공유 및 이용 : 온·오프라인을 통하여 공유 및 이용 가능

    2. 저작물 변경 : 2차적 저작물로 변경하여 이용 가능

    3. 이 저작물은 영리 목적으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물 사용 조건>

    - 출처 표시 : 저작물의 출처를 표시하셔야 합니다.

    공공기관이 후원 한다고 하거나 공공기관과 특수한 관계에 있는 것처럼 제 3자가 오인하게 하는 표시를 해서는 안됩니다.

    < 알아야 할 사항 >

    I. 이용조건의 표시 및 변경

    1. 이용자가 공공누리 저작물 활용 시 출처표시를 꼭 해 주셔야 합니다.

    2. 공공누리 저작물의 이용조건은 변경될 수 있습니다.

    다만 이용자가 이용조건 변경 전 사용하셨다면 해당저작물 한해 용도변경 없이 계속 이용할 수 있습니다.

    II. 이용조건의 위반

    1. 이용자가 공공누리 이용조건을 위반할 경우 그 즉시 이용허락이 종료됩니다.

    2. 이용자가 이용조건 위반 후 지속적으로 공공저작물을 이용할 경우 저작권 침해가 성립되므로 형사상, 민사상 책임을 부담 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