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어
제공기관
    등록년도
    ~
    저작물 유형
    저작물 구분
    설명 보기:각 기관에서 제공해주신 원문DB 공공저작물로 바로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각 기관에서 제공해주신 원문DB 공공저작물로 바로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설명 보기: 각 기관 사이트에서 연계한 저작물로 기관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각 기관 사이트에서 연계한 저작물로 기관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이용조건 이란

    1) 제1유형 : 출처표시
    - 출처표시
    -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

    2) 제2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출처표시
    - 비상업적 이용만 가능
    -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

    3) 제3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출처표시
    -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금지

    4)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 출처표시
    - 비상업적 이용만 가능
    -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금지

    5) 만료공공저작물 : 이용조건(출처표시 포함)이 없이 자유롭게 이용
    - 이용조건(출처표시 포함) 없음

    선장리창녕조씨고문서일괄

    이미지

    선장리창녕조씨고문서일괄_1번 사진
    /
    61 8
    공유하기
    관련태그
    #관광 #유물
    제공기관
    • · 촬영연도 : -
    • · 촬영기관 :
    • · 소장기관 : 전라남도 강진군
    공공누리 유형

    전라남도 강진군이(가) 보유한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1유형: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저작물 정보
    저작물 설명

    강진 선장리 창령조씨 문서는 주로 조명조(曺命肇, 1705∼1776)의 행적과 관련된 자료로서 연결된 문서를 중심으로 127건이다. (문집필사본 9책, 교지 2매, 시권 1매, 방목 1권, 호적문서 12매, 입안 1매, 간찰 82매, 향약문서 1권, 기행문 4건, 시문(시축) 20건, 서관일기 1책, 그림 3점) 이 문서는 원래 영암에 연고를 두고 강진에 입향한 성관의 내력을 알 수 있고 시문과 문집, 기행문, 서간문을 통하여 당시의 향촌 사회 동향과 문인 교류관계를 알 수 있다. 그리고 은 18세기 중엽 이후의 역사상을 담고 있는 향약 자료이며 호남책 등의 자료는 조선후기 향촌사회의 실상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는 자료이다. 그리고 조명조가 책방을 수행하며 남긴 는 조선 후기 책방 연구에 도움이 될 귀한 자료로서 조선 후기의 수령권과 지방통치 방식을 연구하는 데도 도움이 될 것이다. 이들 문서는 보존도 잘 되어 있고, 학술조사를 실시(국사편찬위원회, 목포대학교박물관)한 바 도 있어 보존할만한 가치가 있다. 다만, 서간문이나 시문류에 대한 자세한 분석이 필요하고 다른 곳에도 다수가 소장되어 있는 사례가 있음으로 문화재자료로 지정하여 보존관리할 필요성이 있다.

    저작물 설명
    강진 선장리 창령조씨 문서는 주로 조명조(曺命肇, 1705∼1776)의 행적과 관련된 자료로서 연결된 문서를 중심으로 127건이다. (문집필사본 9책, 교지 2매, 시권 1매, 방목 1권, 호적문서 12매, 입안 1매, 간찰 82매, 향약문서 1권, 기행문 4건, 시문(시축) 20건, 서관일기 1책, 그림 3점) 이 문서는 원래 영암에 연고를 두고 강진에 입향한 성관의 내력을 알 수 있고 시문과 문집, 기행문, 서간문을 통하여 당시의 향촌 사회 동향과 문인 교류관계를 알 수 있다. 그리고 <설향약이정풍속(設鄕約以整風俗)>은 18세기 중엽 이후의 역사상을 담고 있는 향약 자료이며 호남책 등의 자료는 조선후기 향촌사회의 실상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는 자료이다. 그리고 조명조가 책방을 수행하며 남긴 <서관일기>는 조선 후기 책방 연구에 도움이 될 귀한 자료로서 조선 후기의 수령권과 지방통치 방식을 연구하는 데도 도움이 될 것이다. 이들 문서는 보존도 잘 되어 있고, 학술조사를 실시(국사편찬위원회, 목포대학교박물관)한 바 도 있어 보존할만한 가치가 있다. 다만, 서간문이나 시문류에 대한 자세한 분석이 필요하고 다른 곳에도 다수가 소장되어 있는 사례가 있음으로 문화재자료로 지정하여 보존관리할 필요성이 있다.
    다운로드

    ※ 고화질의 대용량(20~30MB/장)사진의 경우 다운로드에 다소 시간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출처표시 예시

    예시
    01
    본 저작물은 OOO(기관명)에서 OO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유형번호]유형으로 개방한 저작물명(작성자:OOO)을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OOO(기관명), OOO(홈페이지 주소)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위 내용은 예시이므로 작성연도 및 해당 기관명과 홈페이지 주소, 작성자명 기입

    예시
    02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유형번호]유형에 따라 [기관명(사이트 URL), 작성자:OOO]의 공공저작물을 이용하였습니다.
    예시
    03
    * 출처 -[기관명], [사이트명(사이트상세 URL)]

    유의사항

    <이용자가 가지는 권리 >

    1. 온·오프라인 상에 공유 및 이용 : 온·오프라인을 통하여 공유 및 이용 가능

    2. 저작물 변경 : 2차적 저작물로 변경하여 이용 가능

    3. 이 저작물은 영리 목적으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물 사용 조건>

    - 출처 표시 : 저작물의 출처를 표시하셔야 합니다.

    공공기관이 후원 한다고 하거나 공공기관과 특수한 관계에 있는 것처럼 제 3자가 오인하게 하는 표시를 해서는 안됩니다.

    < 알아야 할 사항 >

    I. 이용조건의 표시 및 변경

    1. 이용자가 공공누리 저작물 활용 시 출처표시를 꼭 해 주셔야 합니다.

    2. 공공누리 저작물의 이용조건은 변경될 수 있습니다.

    다만 이용자가 이용조건 변경 전 사용하셨다면 해당저작물 한해 용도변경 없이 계속 이용할 수 있습니다.

    II. 이용조건의 위반

    1. 이용자가 공공누리 이용조건을 위반할 경우 그 즉시 이용허락이 종료됩니다.

    2. 이용자가 이용조건 위반 후 지속적으로 공공저작물을 이용할 경우 저작권 침해가 성립되므로 형사상, 민사상 책임을 부담 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