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어
제공기관
    등록년도
    ~
    저작물 유형
    저작물 구분
    설명 보기:각 기관에서 제공해주신 원문DB 공공저작물로 바로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각 기관에서 제공해주신 원문DB 공공저작물로 바로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설명 보기: 각 기관 사이트에서 연계한 저작물로 기관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각 기관 사이트에서 연계한 저작물로 기관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이용조건 이란

    1) 제1유형 : 출처표시
    - 출처표시
    -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

    2) 제2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출처표시
    - 비상업적 이용만 가능
    -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

    3) 제3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출처표시
    -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금지

    4)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 출처표시
    - 비상업적 이용만 가능
    -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금지

    5) 만료공공저작물 : 이용조건(출처표시 포함)이 없이 자유롭게 이용
    - 이용조건(출처표시 포함) 없음

    이병철 생가

    이미지

    이병철 생가_1번 사진
    이병철 생가_2번 사진
    이병철 생가_3번 사진
    이병철 생가_4번 사진
    이병철 생가_5번 사진
    이병철 생가_6번 사진
    이병철 생가_7번 사진
    /
    75 36
    공유하기
    관련태그
    #건축
    제공기관
    • · 촬영연도 : 2018
    • · 촬영기관 :
    • · 소장기관 : 경상남도
    공공누리 유형

    경상남도이(가) 보유한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3유형:출처표시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저작물 정보
    저작물 설명

    ⋅평면 : 안채, 사랑채, 곡간채 문간채의 4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안채는 정면 4칸 측면 2칸의 3량가, 정지+안방+대청+건넌방의 구성으로 된 소로수장집이며 팔작지붕, 종도리에 辛亥年上樑의 기문이 있음. 4각주기둥에 자연석기단이었으나 1967년에 화강석 기단으로 교체. 정지 뒤에 방이 있는 겹집구조이며 대청 후방을 판장벽 판장문으로 막아 음식보관용의 수장공간을 두고 있음. 건넌방 전면 마루를 누형식으로 하여 난간이 설치되어 있으며, 안채보다 다소 늦게 건축된 사랑채는 정면 4칸 측면 2칸 소로수장, 팔작집이며 실배치는 좌측부터 방 2칸+대청+건넌방의 구성. 수장공간이 풍부하여 방은 배면 전체에 일식 미서기 문으로 된 벽장을 두었고 숙석 주초에 화강석 기단으로 일부 벽체의 하부는 적벽돌 쌓기에 회줄눈으로 처리되었고 종도리를 받치는 동자주가 화반형식으로 되어있음 ⋅구조 : 목조 가구식 구조로 전통 한옥방식을 따르면서 부분적으로 일식 창호방식을 차용하여 사용하고 있음 ⋅의장 및 양식 : 부분 개량된 남부지역의 한옥양식을 잘 반영하고 있고, 보존상태가 매우 양호하여 근대 한옥형태의 표본으로 삼을 만 함

    저작물 설명
    ⋅평면 : 안채, 사랑채, 곡간채 문간채의 4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안채는 정면 4칸 측면 2칸의 3량가, 정지+안방+대청+건넌방의 구성으로 된 소로수장집이며 팔작지붕, 종도리에 辛亥年上樑의 기문이 있음. 4각주기둥에 자연석기단이었으나 1967년에 화강석 기단으로 교체. 정지 뒤에 방이 있는 겹집구조이며 대청 후방을 판장벽 판장문으로 막아 음식보관용의 수장공간을 두고 있음. 건넌방 전면 마루를 누형식으로 하여 난간이 설치되어 있으며, 안채보다 다소 늦게 건축된 사랑채는 정면 4칸 측면 2칸 소로수장, 팔작집이며 실배치는 좌측부터 방 2칸+대청+건넌방의 구성. 수장공간이 풍부하여 방은 배면 전체에 일식 미서기 문으로 된 벽장을 두었고 숙석 주초에 화강석 기단으로 일부 벽체의 하부는 적벽돌 쌓기에 회줄눈으로 처리되었고 종도리를 받치는 동자주가 화반형식으로 되어있음 ⋅구조 : 목조 가구식 구조로 전통 한옥방식을 따르면서 부분적으로 일식 창호방식을 차용하여 사용하고 있음 ⋅의장 및 양식 : 부분 개량된 남부지역의 한옥양식을 잘 반영하고 있고, 보존상태가 매우 양호하여 근대 한옥형태의 표본으로 삼을 만 함
    다운로드

    ※ 고화질의 대용량(20~30MB/장)사진의 경우 다운로드에 다소 시간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출처표시 예시

    예시
    01
    본 저작물은 OOO(기관명)에서 OO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유형번호]유형으로 개방한 저작물명(작성자:OOO)을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OOO(기관명), OOO(홈페이지 주소)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위 내용은 예시이므로 작성연도 및 해당 기관명과 홈페이지 주소, 작성자명 기입

    예시
    02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유형번호]유형에 따라 [기관명(사이트 URL), 작성자:OOO]의 공공저작물을 이용하였습니다.
    예시
    03
    * 출처 -[기관명], [사이트명(사이트상세 URL)]

    유의사항

    <이용자가 가지는 권리 >

    1. 온·오프라인 상에 공유 및 이용 : 온·오프라인을 통하여 공유 및 이용 가능

    2. 이 저작물은 영리 목적으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물 사용 조건>

    - 출처 표시 : 저작물의 출처를 표시하셔야 합니다.

    공공기관이 후원 한다고 하거나 공공기관과 특수한 관계에 있는 것처럼 제 3자가 오인하게 하는 표시를 해서는 안됩니다.

    - 변경금지 : 저작물을 변경하거나 2차적 저작물 등으로 작성할 수 없습니다.

    < 알아야 할 사항 >

    I. 이용조건의 표시 및 변경

    1. 이용자가 공공누리 저작물 활용 시 출처표시를 꼭 해 주셔야 합니다.

    2. 공공누리 저작물의 이용조건은 변경될 수 있습니다.

    다만 이용자가 이용조건 변경 전 사용하셨다면 해당저작물 한해 용도변경 없이 계속 이용할 수 있습니다.

    II. 이용조건의 위반

    1. 이용자가 공공누리 이용조건을 위반할 경우 그 즉시 이용허락이 종료됩니다.

    2. 이용자가 이용조건 위반 후 지속적으로 공공저작물을 이용할 경우 저작권 침해가 성립되므로 형사상, 민사상 책임을 부담 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