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어
제공기관
    등록년도
    ~
    저작물 유형
    저작물 구분
    설명 보기:각 기관에서 제공해주신 원문DB 공공저작물로 바로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각 기관에서 제공해주신 원문DB 공공저작물로 바로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설명 보기: 각 기관 사이트에서 연계한 저작물로 기관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각 기관 사이트에서 연계한 저작물로 기관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이용조건 이란

    1) 제1유형 : 출처표시
    - 출처표시
    -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

    2) 제2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출처표시
    - 비상업적 이용만 가능
    -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

    3) 제3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출처표시
    -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금지

    4)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 출처표시
    - 비상업적 이용만 가능
    -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금지

    5) 만료공공저작물 : 이용조건(출처표시 포함)이 없이 자유롭게 이용
    - 이용조건(출처표시 포함) 없음

    조선고적조사보고 : 각저총 (이미지)

    이미지

    조선고적조사보고 : 각저총 (이미지)_1번 사진
    조선고적조사보고 : 각저총 (이미지)_2번 사진
    조선고적조사보고 : 각저총 (이미지)_3번 사진
    조선고적조사보고 : 각저총 (이미지)_4번 사진
    조선고적조사보고 : 각저총 (이미지)_5번 사진
    조선고적조사보고 : 각저총 (이미지)_6번 사진
    조선고적조사보고 : 각저총 (이미지)_7번 사진
    조선고적조사보고 : 각저총 (이미지)_8번 사진
    조선고적조사보고 : 각저총 (이미지)_9번 사진
    조선고적조사보고 : 각저총 (이미지)_10번 사진
    /
    83 178
    공유하기
    관련태그
    #국립문화재연구원 #문화유산연구지식포털 #조선고적조사보고 #일제강점기 #연구자료
    제공기관
    • · 촬영연도 : 1938
    • · 촬영기관 : 국립문화유산연구원
    • · 소장기관 : 국립문화유산연구원
    공공누리 유형

    국립문화유산연구원이(가) 보유한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1유형: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저작물 정보
    저작물 설명

    석실(石室) 내의 벽화를 살펴보면 그림 모양도 수법도 필치(筆致)도 무용총(舞踊塚)과 아주 비슷한데 그것보다 간단하다. 우선 전실(前室)에는 좌우 양반부(兩半部)의 각 세 벽에 암적색(暗赤色)으로 두꺼운 기둥과 들보를 나타내고 이것에 에워싸인 벽면에 각 한 그루터기씩 커다란 연리수(連理樹)를 그렸다. 그것은 두드러지게 문양화(文樣化)한 것이다. 그리고 들보 위의 벽면을 장식하는 데에는 삼각형 화염문(火炎文)이라고도 부를 수 있는 일종의 당초문(唐草文)을 이용하고 천장에는 간단한 당초문이 있다. 주실(主室) 천장 부분의 장식도 이에 속한다. 들보의 바로 위에 삼각형 화염문을 연철병치(連綴竝置)함과 동시에 자여(自餘)의 부분에는 빠지는 곳 없이 만상(蔓狀) 당초문을 그렸다. 당초문의 사이에는 제2 선반받침(持送)의 좌우 마주보는 위치에 각 원형(原型)을 그렸다. 섬서에 의한 월상(月象)과 삼각오(三脚烏)에 의한 일상(日象)을 나타냈다. 그리고 무용총에 있어서와 마찬가지로 전면(全面)에 걸쳐서 7개의 성좌(星座)를 배치하고 있다. 즉 이 총(塚)의 주실(主室)의 천장 부분은 천공(天空)을 모방하는 것을 주로 한 것으로 무용총 주실(主室)의 동일한 부분을 장식하는 그림 모양의 복잡 다종(多種)인 것에 대해서 분위기를 아주 달리 하고 있다. 주실의 중요한 벽화는 원래 사면(四面)의 주벽에 존재한다. 통로가 뚫린 전벽은 좌우로 나뉘고 그곳에 그려져 있는 것은 전실과 같은 연리수 각 한 그루터기에 지나지 않는데 다른 삼면의 벽화는 모두 흥미 깊은 것이다. 우선 오벽(奧壁)을 살펴보면 벽의 전면에 걸쳐서 하나의 옥실과 그 내부의 광경이 그려져 있다. 윗미닫이틀(上?)에 따라서 묶여 올라간 막(幕), 좌우의 기둥에 끌어 당겨지고 있던 휘장, 동자기둥과 동자기둥과의 사이에 일종의 운기문(雲氣文)을 장식한 낮은 마루와 바닥과의 수직 부분 위에 높아지는 바닥, 바닥 위에 기거(起居)하는 수 명의 인물, 여기저기에 놓여져 있는 수많은 조도(調度) 등 연극 무대에 완연(宛然)한 것이 있다. 바지를 입고 덧옷을 입고 올상에 앉아 있는 1명의 남자가 도자(刀子)를 갖춘 환도(還刀)를 옆에 놓고 팔짱을 끼고 있다. 또한 그 신변(身邊)에는 별도로 사각(四脚)을 가진 탁자가 있고 위에 궁시(弓矢)가 놓여 있다. 즉 이 인물은 신분이 높은 무인(武人)임에 틀림없는데 화면의 박락(剝落)에 의해서 두발면모(頭髮面貌)가 상세하지 않다. 이를 주인으로 하여 올자 옆 바닥 위에는 모자를 쓰고 장의(長衣)를 걸친 두 명의 부녀(婦女)가 무릎을 꿇고 앉아 있다. 아마 부인과 첩일 것이다. 이들 외에 주인의 왼쪽에는 화면의 박락에 의해 상반신을 잃은 다른 인물이 있다. 이와 거리를 두고 서 있는 한 명의 소동(小童)도 있다. 그리고 제2 부인의 오른쪽에는 장의를 입은 시녀(侍女)의 모습도 보이고 집 밖에는 하인(下人)인 듯한 남녀가 각각 한 명씩 서 있다. 그리고 주요 인물인 4명 사이에는 식기(食器)를 얹은 수 기의 탁자를 배치하고 있다.

    저작물 설명
    석실(石室) 내의 벽화를 살펴보면 그림 모양도 수법도 필치(筆致)도 무용총(舞踊塚)과 아주 비슷한데 그것보다 간단하다. 우선 전실(前室)에는 좌우 양반부(兩半部)의 각 세 벽에 암적색(暗赤色)으로 두꺼운 기둥과 들보를 나타내고 이것에 에워싸인 벽면에 각 한 그루터기씩 커다란 연리수(連理樹)를 그렸다. 그것은 두드러지게 문양화(文樣化)한 것이다. 그리고 들보 위의 벽면을 장식하는 데에는 삼각형 화염문(火炎文)이라고도 부를 수 있는 일종의 당초문(唐草文)을 이용하고 천장에는 간단한 당초문이 있다. 주실(主室) 천장 부분의 장식도 이에 속한다. 들보의 바로 위에 삼각형 화염문을 연철병치(連綴竝置)함과 동시에 자여(自餘)의 부분에는 빠지는 곳 없이 만상(蔓狀) 당초문을 그렸다. 당초문의 사이에는 제2 선반받침(持送)의 좌우 마주보는 위치에 각 원형(原型)을 그렸다. 섬서에 의한 월상(月象)과 삼각오(三脚烏)에 의한 일상(日象)을 나타냈다. 그리고 무용총에 있어서와 마찬가지로 전면(全面)에 걸쳐서 7개의 성좌(星座)를 배치하고 있다. 즉 이 총(塚)의 주실(主室)의 천장 부분은 천공(天空)을 모방하는 것을 주로 한 것으로 무용총 주실(主室)의 동일한 부분을 장식하는 그림 모양의 복잡 다종(多種)인 것에 대해서 분위기를 아주 달리 하고 있다. 주실의 중요한 벽화는 원래 사면(四面)의 주벽에 존재한다. 통로가 뚫린 전벽은 좌우로 나뉘고 그곳에 그려져 있는 것은 전실과 같은 연리수 각 한 그루터기에 지나지 않는데 다른 삼면의 벽화는 모두 흥미 깊은 것이다. 우선 오벽(奧壁)을 살펴보면 벽의 전면에 걸쳐서 하나의 옥실과 그 내부의 광경이 그려져 있다. 윗미닫이틀(上?)에 따라서 묶여 올라간 막(幕), 좌우의 기둥에 끌어 당겨지고 있던 휘장, 동자기둥과 동자기둥과의 사이에 일종의 운기문(雲氣文)을 장식한 낮은 마루와 바닥과의 수직 부분 위에 높아지는 바닥, 바닥 위에 기거(起居)하는 수 명의 인물, 여기저기에 놓여져 있는 수많은 조도(調度) 등 연극 무대에 완연(宛然)한 것이 있다. 바지를 입고 덧옷을 입고 올상에 앉아 있는 1명의 남자가 도자(刀子)를 갖춘 환도(還刀)를 옆에 놓고 팔짱을 끼고 있다. 또한 그 신변(身邊)에는 별도로 사각(四脚)을 가진 탁자가 있고 위에 궁시(弓矢)가 놓여 있다. 즉 이 인물은 신분이 높은 무인(武人)임에 틀림없는데 화면의 박락(剝落)에 의해서 두발면모(頭髮面貌)가 상세하지 않다. 이를 주인으로 하여 올자 옆 바닥 위에는 모자를 쓰고 장의(長衣)를 걸친 두 명의 부녀(婦女)가 무릎을 꿇고 앉아 있다. 아마 부인과 첩일 것이다. 이들 외에 주인의 왼쪽에는 화면의 박락에 의해 상반신을 잃은 다른 인물이 있다. 이와 거리를 두고 서 있는 한 명의 소동(小童)도 있다. 그리고 제2 부인의 오른쪽에는 장의를 입은 시녀(侍女)의 모습도 보이고 집 밖에는 하인(下人)인 듯한 남녀가 각각 한 명씩 서 있다. 그리고 주요 인물인 4명 사이에는 식기(食器)를 얹은 수 기의 탁자를 배치하고 있다.
    다운로드

    ※ 고화질의 대용량(20~30MB/장)사진의 경우 다운로드에 다소 시간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출처표시 예시

    예시
    01
    본 저작물은 OOO(기관명)에서 OO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유형번호]유형으로 개방한 저작물명(작성자:OOO)을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OOO(기관명), OOO(홈페이지 주소)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위 내용은 예시이므로 작성연도 및 해당 기관명과 홈페이지 주소, 작성자명 기입

    예시
    02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유형번호]유형에 따라 [기관명(사이트 URL), 작성자:OOO]의 공공저작물을 이용하였습니다.
    예시
    03
    * 출처 -[기관명], [사이트명(사이트상세 URL)]

    유의사항

    <이용자가 가지는 권리 >

    1. 온·오프라인 상에 공유 및 이용 : 온·오프라인을 통하여 공유 및 이용 가능

    2. 저작물 변경 : 2차적 저작물로 변경하여 이용 가능

    3. 이 저작물은 영리 목적으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물 사용 조건>

    - 출처 표시 : 저작물의 출처를 표시하셔야 합니다.

    공공기관이 후원 한다고 하거나 공공기관과 특수한 관계에 있는 것처럼 제 3자가 오인하게 하는 표시를 해서는 안됩니다.

    < 알아야 할 사항 >

    I. 이용조건의 표시 및 변경

    1. 이용자가 공공누리 저작물 활용 시 출처표시를 꼭 해 주셔야 합니다.

    2. 공공누리 저작물의 이용조건은 변경될 수 있습니다.

    다만 이용자가 이용조건 변경 전 사용하셨다면 해당저작물 한해 용도변경 없이 계속 이용할 수 있습니다.

    II. 이용조건의 위반

    1. 이용자가 공공누리 이용조건을 위반할 경우 그 즉시 이용허락이 종료됩니다.

    2. 이용자가 이용조건 위반 후 지속적으로 공공저작물을 이용할 경우 저작권 침해가 성립되므로 형사상, 민사상 책임을 부담 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