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어
제공기관
    등록년도
    ~
    저작물 유형
    저작물 구분
    설명 보기:각 기관에서 제공해주신 원문DB 공공저작물로 바로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각 기관에서 제공해주신 원문DB 공공저작물로 바로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설명 보기: 각 기관 사이트에서 연계한 저작물로 기관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각 기관 사이트에서 연계한 저작물로 기관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이용조건 이란

    1) 제1유형 : 출처표시
    - 출처표시
    -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

    2) 제2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출처표시
    - 비상업적 이용만 가능
    -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

    3) 제3유형 : 출처표시 + 변경금지
    - 출처표시
    -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금지

    4)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 출처표시
    - 비상업적 이용만 가능
    -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금지

    5) 만료공공저작물 : 이용조건(출처표시 포함)이 없이 자유롭게 이용
    - 이용조건(출처표시 포함) 없음

    공주 동불사 목조석가여래좌상(사진)

    이미지

    공주 동불사 목조석가여래좌상(사진)_1번 사진
    공주 동불사 목조석가여래좌상(사진)_2번 사진
    공주 동불사 목조석가여래좌상(사진)_3번 사진
    공주 동불사 목조석가여래좌상(사진)_4번 사진
    공주 동불사 목조석가여래좌상(사진)_5번 사진
    공주 동불사 목조석가여래좌상(사진)_6번 사진
    공주 동불사 목조석가여래좌상(사진)_7번 사진
    공주 동불사 목조석가여래좌상(사진)_8번 사진
    공주 동불사 목조석가여래좌상(사진)_9번 사진
    공주 동불사 목조석가여래좌상(사진)_10번 사진
    공주 동불사 목조석가여래좌상(사진)_11번 사진
    공주 동불사 목조석가여래좌상(사진)_12번 사진
    공주 동불사 목조석가여래좌상(사진)_13번 사진
    공주 동불사 목조석가여래좌상(사진)_14번 사진
    공주 동불사 목조석가여래좌상(사진)_15번 사진
    /
    52 45
    공유하기
    관련태그
    #국가유산청 #충남공주 #동불사 #사진 #목조석가여래좌상 #4K
    제공기관
    • · 촬영연도 : 2024
    • · 촬영기관 :
    • · 소장기관 : 국가유산청
    공공누리 유형

    국가유산청이(가) 보유한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1유형: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저작물 정보
    저작물 설명

    동불사는 1918년 본정(本町) 162번지(공주시 중동 180)에 마곡사 공주포교당으로 설립, 1936년 현재 위치(공주시 반죽동 98-2)로 옮겨 신행과 포교활동의 중요 역할을 하고 있는 사찰. 목조여래좌상은 동불사의 대웅전에 봉안되어 있는데 결가부좌한 중형불상으로 오른손은 무릅 위에 손가락을 밑으로 자연스럽게 내리고 왼손은 손바닥을 위로 엄지와 중지를 맞댄 수인을 하고 있음. 불상은 약간 머리와 상반신을 앞으로 수그린 자세를 취하고 있음. 머리 전체에 뾰족한 나발이 촘촘이 있고 육계가 거의 표현되지 않았고 계란형의 얼굴에 목 밑에는 완만한 삼도가 새겨져 있음. 공주 동불사 목조석가여래좌상은 비록 상의 전래나 원 소장처를 알 수 없다는 한계가 있으나, 충남 지역의 흔치 않은 조선후기 목조석가여래좌상으로 조선후기 불상 조성양식의 일면을 잘 보여주며 보존상태가 양호함.

    저작물 설명
    동불사는 1918년 본정(本町) 162번지(공주시 중동 180)에 마곡사 공주포교당으로 설립, 1936년 현재 위치(공주시 반죽동 98-2)로 옮겨 신행과 포교활동의 중요 역할을 하고 있는 사찰. 목조여래좌상은 동불사의 대웅전에 봉안되어 있는데 결가부좌한 중형불상으로 오른손은 무릅 위에 손가락을 밑으로 자연스럽게 내리고 왼손은 손바닥을 위로 엄지와 중지를 맞댄 수인을 하고 있음. 불상은 약간 머리와 상반신을 앞으로 수그린 자세를 취하고 있음. 머리 전체에 뾰족한 나발이 촘촘이 있고 육계가 거의 표현되지 않았고 계란형의 얼굴에 목 밑에는 완만한 삼도가 새겨져 있음. 공주 동불사 목조석가여래좌상은 비록 상의 전래나 원 소장처를 알 수 없다는 한계가 있으나, 충남 지역의 흔치 않은 조선후기 목조석가여래좌상으로 조선후기 불상 조성양식의 일면을 잘 보여주며 보존상태가 양호함.
    다운로드

    ※ 고화질의 대용량(20~30MB/장)사진의 경우 다운로드에 다소 시간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출처표시 예시

    예시
    01
    본 저작물은 OOO(기관명)에서 OO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유형번호]유형으로 개방한 저작물명(작성자:OOO)을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OOO(기관명), OOO(홈페이지 주소)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위 내용은 예시이므로 작성연도 및 해당 기관명과 홈페이지 주소, 작성자명 기입

    예시
    02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유형번호]유형에 따라 [기관명(사이트 URL), 작성자:OOO]의 공공저작물을 이용하였습니다.
    예시
    03
    * 출처 -[기관명], [사이트명(사이트상세 URL)]

    유의사항

    <이용자가 가지는 권리 >

    1. 온·오프라인 상에 공유 및 이용 : 온·오프라인을 통하여 공유 및 이용 가능

    2. 저작물 변경 : 2차적 저작물로 변경하여 이용 가능

    3. 이 저작물은 영리 목적으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물 사용 조건>

    - 출처 표시 : 저작물의 출처를 표시하셔야 합니다.

    공공기관이 후원 한다고 하거나 공공기관과 특수한 관계에 있는 것처럼 제 3자가 오인하게 하는 표시를 해서는 안됩니다.

    < 알아야 할 사항 >

    I. 이용조건의 표시 및 변경

    1. 이용자가 공공누리 저작물 활용 시 출처표시를 꼭 해 주셔야 합니다.

    2. 공공누리 저작물의 이용조건은 변경될 수 있습니다.

    다만 이용자가 이용조건 변경 전 사용하셨다면 해당저작물 한해 용도변경 없이 계속 이용할 수 있습니다.

    II. 이용조건의 위반

    1. 이용자가 공공누리 이용조건을 위반할 경우 그 즉시 이용허락이 종료됩니다.

    2. 이용자가 이용조건 위반 후 지속적으로 공공저작물을 이용할 경우 저작권 침해가 성립되므로 형사상, 민사상 책임을 부담 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