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어
제공기관
    등록년도
    ~
    저작물 유형
    저작물 구분
    설명 보기:각 기관에서 제공해주신 원문DB 공공저작물로 바로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각 기관에서 제공해주신 원문DB 공공저작물로 바로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설명 보기: 각 기관 사이트에서 연계한 저작물로 기관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각 기관 사이트에서 연계한 저작물로 기관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이용조건 이란

    1) 제1유형 : 출처표시
    - 출처표시
    -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

    2) 제2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출처표시
    - 비상업적 이용만 가능
    -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

    3) 제3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출처표시
    -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금지

    4)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 출처표시
    - 비상업적 이용만 가능
    -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금지

    5) 만료공공저작물 : 이용조건(출처표시 포함)이 없이 자유롭게 이용
    - 이용조건(출처표시 포함) 없음

    조선고적조사보고 : 강동군 만달면 제2호석총 (도면)

    이미지

    조선고적조사보고 : 강동군 만달면 제2호석총 (도면)_1번 사진
    조선고적조사보고 : 강동군 만달면 제2호석총 (도면)_2번 사진
    조선고적조사보고 : 강동군 만달면 제2호석총 (도면)_3번 사진
    조선고적조사보고 : 강동군 만달면 제2호석총 (도면)_4번 사진
    /
    52 24
    공유하기
    관련태그
    #국립문화재연구원 #문화유산연구지식포털 #조선고적조사보고 #일제강점기 #연구자료
    제공기관
    • · 촬영연도 : 1916
    • · 촬영기관 : 국립문화유산연구원
    • · 소장기관 : 국립문화유산연구원
    공공누리 유형

    국립문화유산연구원이(가) 보유한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1유형: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저작물 정보
    저작물 설명

    만달면 제1호분의 동남남쪽 약 40간(間) 경지에 접하고 있는 산림 지역 내에 있는 고분이다. 부근에 존재하는 가장 큰 고분 가운데 하나로서 봉토 및 석곽이 비교적 완전하게 존재한다. 이미 발굴되어 있어서 연도(羨道)에서 배를 땅에 대고 기어가 현실(玄室)에 도달할 수 있었다. 그 내부의 토석(土石)을 제거하고 조사하였는데 석회석으로 남쪽에 면하고 있는 횡광식(橫擴式) 석곽(石槨)을 구축하고 현실 천장은 고구려에 널리 공통으로 다 같이 갖추고 있는 선반받침식(持送式)이다. 네 벽에서 각 선반받침 내기를 3번했다. 우삼각(隅三角) 및 평삼각(平三角)의 선반받침을 쌓아 올리고 위에 정석(頂石)을 덮었다. 저부(底部) 오른쪽에 치우쳐서 넓은 관좌(棺座)를 만들어 내고 네 벽 천장 상저(床底)를 회반죽(漆?)으로 발랐다. 현실의 앞부분은 현재 약간 함몰되고 현실 안은 넓이가 세로는 약 9척, 가로는 약 7척 6촌, 높이는 약 10척이다. 연도는 길이가 약 11척 8촌, 폭은 3척 남짓, 높이는 현실에 접하는 부분 4척 6촌이고 입구에 있어서는 6척 남짓이다. 현실에 떨어져서 2척 5촌으로 천장은 한 단(段) 높게 되어 있다. 이곳에 두께 4촌인 판석(板石)으로 연도를 막은 형적이 있다. 그 외측에 할석(割石)을 회반죽으로 칠하여 연도 안을 막기를 약 4척 6촌 정도 했다. 더욱이 천장은 한 단 높고 두께가 약 3촌 5분인 판석으로 오른쪽의 할석을 눌러 연도를 완전히 막은 흔적을 인지할 수 있다. 연도 좌우 측벽 및 천장은 그 입구까지 회반죽을 바르고 저부(底部)는 이 입구에 가까운 판석이 하부까지 있는데 거기에서 바깥쪽 약 3척 5촌 정도의 사이는 회반죽을 인지할 수 있다. 아마 연도의 폐색(閉塞)은 그 중앙부에서 행해진 것 같다. 거기에서 바깥쪽에는 폐색의 석재 없이 저부칠(底部漆)에 회반죽을 바른 것 같다. 현재 우측면 및 전면(前面)은 물이 매우 심하게 흘러 완만한 경사를 이루고 있고 후면 및 좌측면의 현 상태에서 추측컨대 이 토분 또한 제주(濟州) 집안현(輯安縣) 지방에 존재하는 고구려 시대 토분에서 많이 볼 수 있는 것 같은 경사가 급한 방대형(方臺形)의 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현존하는 봉토의 높이는 약 15척, 기부(基部)의 넓이는 불분명하나 방약(方約) 50척 정도인 것 같다. 우측면 후방 및 전방의 가장자리에는 흙막이를 하는 기석(基石)으로 여겨지는 석재를 인지할 수 있었는데 그 위치가 다소 이동해 있는 것 같다. 조사 시 석곽(石槨) 안에서 쇠못 2개를 얻었다. 전체 길이는 3촌 9분, 아래쪽(脚)의 단면은 방형(方形)을 이룬다. 두부(頭部)는 원형(圓形)으로 지름은 8분이다. 아마 목관에 이용된 것과 같고 이 고분은 원래 일찍이 발굴되어 있었던 것으로 그 밖에 어떤 부장품(副葬品)도 남아 있지 않다. 조사 후 연도(羨道) 안에 할석(割石)을 쌓고 이를 폐색하였다. 그리고 흙을 봉함으로써 한기(寒氣) 때문에 석곽(石槨)이 파괴되는 것을 막기 위한 조치를 취해 두었다.

    저작물 설명
    만달면 제1호분의 동남남쪽 약 40간(間) 경지에 접하고 있는 산림 지역 내에 있는 고분이다. 부근에 존재하는 가장 큰 고분 가운데 하나로서 봉토 및 석곽이 비교적 완전하게 존재한다. 이미 발굴되어 있어서 연도(羨道)에서 배를 땅에 대고 기어가 현실(玄室)에 도달할 수 있었다. 그 내부의 토석(土石)을 제거하고 조사하였는데 석회석으로 남쪽에 면하고 있는 횡광식(橫擴式) 석곽(石槨)을 구축하고 현실 천장은 고구려에 널리 공통으로 다 같이 갖추고 있는 선반받침식(持送式)이다. 네 벽에서 각 선반받침 내기를 3번했다. 우삼각(隅三角) 및 평삼각(平三角)의 선반받침을 쌓아 올리고 위에 정석(頂石)을 덮었다. 저부(底部) 오른쪽에 치우쳐서 넓은 관좌(棺座)를 만들어 내고 네 벽 천장 상저(床底)를 회반죽(漆?)으로 발랐다. 현실의 앞부분은 현재 약간 함몰되고 현실 안은 넓이가 세로는 약 9척, 가로는 약 7척 6촌, 높이는 약 10척이다. 연도는 길이가 약 11척 8촌, 폭은 3척 남짓, 높이는 현실에 접하는 부분 4척 6촌이고 입구에 있어서는 6척 남짓이다. 현실에 떨어져서 2척 5촌으로 천장은 한 단(段) 높게 되어 있다. 이곳에 두께 4촌인 판석(板石)으로 연도를 막은 형적이 있다. 그 외측에 할석(割石)을 회반죽으로 칠하여 연도 안을 막기를 약 4척 6촌 정도 했다. 더욱이 천장은 한 단 높고 두께가 약 3촌 5분인 판석으로 오른쪽의 할석을 눌러 연도를 완전히 막은 흔적을 인지할 수 있다. 연도 좌우 측벽 및 천장은 그 입구까지 회반죽을 바르고 저부(底部)는 이 입구에 가까운 판석이 하부까지 있는데 거기에서 바깥쪽 약 3척 5촌 정도의 사이는 회반죽을 인지할 수 있다. 아마 연도의 폐색(閉塞)은 그 중앙부에서 행해진 것 같다. 거기에서 바깥쪽에는 폐색의 석재 없이 저부칠(底部漆)에 회반죽을 바른 것 같다. 현재 우측면 및 전면(前面)은 물이 매우 심하게 흘러 완만한 경사를 이루고 있고 후면 및 좌측면의 현 상태에서 추측컨대 이 토분 또한 제주(濟州) 집안현(輯安縣) 지방에 존재하는 고구려 시대 토분에서 많이 볼 수 있는 것 같은 경사가 급한 방대형(方臺形)의 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현존하는 봉토의 높이는 약 15척, 기부(基部)의 넓이는 불분명하나 방약(方約) 50척 정도인 것 같다. 우측면 후방 및 전방의 가장자리에는 흙막이를 하는 기석(基石)으로 여겨지는 석재를 인지할 수 있었는데 그 위치가 다소 이동해 있는 것 같다. 조사 시 석곽(石槨) 안에서 쇠못 2개를 얻었다. 전체 길이는 3촌 9분, 아래쪽(脚)의 단면은 방형(方形)을 이룬다. 두부(頭部)는 원형(圓形)으로 지름은 8분이다. 아마 목관에 이용된 것과 같고 이 고분은 원래 일찍이 발굴되어 있었던 것으로 그 밖에 어떤 부장품(副葬品)도 남아 있지 않다. 조사 후 연도(羨道) 안에 할석(割石)을 쌓고 이를 폐색하였다. 그리고 흙을 봉함으로써 한기(寒氣) 때문에 석곽(石槨)이 파괴되는 것을 막기 위한 조치를 취해 두었다.
    다운로드

    ※ 고화질의 대용량(20~30MB/장)사진의 경우 다운로드에 다소 시간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출처표시 예시

    예시
    01
    본 저작물은 OOO(기관명)에서 OO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유형번호]유형으로 개방한 저작물명(작성자:OOO)을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OOO(기관명), OOO(홈페이지 주소)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위 내용은 예시이므로 작성연도 및 해당 기관명과 홈페이지 주소, 작성자명 기입

    예시
    02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유형번호]유형에 따라 [기관명(사이트 URL), 작성자:OOO]의 공공저작물을 이용하였습니다.
    예시
    03
    * 출처 -[기관명], [사이트명(사이트상세 URL)]

    유의사항

    <이용자가 가지는 권리 >

    1. 온·오프라인 상에 공유 및 이용 : 온·오프라인을 통하여 공유 및 이용 가능

    2. 저작물 변경 : 2차적 저작물로 변경하여 이용 가능

    3. 이 저작물은 영리 목적으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물 사용 조건>

    - 출처 표시 : 저작물의 출처를 표시하셔야 합니다.

    공공기관이 후원 한다고 하거나 공공기관과 특수한 관계에 있는 것처럼 제 3자가 오인하게 하는 표시를 해서는 안됩니다.

    < 알아야 할 사항 >

    I. 이용조건의 표시 및 변경

    1. 이용자가 공공누리 저작물 활용 시 출처표시를 꼭 해 주셔야 합니다.

    2. 공공누리 저작물의 이용조건은 변경될 수 있습니다.

    다만 이용자가 이용조건 변경 전 사용하셨다면 해당저작물 한해 용도변경 없이 계속 이용할 수 있습니다.

    II. 이용조건의 위반

    1. 이용자가 공공누리 이용조건을 위반할 경우 그 즉시 이용허락이 종료됩니다.

    2. 이용자가 이용조건 위반 후 지속적으로 공공저작물을 이용할 경우 저작권 침해가 성립되므로 형사상, 민사상 책임을 부담 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