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어
제공기관
    등록년도
    ~
    저작물 유형
    저작물 구분
    설명 보기:각 기관에서 제공해주신 원문DB 공공저작물로 바로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각 기관에서 제공해주신 원문DB 공공저작물로 바로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설명 보기: 각 기관 사이트에서 연계한 저작물로 기관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각 기관 사이트에서 연계한 저작물로 기관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이용조건 이란

    1) 제1유형 : 출처표시
    - 출처표시
    -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

    2) 제2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출처표시
    - 비상업적 이용만 가능
    -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

    3) 제3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출처표시
    -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금지

    4)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 출처표시
    - 비상업적 이용만 가능
    -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금지

    5) 만료공공저작물 : 이용조건(출처표시 포함)이 없이 자유롭게 이용
    - 이용조건(출처표시 포함) 없음

    박기종(조선)

    이미지

    박기종(조선)_1번 사진
    /
    81 8
    공유하기
    관련태그
    #철도
    제공기관
    • · 촬영연도 : -
    • · 촬영기관 :
    • · 소장기관 : 철도산업정보센터
    공공누리 유형

    철도산업정보센터이(가) 보유한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1유형: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저작물 정보
    저작물 설명

    상민계층 출신으로서 일찍부터 상업에 종사, 주로 일본 상인들과 거래하면서 일본어에 능통하게 되었다. 이러한 경력이 계기가 되어 1876년 5월 김기수(金綺秀)를 수반으로 하는 제1차수신사일행의 일본시찰여행 때 역관으로 동행하게 되었다. 이때 일본의 각종 산업시설과 제도 등의 근대화에 깊은 감명을 받아 뒤에 우리나라의 산업개발을 위한 철도건설사업과 교육제도의 근대화 내지 진흥에도 진력하게 된 것 같다. 일본시찰 때 역관의 관직을 얻게 된 것이 계기가 되어 귀국 후 계속하여 각종 관직을 거치면서 부산 경무관의 관직에까지 오르게 되었다. 이 시기에 일본시찰에서 깊은 감명을 받았던 신문화교육의 진흥에 대한 소망의 일단을 실현하기 위하여 1896년 3월 부산상업학교의 전신인 부산개성학교를 창설하고 주로 기술과 일어교육에 힘썼다. 또한, 당시 철도부설권 획득을 위하여 일본을 비롯한 열강의 치열한 경합의 와중에서 평생소원이었던 철도건설사업의 실현을 위하여 1898년 5월 한국 최초의 민간철도회사인 부하철도회사(釜下鐵道會社)를 창설하였다. 부하철도회사는 부산과 하단포(下端浦)를 연결하는 철도부설을 목적으로 설립된 것으로서 일명 하단철도라고도 하였다. 하단철도는 건설에 대한 강렬한 의욕에도 불구하고 자금부족·기타의 이유 등으로 사업을 계속할 수 없게 되었다. 그러나 이에 굴하지 않고 또다시 1899년 5월 대한철도회사를 설립하고 경원선·함경선의 부설허가를 얻어 건설사업을 계속하려 하였다. 그러나 일본의 강력한 방해공작으로 부설권이 궁내부 직영으로 돌아가게 됨으로써 부득이 단념하게 되었다. 그러나 끝까지 철도에 대한 집념을 버리지 못하고 영남지선철도회사(嶺南支線鐵道會社)를 창립하고 삼랑진과 마산을 연결하는 삼마철도(三馬鐵道)의 부설권을 얻어 공사진행을 시도하였으나, 일본의 집요한 농간으로 자금조달이 여의하지 못하여 끝내 뜻을 이룰 수 없게 되었다. 이와 같이, 평생을 통하여 철도부설에 뜻을 두었으며, 국내철도는 민족계 회사에 의하여 건설되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그러나 그 당시는 일본의 침략이 날로 극심하여가는 상황이어서 그의 이와같은 높은 뜻은 끝내 이루어질 수 없었다. 항상 국가중흥은 산업개발에 있다고 믿었고, 그와같은 신념의 실현을 위하여 큰아들은 일본의 광산학교, 둘째아들은 철도학교에 유학시키기도 하였다.

    저작물 설명
    상민계층 출신으로서 일찍부터 상업에 종사, 주로 일본 상인들과 거래하면서 일본어에 능통하게 되었다. 이러한 경력이 계기가 되어 1876년 5월 김기수(金綺秀)를 수반으로 하는 제1차수신사일행의 일본시찰여행 때 역관으로 동행하게 되었다. 이때 일본의 각종 산업시설과 제도 등의 근대화에 깊은 감명을 받아 뒤에 우리나라의 산업개발을 위한 철도건설사업과 교육제도의 근대화 내지 진흥에도 진력하게 된 것 같다. 일본시찰 때 역관의 관직을 얻게 된 것이 계기가 되어 귀국 후 계속하여 각종 관직을 거치면서 부산 경무관의 관직에까지 오르게 되었다. 이 시기에 일본시찰에서 깊은 감명을 받았던 신문화교육의 진흥에 대한 소망의 일단을 실현하기 위하여 1896년 3월 부산상업학교의 전신인 부산개성학교를 창설하고 주로 기술과 일어교육에 힘썼다. 또한, 당시 철도부설권 획득을 위하여 일본을 비롯한 열강의 치열한 경합의 와중에서 평생소원이었던 철도건설사업의 실현을 위하여 1898년 5월 한국 최초의 민간철도회사인 부하철도회사(釜下鐵道會社)를 창설하였다. 부하철도회사는 부산과 하단포(下端浦)를 연결하는 철도부설을 목적으로 설립된 것으로서 일명 하단철도라고도 하였다. 하단철도는 건설에 대한 강렬한 의욕에도 불구하고 자금부족·기타의 이유 등으로 사업을 계속할 수 없게 되었다. 그러나 이에 굴하지 않고 또다시 1899년 5월 대한철도회사를 설립하고 경원선·함경선의 부설허가를 얻어 건설사업을 계속하려 하였다. 그러나 일본의 강력한 방해공작으로 부설권이 궁내부 직영으로 돌아가게 됨으로써 부득이 단념하게 되었다. 그러나 끝까지 철도에 대한 집념을 버리지 못하고 영남지선철도회사(嶺南支線鐵道會社)를 창립하고 삼랑진과 마산을 연결하는 삼마철도(三馬鐵道)의 부설권을 얻어 공사진행을 시도하였으나, 일본의 집요한 농간으로 자금조달이 여의하지 못하여 끝내 뜻을 이룰 수 없게 되었다. 이와 같이, 평생을 통하여 철도부설에 뜻을 두었으며, 국내철도는 민족계 회사에 의하여 건설되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그러나 그 당시는 일본의 침략이 날로 극심하여가는 상황이어서 그의 이와같은 높은 뜻은 끝내 이루어질 수 없었다. 항상 국가중흥은 산업개발에 있다고 믿었고, 그와같은 신념의 실현을 위하여 큰아들은 일본의 광산학교, 둘째아들은 철도학교에 유학시키기도 하였다.
    다운로드

    ※ 고화질의 대용량(20~30MB/장)사진의 경우 다운로드에 다소 시간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출처표시 예시

    예시
    01
    본 저작물은 OOO(기관명)에서 OO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유형번호]유형으로 개방한 저작물명(작성자:OOO)을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OOO(기관명), OOO(홈페이지 주소)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위 내용은 예시이므로 작성연도 및 해당 기관명과 홈페이지 주소, 작성자명 기입

    예시
    02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유형번호]유형에 따라 [기관명(사이트 URL), 작성자:OOO]의 공공저작물을 이용하였습니다.
    예시
    03
    * 출처 -[기관명], [사이트명(사이트상세 URL)]

    유의사항

    <이용자가 가지는 권리 >

    1. 온·오프라인 상에 공유 및 이용 : 온·오프라인을 통하여 공유 및 이용 가능

    2. 저작물 변경 : 2차적 저작물로 변경하여 이용 가능

    3. 이 저작물은 영리 목적으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물 사용 조건>

    - 출처 표시 : 저작물의 출처를 표시하셔야 합니다.

    공공기관이 후원 한다고 하거나 공공기관과 특수한 관계에 있는 것처럼 제 3자가 오인하게 하는 표시를 해서는 안됩니다.

    < 알아야 할 사항 >

    I. 이용조건의 표시 및 변경

    1. 이용자가 공공누리 저작물 활용 시 출처표시를 꼭 해 주셔야 합니다.

    2. 공공누리 저작물의 이용조건은 변경될 수 있습니다.

    다만 이용자가 이용조건 변경 전 사용하셨다면 해당저작물 한해 용도변경 없이 계속 이용할 수 있습니다.

    II. 이용조건의 위반

    1. 이용자가 공공누리 이용조건을 위반할 경우 그 즉시 이용허락이 종료됩니다.

    2. 이용자가 이용조건 위반 후 지속적으로 공공저작물을 이용할 경우 저작권 침해가 성립되므로 형사상, 민사상 책임을 부담 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