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어
제공기관
    등록년도
    ~
    저작물 유형
    저작물 구분
    설명 보기:각 기관에서 제공해주신 원문DB 공공저작물로 바로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각 기관에서 제공해주신 원문DB 공공저작물로 바로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설명 보기: 각 기관 사이트에서 연계한 저작물로 기관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각 기관 사이트에서 연계한 저작물로 기관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이용조건 이란

    1) 제1유형 : 출처표시
    - 출처표시
    -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

    2) 제2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출처표시
    - 비상업적 이용만 가능
    -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

    3) 제3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출처표시
    -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금지

    4)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 출처표시
    - 비상업적 이용만 가능
    -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금지

    5) 만료공공저작물 : 이용조건(출처표시 포함)이 없이 자유롭게 이용
    - 이용조건(출처표시 포함) 없음

    제423호 의왕 대한제국기 철도통표

    이미지

    제423호 의왕 대한제국기 철도통표_1번 사진
    /
    58 6
    공유하기
    관련태그
    #철도
    제공기관
    • · 촬영연도 : 1899
    • · 촬영기관 :
    • · 소장기관 : 철도산업정보센터
    공공누리 유형

    철도산업정보센터이(가) 보유한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1유형: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저작물 정보
    저작물 설명

    단선구간 철도에서 충돌 사고 방지를 위하여 증표로 사용하던 것으로 통표폐색식 설비가 도입되기 전 기계장치를 이용하지 않고 양 역간의 협의에 의하여 역장과 기관사 간에 주고받던 일종의 열차운행허가증이다. ’경인선 572 ’는 1899년 우리나라 최초 철도인 경인선 개통 초기 사용한 것이며 ‘ 301‘은 1906 년 4월 경의선(용산~신의주)이 개통되면서 부터 1908년까지 사용된 것이며 ‘3237’은 1904년 2월 서울~의주 간 군용철도 부설을 비롯하여 이후 부설되는 임시군용 철도에서 사용되던 것이고 ’1199‘는 1902년 경의선 기공 이후 일부 공사구간에서 이용되다 1906년 4월 경의선이 개통되며 사용 중지되었고 ‘경부선 2245 ‘는 1905년 경부선 개통과 함께 사용하던 것이다.

    저작물 설명
    단선구간 철도에서 충돌 사고 방지를 위하여 증표로 사용하던 것으로 통표폐색식 설비가 도입되기 전 기계장치를 이용하지 않고 양 역간의 협의에 의하여 역장과 기관사 간에 주고받던 일종의 열차운행허가증이다. ’경인선 572 ’는 1899년 우리나라 최초 철도인 경인선 개통 초기 사용한 것이며 ‘ 301‘은 1906 년 4월 경의선(용산~신의주)이 개통되면서 부터 1908년까지 사용된 것이며 ‘3237’은 1904년 2월 서울~의주 간 군용철도 부설을 비롯하여 이후 부설되는 임시군용 철도에서 사용되던 것이고 ’1199‘는 1902년 경의선 기공 이후 일부 공사구간에서 이용되다 1906년 4월 경의선이 개통되며 사용 중지되었고 ‘경부선 2245 ‘는 1905년 경부선 개통과 함께 사용하던 것이다.
    다운로드

    ※ 고화질의 대용량(20~30MB/장)사진의 경우 다운로드에 다소 시간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출처표시 예시

    예시
    01
    본 저작물은 OOO(기관명)에서 OO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유형번호]유형으로 개방한 저작물명(작성자:OOO)을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OOO(기관명), OOO(홈페이지 주소)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위 내용은 예시이므로 작성연도 및 해당 기관명과 홈페이지 주소, 작성자명 기입

    예시
    02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유형번호]유형에 따라 [기관명(사이트 URL), 작성자:OOO]의 공공저작물을 이용하였습니다.
    예시
    03
    * 출처 -[기관명], [사이트명(사이트상세 URL)]

    유의사항

    <이용자가 가지는 권리 >

    1. 온·오프라인 상에 공유 및 이용 : 온·오프라인을 통하여 공유 및 이용 가능

    2. 저작물 변경 : 2차적 저작물로 변경하여 이용 가능

    3. 이 저작물은 영리 목적으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물 사용 조건>

    - 출처 표시 : 저작물의 출처를 표시하셔야 합니다.

    공공기관이 후원 한다고 하거나 공공기관과 특수한 관계에 있는 것처럼 제 3자가 오인하게 하는 표시를 해서는 안됩니다.

    < 알아야 할 사항 >

    I. 이용조건의 표시 및 변경

    1. 이용자가 공공누리 저작물 활용 시 출처표시를 꼭 해 주셔야 합니다.

    2. 공공누리 저작물의 이용조건은 변경될 수 있습니다.

    다만 이용자가 이용조건 변경 전 사용하셨다면 해당저작물 한해 용도변경 없이 계속 이용할 수 있습니다.

    II. 이용조건의 위반

    1. 이용자가 공공누리 이용조건을 위반할 경우 그 즉시 이용허락이 종료됩니다.

    2. 이용자가 이용조건 위반 후 지속적으로 공공저작물을 이용할 경우 저작권 침해가 성립되므로 형사상, 민사상 책임을 부담 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