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어
제공기관
    등록년도
    ~
    저작물 유형
    저작물 구분
    설명 보기:각 기관에서 제공해주신 원문DB 공공저작물로 바로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각 기관에서 제공해주신 원문DB 공공저작물로 바로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설명 보기: 각 기관 사이트에서 연계한 저작물로 기관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각 기관 사이트에서 연계한 저작물로 기관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이용조건 이란

    1) 제1유형 : 출처표시
    - 출처표시
    -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

    2) 제2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출처표시
    - 비상업적 이용만 가능
    -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

    3) 제3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출처표시
    -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금지

    4)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 출처표시
    - 비상업적 이용만 가능
    -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금지

    5) 만료공공저작물 : 이용조건(출처표시 포함)이 없이 자유롭게 이용
    - 이용조건(출처표시 포함) 없음

    조선고적조사보고 : 삼실총제1실벽화 (이미지)

    이미지

    조선고적조사보고 : 삼실총제1실벽화 (이미지)_1번 사진
    조선고적조사보고 : 삼실총제1실벽화 (이미지)_2번 사진
    조선고적조사보고 : 삼실총제1실벽화 (이미지)_3번 사진
    조선고적조사보고 : 삼실총제1실벽화 (이미지)_4번 사진
    조선고적조사보고 : 삼실총제1실벽화 (이미지)_5번 사진
    조선고적조사보고 : 삼실총제1실벽화 (이미지)_6번 사진
    조선고적조사보고 : 삼실총제1실벽화 (이미지)_7번 사진
    /
    127 71
    공유하기
    관련태그
    #국립문화재연구원 #문화유산연구지식포털 #조선고적조사보고 #일제강점기 #연구자료
    제공기관
    • · 촬영연도 : 1938
    • · 촬영기관 : 국립문화유산연구원
    • · 소장기관 : 국립문화유산연구원
    공공누리 유형

    국립문화유산연구원이(가) 보유한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1유형: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저작물 정보
    저작물 설명

    제1실을 살펴보면 그 천장 부분의 칠식(漆?)은 빗물의 침입 때문에 거의 박락(剝落)하고 있다. 따라서 아래 부분의 벽면도 폐손(?損)되고 특히 동쪽 벽에 있어서 가장 심하다. 네 벽의 구석구석에는 두공(斗?)을 구비한 기둥이 그려져 있는데 그것은 현저하게 형식화(形式化)한 것으로 묘법(描法)도 조잡하고 거칠다. 그리고 네 벽의 상연(上緣)에는 결조(結?)로 들어올려 길게 둘러치는 막(?幕)을 뺑 둘러치고 각 매듭 사이에는 타원형(?圓形)의 장식도 늘어져 있다. 막 바로 위의 선반받침은 일종의 복잡한 당초문(唐草文)으로 장식되었는데 그 당초문은 조선 평안 부근에 있어서의 노산리(魯山里) 개마총(鎧馬塚)의 벽화 의 그것에 유사한 것이 있다. 그리고 이 이상의 부분은 벽면의 박락에 의해서 회화(繪?)의 내용을 알 수 없다. 길게 둘러치는 막 아래의 벽면은 벽화가 있는 주요한 부분이다. 오늘날 그 형적(形迹)이 비교적 잘 남아 있는 것은 남북쪽 양벽(兩壁)의 상반(上半)과 서쪽 벽의 일부에 지나지 않는다. 우선 남쪽 벽의 좌반(左半)은 격자(格子)와 같은 일조(一條)의 띠로 상하의 장면을 구분하고 있다. 상면(上面)에는 왼쪽을 향해서 행렬하는 5명의 인물, 하면(下面)에는 수렵도를 그렸다. 상면의 행렬도 중 부부로 볼 수 있는 남녀 두 명의 인물은 특히 크다. 앞에 한 사람을 먼저 세우고 뒤에 두 사람이 따른다. 이들 인물의 복식(服飾)에 대해서는 여기에 상세히 기술할 겨를이 없는데 그것은 그 유명한 조선 평안남도 용강군(龍岡郡) 진지동(眞池洞) 소재지의 쌍영총(雙楹塚)의 벽화에도 본서(本書)에서 새롭게 우리들이 소개한 무용총(舞踊塚) 벽화에도 볼 수 있는 것이기 때문이다. 하면의 수렵도는 그 하반이 결손하고 단지 상반만이 존재하는데 말 위의 인물 두 명 중 한 명은 비금(飛禽)을 잡은 것 같은 매(鷹)를 손에 쥐고 있고 다른 한 사람은 맹수(猛獸)를 쏘는 활을 당기고 있다. 다음으로 동일한 남쪽 벽의 우반부(右半部)를 살펴보면 여기에도 5명의 인물이 행렬하는 광경이 그려져 있고 앞서 가는 두 명은 긴 자루의 양산(凉傘)을 쓰고 있다. 북쪽 벽에는 공성(攻城)의 그림이 있다. 벽면으로서는 그 상반부이다. 두 명의 기마무자(騎馬武者)가 성벽(城壁)을 공격하는 광경을 그린 것인데 필치(筆致)는 몹시 조졸(粗拙)하다. 문(門), 누(樓) 모두 구비한 성벽을 일옥(一屋)을 지니고 공격하는 인마(人馬)는 모두 갑주(甲?)를 걸치고 있다. 그리고 일기(一騎)는 빨갛고 일기는 검다. 말의 갑주를 입은 유례는 노산리 개마총 벽화에도 있어서 특히 흥미를 끈다. 한층 더 잘 주의해서 살펴보면 그 상부에는 별도로 두 명의 보졸(步卒)이 격투(格鬪)하는 모양이나 성벽에 몸을 기대어 내부에서 이를 엿보고 있는 한 명의 인물 등을 볼 수 있다. 생각건대 이 공성도(攻城圖)는 피장자(被葬者)가 살아 있을 때의 경력의 일단락을 화면에 나타낸 것일 것이다. 동쪽 벽, 서쪽 벽은 어떤지 살펴보면 동쪽 벽은 위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빗물의 침입 피해가 가장 심한 벽이다.

    저작물 설명
    제1실을 살펴보면 그 천장 부분의 칠식(漆?)은 빗물의 침입 때문에 거의 박락(剝落)하고 있다. 따라서 아래 부분의 벽면도 폐손(?損)되고 특히 동쪽 벽에 있어서 가장 심하다. 네 벽의 구석구석에는 두공(斗?)을 구비한 기둥이 그려져 있는데 그것은 현저하게 형식화(形式化)한 것으로 묘법(描法)도 조잡하고 거칠다. 그리고 네 벽의 상연(上緣)에는 결조(結?)로 들어올려 길게 둘러치는 막(?幕)을 뺑 둘러치고 각 매듭 사이에는 타원형(?圓形)의 장식도 늘어져 있다. 막 바로 위의 선반받침은 일종의 복잡한 당초문(唐草文)으로 장식되었는데 그 당초문은 조선 평안 부근에 있어서의 노산리(魯山里) 개마총(鎧馬塚)의 벽화 의 그것에 유사한 것이 있다. 그리고 이 이상의 부분은 벽면의 박락에 의해서 회화(繪?)의 내용을 알 수 없다. 길게 둘러치는 막 아래의 벽면은 벽화가 있는 주요한 부분이다. 오늘날 그 형적(形迹)이 비교적 잘 남아 있는 것은 남북쪽 양벽(兩壁)의 상반(上半)과 서쪽 벽의 일부에 지나지 않는다. 우선 남쪽 벽의 좌반(左半)은 격자(格子)와 같은 일조(一條)의 띠로 상하의 장면을 구분하고 있다. 상면(上面)에는 왼쪽을 향해서 행렬하는 5명의 인물, 하면(下面)에는 수렵도를 그렸다. 상면의 행렬도 중 부부로 볼 수 있는 남녀 두 명의 인물은 특히 크다. 앞에 한 사람을 먼저 세우고 뒤에 두 사람이 따른다. 이들 인물의 복식(服飾)에 대해서는 여기에 상세히 기술할 겨를이 없는데 그것은 그 유명한 조선 평안남도 용강군(龍岡郡) 진지동(眞池洞) 소재지의 쌍영총(雙楹塚)의 벽화에도 본서(本書)에서 새롭게 우리들이 소개한 무용총(舞踊塚) 벽화에도 볼 수 있는 것이기 때문이다. 하면의 수렵도는 그 하반이 결손하고 단지 상반만이 존재하는데 말 위의 인물 두 명 중 한 명은 비금(飛禽)을 잡은 것 같은 매(鷹)를 손에 쥐고 있고 다른 한 사람은 맹수(猛獸)를 쏘는 활을 당기고 있다. 다음으로 동일한 남쪽 벽의 우반부(右半部)를 살펴보면 여기에도 5명의 인물이 행렬하는 광경이 그려져 있고 앞서 가는 두 명은 긴 자루의 양산(凉傘)을 쓰고 있다. 북쪽 벽에는 공성(攻城)의 그림이 있다. 벽면으로서는 그 상반부이다. 두 명의 기마무자(騎馬武者)가 성벽(城壁)을 공격하는 광경을 그린 것인데 필치(筆致)는 몹시 조졸(粗拙)하다. 문(門), 누(樓) 모두 구비한 성벽을 일옥(一屋)을 지니고 공격하는 인마(人馬)는 모두 갑주(甲?)를 걸치고 있다. 그리고 일기(一騎)는 빨갛고 일기는 검다. 말의 갑주를 입은 유례는 노산리 개마총 벽화에도 있어서 특히 흥미를 끈다. 한층 더 잘 주의해서 살펴보면 그 상부에는 별도로 두 명의 보졸(步卒)이 격투(格鬪)하는 모양이나 성벽에 몸을 기대어 내부에서 이를 엿보고 있는 한 명의 인물 등을 볼 수 있다. 생각건대 이 공성도(攻城圖)는 피장자(被葬者)가 살아 있을 때의 경력의 일단락을 화면에 나타낸 것일 것이다. 동쪽 벽, 서쪽 벽은 어떤지 살펴보면 동쪽 벽은 위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빗물의 침입 피해가 가장 심한 벽이다.
    다운로드

    ※ 고화질의 대용량(20~30MB/장)사진의 경우 다운로드에 다소 시간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출처표시 예시

    예시
    01
    본 저작물은 OOO(기관명)에서 OO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유형번호]유형으로 개방한 저작물명(작성자:OOO)을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OOO(기관명), OOO(홈페이지 주소)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위 내용은 예시이므로 작성연도 및 해당 기관명과 홈페이지 주소, 작성자명 기입

    예시
    02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유형번호]유형에 따라 [기관명(사이트 URL), 작성자:OOO]의 공공저작물을 이용하였습니다.
    예시
    03
    * 출처 -[기관명], [사이트명(사이트상세 URL)]

    유의사항

    <이용자가 가지는 권리 >

    1. 온·오프라인 상에 공유 및 이용 : 온·오프라인을 통하여 공유 및 이용 가능

    2. 저작물 변경 : 2차적 저작물로 변경하여 이용 가능

    3. 이 저작물은 영리 목적으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물 사용 조건>

    - 출처 표시 : 저작물의 출처를 표시하셔야 합니다.

    공공기관이 후원 한다고 하거나 공공기관과 특수한 관계에 있는 것처럼 제 3자가 오인하게 하는 표시를 해서는 안됩니다.

    < 알아야 할 사항 >

    I. 이용조건의 표시 및 변경

    1. 이용자가 공공누리 저작물 활용 시 출처표시를 꼭 해 주셔야 합니다.

    2. 공공누리 저작물의 이용조건은 변경될 수 있습니다.

    다만 이용자가 이용조건 변경 전 사용하셨다면 해당저작물 한해 용도변경 없이 계속 이용할 수 있습니다.

    II. 이용조건의 위반

    1. 이용자가 공공누리 이용조건을 위반할 경우 그 즉시 이용허락이 종료됩니다.

    2. 이용자가 이용조건 위반 후 지속적으로 공공저작물을 이용할 경우 저작권 침해가 성립되므로 형사상, 민사상 책임을 부담 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