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어
제공기관
    등록년도
    ~
    저작물 유형
    저작물 구분
    설명 보기:각 기관에서 제공해주신 원문DB 공공저작물로 바로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각 기관에서 제공해주신 원문DB 공공저작물로 바로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설명 보기: 각 기관 사이트에서 연계한 저작물로 기관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각 기관 사이트에서 연계한 저작물로 기관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이용조건 이란

    1) 제1유형 : 출처표시
    - 출처표시
    -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

    2) 제2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출처표시
    - 비상업적 이용만 가능
    -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

    3) 제3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출처표시
    -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금지

    4)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 출처표시
    - 비상업적 이용만 가능
    -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금지

    5) 만료공공저작물 : 이용조건(출처표시 포함)이 없이 자유롭게 이용
    - 이용조건(출처표시 포함) 없음

    조선고적조사보고 : 대동강면제4호분외형 (도면)

    이미지

    조선고적조사보고 : 대동강면제4호분외형 (도면)_1번 사진
    조선고적조사보고 : 대동강면제4호분외형 (도면)_2번 사진
    조선고적조사보고 : 대동강면제4호분외형 (도면)_3번 사진
    조선고적조사보고 : 대동강면제4호분외형 (도면)_4번 사진
    조선고적조사보고 : 대동강면제4호분외형 (도면)_5번 사진
    조선고적조사보고 : 대동강면제4호분외형 (도면)_6번 사진
    /
    51 34
    공유하기
    관련태그
    #국립문화재연구원 #문화유산연구지식포털 #조선고적조사보고 #일제강점기 #연구자료
    제공기관
    • · 촬영연도 : 1926
    • · 촬영기관 : 국립문화유산연구원
    • · 소장기관 : 국립문화유산연구원
    공공누리 유형

    국립문화유산연구원이(가) 보유한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1유형: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저작물 정보
    저작물 설명

    제 4호분은 제 6호분과 마찬가지로 구릉 위 그 동동남쪽에 있다. 일소경(一小經)의 남쪽에 있는 작은 분롱(墳?)으로 경사는 매우 완만한 토만두(土饅頭)를 이루고 있었다. 오랜 세월 동안에 봉토가 무너져 넘쳤으나 여전히 당초의 방대형(方臺形)인 형적(形迹)을 남기고 있고 그 방향은 동서남북의 방위에 대략적으로 일치하고 있다. 그 기변(基邊)의 넓이는 동서쪽 약 85척, 남북쪽 약 80척, 높이는 약 10척이다. 그 정상은 최근 토착민(土民)이 전돌(塼)을 훔쳐가기 위해 발굴하여 그 전곽(塼槨)의 네 벽을 따라서 전돌을 철거하여 그대로 방치하였기 때문에 정점(頂點)의 일부를 남기고 그 주위가 참호(塹濠)와 같이 되어 있었다. 이 묘지는 외형도 작고 토착민에 의한 발굴의 흔적이 뚜렷하였지만 중앙부가 그대로 무사히 남아 있었기 때문에 순장품(殉葬品)은 어쩌면 여전히 보존되어 있었을지도 모른다고 생각했다. 특히 대부분의 전벽은 토착민 때문에 파괴되어 곽저(槨底)의 수색이 매우 용이하여서 6호분 발굴의 옆인 이 고분도 조사하기로 하였다.

    저작물 설명
    제 4호분은 제 6호분과 마찬가지로 구릉 위 그 동동남쪽에 있다. 일소경(一小經)의 남쪽에 있는 작은 분롱(墳?)으로 경사는 매우 완만한 토만두(土饅頭)를 이루고 있었다. 오랜 세월 동안에 봉토가 무너져 넘쳤으나 여전히 당초의 방대형(方臺形)인 형적(形迹)을 남기고 있고 그 방향은 동서남북의 방위에 대략적으로 일치하고 있다. 그 기변(基邊)의 넓이는 동서쪽 약 85척, 남북쪽 약 80척, 높이는 약 10척이다. 그 정상은 최근 토착민(土民)이 전돌(塼)을 훔쳐가기 위해 발굴하여 그 전곽(塼槨)의 네 벽을 따라서 전돌을 철거하여 그대로 방치하였기 때문에 정점(頂點)의 일부를 남기고 그 주위가 참호(塹濠)와 같이 되어 있었다. 이 묘지는 외형도 작고 토착민에 의한 발굴의 흔적이 뚜렷하였지만 중앙부가 그대로 무사히 남아 있었기 때문에 순장품(殉葬品)은 어쩌면 여전히 보존되어 있었을지도 모른다고 생각했다. 특히 대부분의 전벽은 토착민 때문에 파괴되어 곽저(槨底)의 수색이 매우 용이하여서 6호분 발굴의 옆인 이 고분도 조사하기로 하였다.
    다운로드

    ※ 고화질의 대용량(20~30MB/장)사진의 경우 다운로드에 다소 시간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출처표시 예시

    예시
    01
    본 저작물은 OOO(기관명)에서 OO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유형번호]유형으로 개방한 저작물명(작성자:OOO)을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OOO(기관명), OOO(홈페이지 주소)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위 내용은 예시이므로 작성연도 및 해당 기관명과 홈페이지 주소, 작성자명 기입

    예시
    02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유형번호]유형에 따라 [기관명(사이트 URL), 작성자:OOO]의 공공저작물을 이용하였습니다.
    예시
    03
    * 출처 -[기관명], [사이트명(사이트상세 URL)]

    유의사항

    <이용자가 가지는 권리 >

    1. 온·오프라인 상에 공유 및 이용 : 온·오프라인을 통하여 공유 및 이용 가능

    2. 저작물 변경 : 2차적 저작물로 변경하여 이용 가능

    3. 이 저작물은 영리 목적으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물 사용 조건>

    - 출처 표시 : 저작물의 출처를 표시하셔야 합니다.

    공공기관이 후원 한다고 하거나 공공기관과 특수한 관계에 있는 것처럼 제 3자가 오인하게 하는 표시를 해서는 안됩니다.

    < 알아야 할 사항 >

    I. 이용조건의 표시 및 변경

    1. 이용자가 공공누리 저작물 활용 시 출처표시를 꼭 해 주셔야 합니다.

    2. 공공누리 저작물의 이용조건은 변경될 수 있습니다.

    다만 이용자가 이용조건 변경 전 사용하셨다면 해당저작물 한해 용도변경 없이 계속 이용할 수 있습니다.

    II. 이용조건의 위반

    1. 이용자가 공공누리 이용조건을 위반할 경우 그 즉시 이용허락이 종료됩니다.

    2. 이용자가 이용조건 위반 후 지속적으로 공공저작물을 이용할 경우 저작권 침해가 성립되므로 형사상, 민사상 책임을 부담 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