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산 현종정미온행망천도병풍(사진)_첩별
이미지
- 관련태그
- #국가유산청 #충남아산 #사진 #현종정미온행망천도병풍 #4K
- 제공기관
-
- · 촬영연도 : 2024
- · 촬영기관 :
- · 소장기관 : 국가유산청
- 공공누리 유형
-
국가유산청이(가) 보유한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1유형: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 저작물 정보
- 저작물 설명
-
현종정미온행망천도병풍은 현종 8년(1667) 4월 11일부터 윤 4월 13일까지 현종이 눈병과 습창을 치료하기 위해 온양온천에 행차했을 때 호종했던 호조의 수뇌부가 제작한 병풍으로서 현존하는 가장 이른 시기의 계병일 뿐만 아니라 가장 이른 망천도(輞川圖)이자 유일한 망천도이다. 병풍은 본래 호조판서 김수홍이 화원에게 명하여 병풍 3개를 제작하게 한 뒤 참판 이은상과 좌랑 남몽뢰의 핵심 당상관 3명이 나누어 가졌는데, 본 유물은 남몽뢰가 분급받아 소장한 것이다. 이 그림은 현종이 온양온천에 행차하던 내용은 물론 호조의 당상관들이 호종하던 모습을 그린 것이 아니라, 왕유의 망천도를 그린 사실이 주목된다. 이명한이 1626년 망천도를 그린 이유를 설명한 늘 그리고 꿈꾸던 모습을 그리고 싶었기 때문이라는 것과 유사하였을 것으로 보인다. 더구나 망천도 그림만 보아도 병이 낫는다는 고사가 회자될 정도로 본래 치유의 의미가 담겨있었기 때문에 현종이 신병 치료차 온양온천에 행차했던 사실과도 전혀 무관하지는 않다. 망천도의 모습은 기본적으로 명나라 곽세원의 '모곽충서임왕유왕천도'의 도상을 따르되 이를 적절히 변용시켜 창의적으로 그린 것이다. 그러나 이 병풍은 기본적으로 풍경이 가로 방향이 아니라 세로 방향으로 전개되며, 전체가 다 유기적으로 연결되지 않게 몇 개씩 군집된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아울러 22개의 각 장면들도 원화와 달리 적절히 생략하거나 순서를 바꾸어 재배치해 그린 것이 많다. 결국 16개의 경치만 그리고 풍경의 특징이 다소 모호하여 두드러지지 않거나 중복되는 느낌이 있는 것은 생략했다. 그리고 제4폭의 경우는 파격적일 정도로 한 화폭에 많은 경치를 담았을 뿐만 아니라 풍경의 순서도 바꾸어 매우 창의적으로 그렸다. 선묘의 미묘한 변화보다 채색의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청록산수화로 그려졌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선묘가 가늘고 날카로우며, 묘가 자세하고 정치한 편이다.
저작물 설명현종정미온행망천도병풍은 현종 8년(1667) 4월 11일부터 윤 4월 13일까지 현종이 눈병과 습창을 치료하기 위해 온양온천에 행차했을 때 호종했던 호조의 수뇌부가 제작한 병풍으로서 현존하는 가장 이른 시기의 계병일 뿐만 아니라 가장 이른 망천도(輞川圖)이자 유일한 망천도이다. 병풍은 본래 호조판서 김수홍이 화원에게 명하여 병풍 3개를 제작하게 한 뒤 참판 이은상과 좌랑 남몽뢰의 핵심 당상관 3명이 나누어 가졌는데, 본 유물은 남몽뢰가 분급받아 소장한 것이다. 이 그림은 현종이 온양온천에 행차하던 내용은 물론 호조의 당상관들이 호종하던 모습을 그린 것이 아니라, 왕유의 망천도를 그린 사실이 주목된다. 이명한이 1626년 망천도를 그린 이유를 설명한 늘 그리고 꿈꾸던 모습을 그리고 싶었기 때문이라는 것과 유사하였을 것으로 보인다. 더구나 망천도 그림만 보아도 병이 낫는다는 고사가 회자될 정도로 본래 치유의 의미가 담겨있었기 때문에 현종이 신병 치료차 온양온천에 행차했던 사실과도 전혀 무관하지는 않다. 망천도의 모습은 기본적으로 명나라 곽세원의 '모곽충서임왕유왕천도'의 도상을 따르되 이를 적절히 변용시켜 창의적으로 그린 것이다. 그러나 이 병풍은 기본적으로 풍경이 가로 방향이 아니라 세로 방향으로 전개되며, 전체가 다 유기적으로 연결되지 않게 몇 개씩 군집된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아울러 22개의 각 장면들도 원화와 달리 적절히 생략하거나 순서를 바꾸어 재배치해 그린 것이 많다. 결국 16개의 경치만 그리고 풍경의 특징이 다소 모호하여 두드러지지 않거나 중복되는 느낌이 있는 것은 생략했다. 그리고 제4폭의 경우는 파격적일 정도로 한 화폭에 많은 경치를 담았을 뿐만 아니라 풍경의 순서도 바꾸어 매우 창의적으로 그렸다. 선묘의 미묘한 변화보다 채색의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청록산수화로 그려졌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선묘가 가늘고 날카로우며, 묘가 자세하고 정치한 편이다.
- 다운로드
-
※ 고화질의 대용량(20~30MB/장)사진의 경우 다운로드에 다소 시간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출처표시 예시
- 예시
01 -
본 저작물은 OOO(기관명)에서 OO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유형번호]유형으로 개방한 저작물명(작성자:OOO)을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OOO(기관명), OOO(홈페이지 주소)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위 내용은 예시이므로 작성연도 및 해당 기관명과 홈페이지 주소, 작성자명 기입
- 예시
02 -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유형번호]유형에 따라 [기관명(사이트 URL), 작성자:OOO]의 공공저작물을 이용하였습니다.
- 예시
03 -
* 출처 -[기관명], [사이트명(사이트상세 URL)]
유의사항
1. 온·오프라인 상에 공유 및 이용 : 온·오프라인을 통하여 공유 및 이용 가능
2. 저작물 변경 : 2차적 저작물로 변경하여 이용 가능
3. 이 저작물은 영리 목적으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물 사용 조건>- 출처 표시 : 저작물의 출처를 표시하셔야 합니다.
공공기관이 후원 한다고 하거나 공공기관과 특수한 관계에 있는 것처럼 제 3자가 오인하게 하는 표시를 해서는 안됩니다.
< 알아야 할 사항 >I. 이용조건의 표시 및 변경
1. 이용자가 공공누리 저작물 활용 시 출처표시를 꼭 해 주셔야 합니다.
2. 공공누리 저작물의 이용조건은 변경될 수 있습니다.
다만 이용자가 이용조건 변경 전 사용하셨다면 해당저작물 한해 용도변경 없이 계속 이용할 수 있습니다.
II. 이용조건의 위반1. 이용자가 공공누리 이용조건을 위반할 경우 그 즉시 이용허락이 종료됩니다.
2. 이용자가 이용조건 위반 후 지속적으로 공공저작물을 이용할 경우 저작권 침해가 성립되므로 형사상, 민사상 책임을 부담 하실 수 있습니다.
원본신청안내 및 개인정보 수집동의
고품질 공공저작물 원본 신청
공공누리에서 제공하는 공공저작물 중 공공누리 1유형은 출처표시만 한다면 영리, 비영리 목적으로 모두 활용 가능하며 개작 등 2차 변형이 가능하도록 무료로 개방하고 있습니다. 다만, 원활한 저작물 제공과 관리를 위해 아래와 같이 원본 이용 신청을 받고 있습니다.
원본 신청 파일 수령 안내
한국문화정보원에서는 공공저작물 원본 파일을 방문수령 또는 저장장치 배송을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원본 신청 접수 완료 후 상세 수령 절차는 기입하신 이메일을 통해 안내 드립니다.
* 1일 이내 안내메일 발송(주말제외)
* 원본 저장 장치(USB, 외장하드 등)를 사전에 준비하셔야 하며 왕복 택배비는 신청자 부담입니다.
개인정보이용 동의 안내
한국문화정보원에서는 공공저작물 원본 관리 및 전달 등과 관련하여 귀하의 개인정보를 아래와 같이 수집하고자 합니다. 다음의 사항에 대해 충분히 읽어 보신 후, 동의 여부를 체크, 서명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개인정보 수집항목
- 기 업 : 기업명, 소속/부서
- 담 당 자 : 성명, 이메일 주소
- 일반 국민 : 성명, 이메일 주소
* 개인정보 수집목적
- 이용허가 및 저작권 이용관리
보유기간 : 수집된 정보는 3년간 보존하며, 수집된 정보는 수집 목적 이외의 다른 목적으로 사용되지 않습니다.
위의 개인정보 수집에 대한 동의를 거부할 권리가 있습니다. 그러나 동의를 거부할 경우 원활한 저작권 이용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원본신청안내 및 개인정보 수집동의
공공누리 이용 약관 및 개인 정보이용 동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