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어
제공기관
    등록년도
    ~
    저작물 유형
    저작물 구분
    설명 보기:각 기관에서 제공해주신 원문DB 공공저작물로 바로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각 기관에서 제공해주신 원문DB 공공저작물로 바로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설명 보기: 각 기관 사이트에서 연계한 저작물로 기관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각 기관 사이트에서 연계한 저작물로 기관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이용조건 이란

    1) 제1유형 : 출처표시
    - 출처표시
    -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

    2) 제2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출처표시
    - 비상업적 이용만 가능
    -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

    3) 제3유형 : 출처표시 + 변경금지
    - 출처표시
    -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금지

    4)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 출처표시
    - 비상업적 이용만 가능
    -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금지

    5) 만료공공저작물 : 이용조건(출처표시 포함)이 없이 자유롭게 이용
    - 이용조건(출처표시 포함) 없음

    [석굴암]팔부중상(제3상 간달바상)

    이미지

    [석굴암]팔부중상(제3상 간달바상) _1번 사진
    [석굴암]팔부중상(제3상 간달바상) _2번 사진
    [석굴암]팔부중상(제3상 간달바상) _3번 사진
    [석굴암]팔부중상(제3상 간달바상) _4번 사진
    [석굴암]팔부중상(제3상 간달바상) _5번 사진
    [석굴암]팔부중상(제3상 간달바상) _6번 사진
    [석굴암]팔부중상(제3상 간달바상) _7번 사진
    /
    141 77
    공유하기
    관련태그
    #국립문화유산연구원 #한석홍 #석굴암 #팔부중상 #팔부신중 #천룡팔부 #사자관 #건달바
    제공기관
    • · 촬영연도 : 2000
    • · 촬영기관 : 국립문화유산연구원
    • · 소장기관 : 국립문화유산연구원
    공공누리 유형

    국립문화유산연구원이(가) 보유한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1유형: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저작물 정보
    저작물 설명

    높이 248.8cm, “팔부신중八部神衆”과 “천룡팔부天龍八部”라고도 명명되는 팔부중八部衆은 붓다(불佛)가 설법할 때 청중으로 언급되는 여덟 무리의 중생을 뜻한다. 천天, 용龍, 야차夜叉, 건달바乾闥婆, 아수라阿修羅, 가루라迦樓羅, 긴나라緊那羅, 마후라가摩睺羅伽가 그것이다. 석굴암의 팔부중상은 전실의 양쪽 벽면에 각각 4존씩 배열되어 있지만, 경전마다 나열 순서가 다르고, 석굴암의 경우 창건 이후 개비改備된 것도 있어서 원래 어떻게 배치되었는지는 알 수가 없다. _x000D_ 이 상은 주실을 향하여 왼쪽 벽(남벽) 안쪽에서 두 번째 존상이다. 얼굴과 몸을 오른쪽으로 살짝 튼 채 양손을 가슴 앞에 두었다. 머리 위에는 사자 얼굴이 있으며, 목 아래에는 교차된 사자의 앞발 2개가 있다. 머리에 사자관獅子冠을 착용하여 건달바乾闥婆像(gandharva)상으로 추정된다. (용인대학교 배재호 교수 작성)

    저작물 설명
    높이 248.8cm, “팔부신중八部神衆”과 “천룡팔부天龍八部”라고도 명명되는 팔부중八部衆은 붓다(불佛)가 설법할 때 청중으로 언급되는 여덟 무리의 중생을 뜻한다. 천天, 용龍, 야차夜叉, 건달바乾闥婆, 아수라阿修羅, 가루라迦樓羅, 긴나라緊那羅, 마후라가摩睺羅伽가 그것이다. 석굴암의 팔부중상은 전실의 양쪽 벽면에 각각 4존씩 배열되어 있지만, 경전마다 나열 순서가 다르고, 석굴암의 경우 창건 이후 개비改備된 것도 있어서 원래 어떻게 배치되었는지는 알 수가 없다. _x000D_ 이 상은 주실을 향하여 왼쪽 벽(남벽) 안쪽에서 두 번째 존상이다. 얼굴과 몸을 오른쪽으로 살짝 튼 채 양손을 가슴 앞에 두었다. 머리 위에는 사자 얼굴이 있으며, 목 아래에는 교차된 사자의 앞발 2개가 있다. 머리에 사자관獅子冠을 착용하여 건달바乾闥婆像(gandharva)상으로 추정된다. (용인대학교 배재호 교수 작성)
    다운로드

    ※ 고화질의 대용량(20~30MB/장)사진의 경우 다운로드에 다소 시간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출처표시 예시

    예시
    01
    본 저작물은 OOO(기관명)에서 OO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유형번호]유형으로 개방한 저작물명(작성자:OOO)을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OOO(기관명), OOO(홈페이지 주소)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위 내용은 예시이므로 작성연도 및 해당 기관명과 홈페이지 주소, 작성자명 기입

    예시
    02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유형번호]유형에 따라 [기관명(사이트 URL), 작성자:OOO]의 공공저작물을 이용하였습니다.
    예시
    03
    * 출처 -[기관명], [사이트명(사이트상세 URL)]

    유의사항

    <이용자가 가지는 권리 >

    1. 온·오프라인 상에 공유 및 이용 : 온·오프라인을 통하여 공유 및 이용 가능

    2. 저작물 변경 : 2차적 저작물로 변경하여 이용 가능

    3. 이 저작물은 영리 목적으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물 사용 조건>

    - 출처 표시 : 저작물의 출처를 표시하셔야 합니다.

    공공기관이 후원 한다고 하거나 공공기관과 특수한 관계에 있는 것처럼 제 3자가 오인하게 하는 표시를 해서는 안됩니다.

    < 알아야 할 사항 >

    I. 이용조건의 표시 및 변경

    1. 이용자가 공공누리 저작물 활용 시 출처표시를 꼭 해 주셔야 합니다.

    2. 공공누리 저작물의 이용조건은 변경될 수 있습니다.

    다만 이용자가 이용조건 변경 전 사용하셨다면 해당저작물 한해 용도변경 없이 계속 이용할 수 있습니다.

    II. 이용조건의 위반

    1. 이용자가 공공누리 이용조건을 위반할 경우 그 즉시 이용허락이 종료됩니다.

    2. 이용자가 이용조건 위반 후 지속적으로 공공저작물을 이용할 경우 저작권 침해가 성립되므로 형사상, 민사상 책임을 부담 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