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고적조사보고 : 삼실총제2·3실벽화 (이미지)
이미지
- 제공기관
-
- · 촬영연도 : 1938
- · 촬영기관 : 국립문화유산연구원
- · 소장기관 : 국립문화유산연구원
- 공공누리 유형
-
국립문화유산연구원이(가) 보유한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1유형: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 저작물 정보
- 저작물 설명
-
벽의 사우(四隅)에 묵색(墨色)으로 두공(斗?)을 구비한 기둥이 나타나 있는 것은 양실(兩室) 모두 제1실과 마찬가지인데 주벽(主壁)의 그림과 같은 것은 매우 분위기를 달리 하고 있다. 각 벽의 넓은 장면을 채우고 있는 것은 혼신(渾身)의 힘을 손발에 모아서 양상(梁狀)의 선반받침을 지지하는 괴이한 역사(力士)이다. 단지 제2실과 제3실을 연결하는 통로에 의해서 특히 면적이 좁혀져 있는 각각의 벽-제2실 서쪽 벽, 제3실 동쪽 벽-의 인물도(人物圖)는 나중에 기술하는 바와 같이 모두 다른 것이다. 모든 벽의 역사는 보존 상태가 비교적 양호한 것-제2실 북쪽 벽, 제3실 서쪽 벽-에 대해서 살펴보면 두발(頭髮)과 면모(面貌)는 불상(佛像)과 비스솨다. 머리, 어깨, 팔 사이에 영건(領巾)이 나부낀다. 전신(全身)은 험악한 비운문(飛雲文)으로 에워싸이고 양쪽 다리에는 뱀이 휘감긴다. 복장은 바지를 입고 단의(短衣)를 입었으며 허리 언저리에 띠를 묶는다. 단의는 원령(圓領)인 것과 교임(校?)인 것 2종(種)이 있는데 소맷부리(袖口)가 연판(蓮瓣)으로 장식되어 있는 것은 특히 주의를 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역사상(力士象)으로 선반받침(持送)을 지지한 구도(構圖)는 아직 다른 예를 보지 못했다. 다음 장에서 설명할 사신총(四神塚)에 괴이한 신인(神人)이 네 벽의 구석구석에 있어 기둥과 두공(斗?) 대신하고 있다. 이런 것들을 종합해 보면 삼실총의 이상한 역사는 많은 벽화 고분에서 볼 수 있는 주상(柱狀) 장식부터 사신총에 있어서와 같은 특수한 의주신인장식(擬柱神人裝飾)으로 이행(移行)하는 과도적(過渡的) 의장(意匠)일 것이라고 생각된다. 통로가 좁은 양벽의 하나는 제2실의 서쪽 벽이고 갑주로 무장 한 한 명의 용맹스러운 사내(武夫)가 그려져 있다. 높이 올린 오른쪽 손에 긴 창을 짚고 왼쪽 손을 앞으로 하여 허리 언저리의 환도(還刀)를 잡고 있다. 부라린 눈과 입술에서 드러난 이의 모습이 인상적인데 통로를 지키는 것 같이 왼쪽을 흘겨보며 서 있다. 갑주는 투구도 갑옷도 모두 편엽(片葉)을 인상(鱗狀)으로 꿰맨 것이고 갑옷은 소맷자락이 없는 동의(胴衣) 및 긴 바지로 이루어져 있다. 긴 바지 아래에는 괴이하게 그린 구두의 앞쪽 끝도 나타나 있다. 이 벽과 상응하는 다른 벽은 제3실의 동쪽 벽인데 여기에는 전혀 다른 인물도(人物圖)가 있다. 머리카락은 괴두(魁頭)이고 다리는 도선(徒跣)이다. 교임착수(交?窄袖)의 상의를 입고 짧은 바지를 입어 정강이가 드러났다. 오른쪽 손은 높게 들어 올려 다섯 손가락을 선반받침에 대고 왼쪽 손은 길게 뻗어 손바닥을 벽 가장자리의 기둥에 대고 있다. 이를 복장의 위부터 살펴보면 다른 모든 벽의 역사와 많이 다른 점은 없지만 두발, 면모가 완전히 상인(常人)이고 조금도 불상(佛像)과 같이 보이지 않는 점에 눈에 띄는 차이점이 있다. 아마 현실의 용맹스러운 사내(武夫)에 비하여 이것은 하천(下賤)한 계급에 속하는 인물의 모습을 사실과 같이 그린 것이다.
저작물 설명벽의 사우(四隅)에 묵색(墨色)으로 두공(斗?)을 구비한 기둥이 나타나 있는 것은 양실(兩室) 모두 제1실과 마찬가지인데 주벽(主壁)의 그림과 같은 것은 매우 분위기를 달리 하고 있다. 각 벽의 넓은 장면을 채우고 있는 것은 혼신(渾身)의 힘을 손발에 모아서 양상(梁狀)의 선반받침을 지지하는 괴이한 역사(力士)이다. 단지 제2실과 제3실을 연결하는 통로에 의해서 특히 면적이 좁혀져 있는 각각의 벽-제2실 서쪽 벽, 제3실 동쪽 벽-의 인물도(人物圖)는 나중에 기술하는 바와 같이 모두 다른 것이다. 모든 벽의 역사는 보존 상태가 비교적 양호한 것-제2실 북쪽 벽, 제3실 서쪽 벽-에 대해서 살펴보면 두발(頭髮)과 면모(面貌)는 불상(佛像)과 비스솨다. 머리, 어깨, 팔 사이에 영건(領巾)이 나부낀다. 전신(全身)은 험악한 비운문(飛雲文)으로 에워싸이고 양쪽 다리에는 뱀이 휘감긴다. 복장은 바지를 입고 단의(短衣)를 입었으며 허리 언저리에 띠를 묶는다. 단의는 원령(圓領)인 것과 교임(校?)인 것 2종(種)이 있는데 소맷부리(袖口)가 연판(蓮瓣)으로 장식되어 있는 것은 특히 주의를 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역사상(力士象)으로 선반받침(持送)을 지지한 구도(構圖)는 아직 다른 예를 보지 못했다. 다음 장에서 설명할 사신총(四神塚)에 괴이한 신인(神人)이 네 벽의 구석구석에 있어 기둥과 두공(斗?) 대신하고 있다. 이런 것들을 종합해 보면 삼실총의 이상한 역사는 많은 벽화 고분에서 볼 수 있는 주상(柱狀) 장식부터 사신총에 있어서와 같은 특수한 의주신인장식(擬柱神人裝飾)으로 이행(移行)하는 과도적(過渡的) 의장(意匠)일 것이라고 생각된다. 통로가 좁은 양벽의 하나는 제2실의 서쪽 벽이고 갑주로 무장 한 한 명의 용맹스러운 사내(武夫)가 그려져 있다. 높이 올린 오른쪽 손에 긴 창을 짚고 왼쪽 손을 앞으로 하여 허리 언저리의 환도(還刀)를 잡고 있다. 부라린 눈과 입술에서 드러난 이의 모습이 인상적인데 통로를 지키는 것 같이 왼쪽을 흘겨보며 서 있다. 갑주는 투구도 갑옷도 모두 편엽(片葉)을 인상(鱗狀)으로 꿰맨 것이고 갑옷은 소맷자락이 없는 동의(胴衣) 및 긴 바지로 이루어져 있다. 긴 바지 아래에는 괴이하게 그린 구두의 앞쪽 끝도 나타나 있다. 이 벽과 상응하는 다른 벽은 제3실의 동쪽 벽인데 여기에는 전혀 다른 인물도(人物圖)가 있다. 머리카락은 괴두(魁頭)이고 다리는 도선(徒跣)이다. 교임착수(交?窄袖)의 상의를 입고 짧은 바지를 입어 정강이가 드러났다. 오른쪽 손은 높게 들어 올려 다섯 손가락을 선반받침에 대고 왼쪽 손은 길게 뻗어 손바닥을 벽 가장자리의 기둥에 대고 있다. 이를 복장의 위부터 살펴보면 다른 모든 벽의 역사와 많이 다른 점은 없지만 두발, 면모가 완전히 상인(常人)이고 조금도 불상(佛像)과 같이 보이지 않는 점에 눈에 띄는 차이점이 있다. 아마 현실의 용맹스러운 사내(武夫)에 비하여 이것은 하천(下賤)한 계급에 속하는 인물의 모습을 사실과 같이 그린 것이다.
- 다운로드
-
※ 고화질의 대용량(20~30MB/장)사진의 경우 다운로드에 다소 시간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출처표시 예시
- 예시
01 -
본 저작물은 OOO(기관명)에서 OO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유형번호]유형으로 개방한 저작물명(작성자:OOO)을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OOO(기관명), OOO(홈페이지 주소)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위 내용은 예시이므로 작성연도 및 해당 기관명과 홈페이지 주소, 작성자명 기입
- 예시
02 -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유형번호]유형에 따라 [기관명(사이트 URL), 작성자:OOO]의 공공저작물을 이용하였습니다.
- 예시
03 -
* 출처 -[기관명], [사이트명(사이트상세 URL)]
유의사항
1. 온·오프라인 상에 공유 및 이용 : 온·오프라인을 통하여 공유 및 이용 가능
2. 저작물 변경 : 2차적 저작물로 변경하여 이용 가능
3. 이 저작물은 영리 목적으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물 사용 조건>- 출처 표시 : 저작물의 출처를 표시하셔야 합니다.
공공기관이 후원 한다고 하거나 공공기관과 특수한 관계에 있는 것처럼 제 3자가 오인하게 하는 표시를 해서는 안됩니다.
< 알아야 할 사항 >I. 이용조건의 표시 및 변경
1. 이용자가 공공누리 저작물 활용 시 출처표시를 꼭 해 주셔야 합니다.
2. 공공누리 저작물의 이용조건은 변경될 수 있습니다.
다만 이용자가 이용조건 변경 전 사용하셨다면 해당저작물 한해 용도변경 없이 계속 이용할 수 있습니다.
II. 이용조건의 위반1. 이용자가 공공누리 이용조건을 위반할 경우 그 즉시 이용허락이 종료됩니다.
2. 이용자가 이용조건 위반 후 지속적으로 공공저작물을 이용할 경우 저작권 침해가 성립되므로 형사상, 민사상 책임을 부담 하실 수 있습니다.
원본신청안내 및 개인정보 수집동의
고품질 공공저작물 원본 신청
공공누리에서 제공하는 공공저작물 중 공공누리 1유형은 출처표시만 한다면 영리, 비영리 목적으로 모두 활용 가능하며 개작 등 2차 변형이 가능하도록 무료로 개방하고 있습니다. 다만, 원활한 저작물 제공과 관리를 위해 아래와 같이 원본 이용 신청을 받고 있습니다.
원본 신청 파일 수령 안내
한국문화정보원에서는 공공저작물 원본 파일을 방문수령 또는 저장장치 배송을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원본 신청 접수 완료 후 상세 수령 절차는 기입하신 이메일을 통해 안내 드립니다.
* 1일 이내 안내메일 발송(주말제외)
* 원본 저장 장치(USB, 외장하드 등)를 사전에 준비하셔야 하며 왕복 택배비는 신청자 부담입니다.
개인정보이용 동의 안내
한국문화정보원에서는 공공저작물 원본 관리 및 전달 등과 관련하여 귀하의 개인정보를 아래와 같이 수집하고자 합니다. 다음의 사항에 대해 충분히 읽어 보신 후, 동의 여부를 체크, 서명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개인정보 수집항목
- 기 업 : 기업명, 소속/부서
- 담 당 자 : 성명, 이메일 주소
- 일반 국민 : 성명, 이메일 주소
* 개인정보 수집목적
- 이용허가 및 저작권 이용관리
보유기간 : 수집된 정보는 3년간 보존하며, 수집된 정보는 수집 목적 이외의 다른 목적으로 사용되지 않습니다.
위의 개인정보 수집에 대한 동의를 거부할 권리가 있습니다. 그러나 동의를 거부할 경우 원활한 저작권 이용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원본신청안내 및 개인정보 수집동의
공공누리 이용 약관 및 개인 정보이용 동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