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재일사
이미지
- 제공기관
-
- · 촬영연도 : -
- · 촬영기관 :
- · 소장기관 : 전라남도 강진군
- 공공누리 유형
-
전라남도 강진군이(가) 보유한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1유형: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 저작물 정보
- 저작물 설명
-
강재(剛齋) 박기현은 본관이 밀양이며, 사문진사공파 삼(參)의 15대손으로 1864년 4월 22일 강진 옴천에서 출생하였다. 조부(祖父)는 천익(天益)이요, 부(父)는 재빈(彬)이다. 어린시절에 옴천에서 병영으로 이사하여 갑오년 동학농민군이 병영을 점령하기 전까지 주로 그곳을 중심으로 생활하며, 가학(家學)을 통해 문리(文理)를 얻었다고 한다. 그후에는 화순 능주의 일신(日新) 정의림(鄭義林), 문귀암(文龜庵), 강진의 오남(吾南) 김한섭 등에게 지도를 받으며 학문에 힘썼다고 전한다. 구례의 매천(梅泉) 황현(黃玹)(1855∼1910)과도 의(義)로써 교유하여 편지를 주고 받기도 하였으며, 매천의 사후 『매천집』( 梅泉集)의 발간에 힘을 썼다고 알려지고 있다. 특히 그는 사남(四男) 윤안옹(1909∼1993)의 증언에 의하면, 성리학 뿐만 아니라 상수학(象數學), 천문(天文) 등에 두루 통하였으며, 그중에도 특히 천문에 밝았다고 한다. 종손 병채씨 댁에 소장된 자료들속에 천문 관련 자료들이 상당수 남아 있는 것으로 보아, 윤안옹의 증언은 사실로 짐작된다. 1893년경부터 장흥 강진 일대에까지 널리 퍼지고 있던 동학을 금하기 위한 조처로 김한섭, 김병휘(金炳輝)(1842∼1903)등과 함께 향약계(鄕約契)를 조직하였으며, 한편으로 갑오년 당시에 동학농민군들의 폐정개혁활동을 저지하기 위한 유생들의 대응활동에 참여하였다. 특히 그는 1891년부터 1903년까지 매일 기록한 일기를 통해 한말 장흥 강진 일대 향촌 사회의 동향을 소상하게 남겨 둠으로써 격동하는 당시의 역사적 면면을 잘 보여주고 있다. 1894년 장흥 강진 동학농민군에 의해 그의 삶의 터전이 되었던 병영이 초토화되고, 집강소를 설치하여 폐정개혁에 나선 동학농민군에게 형 장현(章鉉)이 체포되어 수난을 당하였으며, 종형(從兄), 창현(前 都正)이 갑오 12월 10일 병영 수성에 참가하였다가 순절하는 등 시련을 겪게 되자 병영으로부터 용상리 구상마을로 이주한 이후 초연히 강학에만 몰두하였다고 한다. 1910년 일본에 의해 국권이 상실되자 그는 마침내 울화병을 얻어 1913년 6월 1일 50세를 일기로 타계하게 된다. 용상리 마을 입구에 그가 오래도록 강학에 힘쓰던 바로 그 자리에 후손들이 그를 추모하는 사당 용전사(龍田祠)를 마련하고 배향하였다. 용전사 앞 비문은 나주·광주 동학농민군과 수성군 사이의 혈전을 기록으로 남긴 바 있는 나주 유생 겸산 이병수(李炳壽)(1855∼1941)가 지었다. 그의 문집인 『강재유고』(剛齋遺稿)는 강진 향교의 전교를 지낸 바 있는 4남 윤안 등이 중심이 되어 1988년에 간행되었다. 박기현이 남긴 일기는 1891년 7월부터 1903년 4월에 이르기까지 장흥 강진 일대 향촌 사회의 동향과 함께 자신을 중심으로 하는 인근 유생들과의 교유관계, 특히 갑오년을 전후한 시기 장흥 강진 일대의 동학농민군측과 관군측의 동향 및 당시 전투 상황 등을 소상히 알려 주는 자료로서 이 지방의 동학농민사를 규명하는데 결정적인 근거를 제공해 주고 있는 자료이다. 이 책은 상,하 2권 2책으로 된 필사본(筆寫本)이다.
저작물 설명강재(剛齋) 박기현은 본관이 밀양이며, 사문진사공파 삼(參)의 15대손으로 1864년 4월 22일 강진 옴천에서 출생하였다. 조부(祖父)는 천익(天益)이요, 부(父)는 재빈(彬)이다. 어린시절에 옴천에서 병영으로 이사하여 갑오년 동학농민군이 병영을 점령하기 전까지 주로 그곳을 중심으로 생활하며, 가학(家學)을 통해 문리(文理)를 얻었다고 한다. 그후에는 화순 능주의 일신(日新) 정의림(鄭義林), 문귀암(文龜庵), 강진의 오남(吾南) 김한섭 등에게 지도를 받으며 학문에 힘썼다고 전한다. 구례의 매천(梅泉) 황현(黃玹)(1855∼1910)과도 의(義)로써 교유하여 편지를 주고 받기도 하였으며, 매천의 사후 『매천집』( 梅泉集)의 발간에 힘을 썼다고 알려지고 있다. 특히 그는 사남(四男) 윤안옹(1909∼1993)의 증언에 의하면, 성리학 뿐만 아니라 상수학(象數學), 천문(天文) 등에 두루 통하였으며, 그중에도 특히 천문에 밝았다고 한다. 종손 병채씨 댁에 소장된 자료들속에 천문 관련 자료들이 상당수 남아 있는 것으로 보아, 윤안옹의 증언은 사실로 짐작된다. 1893년경부터 장흥 강진 일대에까지 널리 퍼지고 있던 동학을 금하기 위한 조처로 김한섭, 김병휘(金炳輝)(1842∼1903)등과 함께 향약계(鄕約契)를 조직하였으며, 한편으로 갑오년 당시에 동학농민군들의 폐정개혁활동을 저지하기 위한 유생들의 대응활동에 참여하였다. 특히 그는 1891년부터 1903년까지 매일 기록한 일기를 통해 한말 장흥 강진 일대 향촌 사회의 동향을 소상하게 남겨 둠으로써 격동하는 당시의 역사적 면면을 잘 보여주고 있다. 1894년 장흥 강진 동학농민군에 의해 그의 삶의 터전이 되었던 병영이 초토화되고, 집강소를 설치하여 폐정개혁에 나선 동학농민군에게 형 장현(章鉉)이 체포되어 수난을 당하였으며, 종형(從兄), 창현(前 都正)이 갑오 12월 10일 병영 수성에 참가하였다가 순절하는 등 시련을 겪게 되자 병영으로부터 용상리 구상마을로 이주한 이후 초연히 강학에만 몰두하였다고 한다. 1910년 일본에 의해 국권이 상실되자 그는 마침내 울화병을 얻어 1913년 6월 1일 50세를 일기로 타계하게 된다. 용상리 마을 입구에 그가 오래도록 강학에 힘쓰던 바로 그 자리에 후손들이 그를 추모하는 사당 용전사(龍田祠)를 마련하고 배향하였다. 용전사 앞 비문은 나주·광주 동학농민군과 수성군 사이의 혈전을 기록으로 남긴 바 있는 나주 유생 겸산 이병수(李炳壽)(1855∼1941)가 지었다. 그의 문집인 『강재유고』(剛齋遺稿)는 강진 향교의 전교를 지낸 바 있는 4남 윤안 등이 중심이 되어 1988년에 간행되었다. 박기현이 남긴 일기는 1891년 7월부터 1903년 4월에 이르기까지 장흥 강진 일대 향촌 사회의 동향과 함께 자신을 중심으로 하는 인근 유생들과의 교유관계, 특히 갑오년을 전후한 시기 장흥 강진 일대의 동학농민군측과 관군측의 동향 및 당시 전투 상황 등을 소상히 알려 주는 자료로서 이 지방의 동학농민사를 규명하는데 결정적인 근거를 제공해 주고 있는 자료이다. 이 책은 상,하 2권 2책으로 된 필사본(筆寫本)이다.
- 다운로드
-
※ 고화질의 대용량(20~30MB/장)사진의 경우 다운로드에 다소 시간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출처표시 예시
- 예시
01 -
본 저작물은 OOO(기관명)에서 OO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유형번호]유형으로 개방한 저작물명(작성자:OOO)을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OOO(기관명), OOO(홈페이지 주소)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위 내용은 예시이므로 작성연도 및 해당 기관명과 홈페이지 주소, 작성자명 기입
- 예시
02 -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유형번호]유형에 따라 [기관명(사이트 URL), 작성자:OOO]의 공공저작물을 이용하였습니다.
- 예시
03 -
* 출처 -[기관명], [사이트명(사이트상세 URL)]
유의사항
1. 온·오프라인 상에 공유 및 이용 : 온·오프라인을 통하여 공유 및 이용 가능
2. 저작물 변경 : 2차적 저작물로 변경하여 이용 가능
3. 이 저작물은 영리 목적으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물 사용 조건>- 출처 표시 : 저작물의 출처를 표시하셔야 합니다.
공공기관이 후원 한다고 하거나 공공기관과 특수한 관계에 있는 것처럼 제 3자가 오인하게 하는 표시를 해서는 안됩니다.
< 알아야 할 사항 >I. 이용조건의 표시 및 변경
1. 이용자가 공공누리 저작물 활용 시 출처표시를 꼭 해 주셔야 합니다.
2. 공공누리 저작물의 이용조건은 변경될 수 있습니다.
다만 이용자가 이용조건 변경 전 사용하셨다면 해당저작물 한해 용도변경 없이 계속 이용할 수 있습니다.
II. 이용조건의 위반1. 이용자가 공공누리 이용조건을 위반할 경우 그 즉시 이용허락이 종료됩니다.
2. 이용자가 이용조건 위반 후 지속적으로 공공저작물을 이용할 경우 저작권 침해가 성립되므로 형사상, 민사상 책임을 부담 하실 수 있습니다.
원본신청안내 및 개인정보 수집동의
고품질 공공저작물 원본 신청
공공누리에서 제공하는 공공저작물 중 공공누리 1유형은 출처표시만 한다면 영리, 비영리 목적으로 모두 활용 가능하며 개작 등 2차 변형이 가능하도록 무료로 개방하고 있습니다. 다만, 원활한 저작물 제공과 관리를 위해 아래와 같이 원본 이용 신청을 받고 있습니다.
원본 신청 파일 수령 안내
한국문화정보원에서는 공공저작물 원본 파일을 방문수령 또는 저장장치 배송을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원본 신청 접수 완료 후 상세 수령 절차는 기입하신 이메일을 통해 안내 드립니다.
* 1일 이내 안내메일 발송(주말제외)
* 원본 저장 장치(USB, 외장하드 등)를 사전에 준비하셔야 하며 왕복 택배비는 신청자 부담입니다.
개인정보이용 동의 안내
한국문화정보원에서는 공공저작물 원본 관리 및 전달 등과 관련하여 귀하의 개인정보를 아래와 같이 수집하고자 합니다. 다음의 사항에 대해 충분히 읽어 보신 후, 동의 여부를 체크, 서명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개인정보 수집항목
- 기 업 : 기업명, 소속/부서
- 담 당 자 : 성명, 이메일 주소
- 일반 국민 : 성명, 이메일 주소
* 개인정보 수집목적
- 이용허가 및 저작권 이용관리
보유기간 : 수집된 정보는 3년간 보존하며, 수집된 정보는 수집 목적 이외의 다른 목적으로 사용되지 않습니다.
위의 개인정보 수집에 대한 동의를 거부할 권리가 있습니다. 그러나 동의를 거부할 경우 원활한 저작권 이용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원본신청안내 및 개인정보 수집동의
공공누리 이용 약관 및 개인 정보이용 동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