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고적조사보고 : 무용총우벽벽화 (이미지)
이미지
- 제공기관
-
- · 촬영연도 : 1938
- · 촬영기관 : 국립문화유산연구원
- · 소장기관 : 국립문화유산연구원
- 공공누리 유형
-
국립문화유산연구원이(가) 보유한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1유형: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 저작물 정보
- 저작물 설명
-
오른쪽 벽 중에 먼저 오벽(奧壁)에 인접하는 그 좌반부(左半部)를 살펴보면 여기에는 상하로 각 1동(棟)의 작은 건물(小屋)이 그려져 있다. 지붕은 판자지붕처럼 동(棟)의 중앙과 좌우에 보주형(寶珠形)의 장식을 얹고 전체 구조는 간소하다. 위쪽의 하나의 건물(屋)에는 앞에 양쪽으로 여닫게 되어 있는 문의 출입구가 있고 그곳에서 나온 삼인일렬(三人一列)의 장의(長衣)를 걸친 여자는 식기(食器)를 얹은 상(膳)이나 쟁반을 양손으로 높이 받들고 화면(畵面)의 왼쪽을 향하여 나아가고 있는데 이것은 주방(廚房) 및 그곳에서 준비한 음식을 옮기는 모양을 그린 것으로 오벽(奧壁)에 있는 공찬도(供餐圖)와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것이다. 아래쪽의 다른 하나의 건물(屋)의 오른쪽에는 온갱(溫坑)의 굴뚝같은 것이 보인다. 건물(屋)의 하반(下半)은 벽면의 박손(剝損)에 의해서 불분명한데 이것도 위의 주방과 같은 오벽(奧壁)의 주옥(主屋)에 부속하는 건물일 것이다. 이들 2개의 작은 건물(小屋) 오른쪽에는 말을 타고 있는 인물과 일군(一群)의 남녀가 가무(歌舞)하는 모습이 화려하게 그려져 있다. 동일한 벽면의 우반부(右半部)의 벽화(壁畵)이고 총(塚) 전체에 대한 무용총(舞踊塚)의 명명(命名)은 이 그림에 의한 것이다. 말을 타고 있는 인물은 용모로 보면 조금 나이가 들어 보이는 남자이다. 복장은 머리에 모자를 쓰고 몸에 좌임(左?)의 단의(短衣)와 옷자락을 묶은 바지를 입고 있다. 장년(壯年)처럼 보이는 오벽(奧壁)의 그림 속의 주인공의 것과 동일하다. 또한 말을 타고 있는 배후에는 어떤 것인지 판명되지 않는 일종의 기구를 손에 들고 있는 소동(小童)이 뒤를 따르고 앞에는 1마리의 개가 앞선다. 그리고 다음에 설명하는 무용(舞踊)은 이 인물을 중심으로 하여 행해지고 있는 것 같다. 그렇다면 이 무용도(舞踊圖)와 2개의 작은 건물(小屋)을 나타낸 좌반부(左半部)와의 관계는 어떠한가에 대해 말하자면 적어도 화제(畵題) 상에서는 그 사이에 직접적인 관계는 없는 듯 하다. 즉 무용의 광경은 오벽(奧壁)의 공찬도(供餐圖)에 대해서 그 일부를 이루지 않고 있는 독립적인 광경일 것이라고 생각된다. 단 주실(主室)의 벽화는 모두 피장자(被葬者) 생전의 사력(事歷)의 일단(一端)을 나타낸 것일 것이기 때문에 오벽(奧壁)의 공찬과 오른쪽 벽 우반부(右半部)의 무용(舞踊)이 서로 접하는 장소에 있어서 각 때를 같이하여 행해진 것일 것이라고 생각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나중에 설명하는 왼쪽 벽의 수렵도(狩獵圖)를 근거로 하여 추측하면 장소 및 시간 상에서 양자(兩者)를 떼어 놓는 편이 좋을 것 같다. 무용(舞踊)을 하고 있는 인물은 총계 14명으로 남자 사이에 여자가 섞여 있는데 남녀의 구별은 제각각의 복장에 의해서 분명하다. 그 중 특히 장면(場面)을 활기차게 하고 있는 것은 중간 부분에 있는 5명이 일렬로 서있는 남녀이다. 각각의 사람이 일궤(一軌)의 자세로 등 뒤에 긴 좁은 소매를 휘날리고 있다. 즉 무용도(舞踊圖)로서 언뜻 보기에 주의를 끄는 것은 실로 이 부분이다.
저작물 설명오른쪽 벽 중에 먼저 오벽(奧壁)에 인접하는 그 좌반부(左半部)를 살펴보면 여기에는 상하로 각 1동(棟)의 작은 건물(小屋)이 그려져 있다. 지붕은 판자지붕처럼 동(棟)의 중앙과 좌우에 보주형(寶珠形)의 장식을 얹고 전체 구조는 간소하다. 위쪽의 하나의 건물(屋)에는 앞에 양쪽으로 여닫게 되어 있는 문의 출입구가 있고 그곳에서 나온 삼인일렬(三人一列)의 장의(長衣)를 걸친 여자는 식기(食器)를 얹은 상(膳)이나 쟁반을 양손으로 높이 받들고 화면(畵面)의 왼쪽을 향하여 나아가고 있는데 이것은 주방(廚房) 및 그곳에서 준비한 음식을 옮기는 모양을 그린 것으로 오벽(奧壁)에 있는 공찬도(供餐圖)와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것이다. 아래쪽의 다른 하나의 건물(屋)의 오른쪽에는 온갱(溫坑)의 굴뚝같은 것이 보인다. 건물(屋)의 하반(下半)은 벽면의 박손(剝損)에 의해서 불분명한데 이것도 위의 주방과 같은 오벽(奧壁)의 주옥(主屋)에 부속하는 건물일 것이다. 이들 2개의 작은 건물(小屋) 오른쪽에는 말을 타고 있는 인물과 일군(一群)의 남녀가 가무(歌舞)하는 모습이 화려하게 그려져 있다. 동일한 벽면의 우반부(右半部)의 벽화(壁畵)이고 총(塚) 전체에 대한 무용총(舞踊塚)의 명명(命名)은 이 그림에 의한 것이다. 말을 타고 있는 인물은 용모로 보면 조금 나이가 들어 보이는 남자이다. 복장은 머리에 모자를 쓰고 몸에 좌임(左?)의 단의(短衣)와 옷자락을 묶은 바지를 입고 있다. 장년(壯年)처럼 보이는 오벽(奧壁)의 그림 속의 주인공의 것과 동일하다. 또한 말을 타고 있는 배후에는 어떤 것인지 판명되지 않는 일종의 기구를 손에 들고 있는 소동(小童)이 뒤를 따르고 앞에는 1마리의 개가 앞선다. 그리고 다음에 설명하는 무용(舞踊)은 이 인물을 중심으로 하여 행해지고 있는 것 같다. 그렇다면 이 무용도(舞踊圖)와 2개의 작은 건물(小屋)을 나타낸 좌반부(左半部)와의 관계는 어떠한가에 대해 말하자면 적어도 화제(畵題) 상에서는 그 사이에 직접적인 관계는 없는 듯 하다. 즉 무용의 광경은 오벽(奧壁)의 공찬도(供餐圖)에 대해서 그 일부를 이루지 않고 있는 독립적인 광경일 것이라고 생각된다. 단 주실(主室)의 벽화는 모두 피장자(被葬者) 생전의 사력(事歷)의 일단(一端)을 나타낸 것일 것이기 때문에 오벽(奧壁)의 공찬과 오른쪽 벽 우반부(右半部)의 무용(舞踊)이 서로 접하는 장소에 있어서 각 때를 같이하여 행해진 것일 것이라고 생각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나중에 설명하는 왼쪽 벽의 수렵도(狩獵圖)를 근거로 하여 추측하면 장소 및 시간 상에서 양자(兩者)를 떼어 놓는 편이 좋을 것 같다. 무용(舞踊)을 하고 있는 인물은 총계 14명으로 남자 사이에 여자가 섞여 있는데 남녀의 구별은 제각각의 복장에 의해서 분명하다. 그 중 특히 장면(場面)을 활기차게 하고 있는 것은 중간 부분에 있는 5명이 일렬로 서있는 남녀이다. 각각의 사람이 일궤(一軌)의 자세로 등 뒤에 긴 좁은 소매를 휘날리고 있다. 즉 무용도(舞踊圖)로서 언뜻 보기에 주의를 끄는 것은 실로 이 부분이다.
- 다운로드
-
※ 고화질의 대용량(20~30MB/장)사진의 경우 다운로드에 다소 시간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출처표시 예시
- 예시
01 -
본 저작물은 OOO(기관명)에서 OO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유형번호]유형으로 개방한 저작물명(작성자:OOO)을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OOO(기관명), OOO(홈페이지 주소)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위 내용은 예시이므로 작성연도 및 해당 기관명과 홈페이지 주소, 작성자명 기입
- 예시
02 -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유형번호]유형에 따라 [기관명(사이트 URL), 작성자:OOO]의 공공저작물을 이용하였습니다.
- 예시
03 -
* 출처 -[기관명], [사이트명(사이트상세 URL)]
유의사항
1. 온·오프라인 상에 공유 및 이용 : 온·오프라인을 통하여 공유 및 이용 가능
2. 저작물 변경 : 2차적 저작물로 변경하여 이용 가능
3. 이 저작물은 영리 목적으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물 사용 조건>- 출처 표시 : 저작물의 출처를 표시하셔야 합니다.
공공기관이 후원 한다고 하거나 공공기관과 특수한 관계에 있는 것처럼 제 3자가 오인하게 하는 표시를 해서는 안됩니다.
< 알아야 할 사항 >I. 이용조건의 표시 및 변경
1. 이용자가 공공누리 저작물 활용 시 출처표시를 꼭 해 주셔야 합니다.
2. 공공누리 저작물의 이용조건은 변경될 수 있습니다.
다만 이용자가 이용조건 변경 전 사용하셨다면 해당저작물 한해 용도변경 없이 계속 이용할 수 있습니다.
II. 이용조건의 위반1. 이용자가 공공누리 이용조건을 위반할 경우 그 즉시 이용허락이 종료됩니다.
2. 이용자가 이용조건 위반 후 지속적으로 공공저작물을 이용할 경우 저작권 침해가 성립되므로 형사상, 민사상 책임을 부담 하실 수 있습니다.
원본신청안내 및 개인정보 수집동의
고품질 공공저작물 원본 신청
공공누리에서 제공하는 공공저작물 중 공공누리 1유형은 출처표시만 한다면 영리, 비영리 목적으로 모두 활용 가능하며 개작 등 2차 변형이 가능하도록 무료로 개방하고 있습니다. 다만, 원활한 저작물 제공과 관리를 위해 아래와 같이 원본 이용 신청을 받고 있습니다.
원본 신청 파일 수령 안내
한국문화정보원에서는 공공저작물 원본 파일을 방문수령 또는 저장장치 배송을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원본 신청 접수 완료 후 상세 수령 절차는 기입하신 이메일을 통해 안내 드립니다.
* 1일 이내 안내메일 발송(주말제외)
* 원본 저장 장치(USB, 외장하드 등)를 사전에 준비하셔야 하며 왕복 택배비는 신청자 부담입니다.
개인정보이용 동의 안내
한국문화정보원에서는 공공저작물 원본 관리 및 전달 등과 관련하여 귀하의 개인정보를 아래와 같이 수집하고자 합니다. 다음의 사항에 대해 충분히 읽어 보신 후, 동의 여부를 체크, 서명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개인정보 수집항목
- 기 업 : 기업명, 소속/부서
- 담 당 자 : 성명, 이메일 주소
- 일반 국민 : 성명, 이메일 주소
* 개인정보 수집목적
- 이용허가 및 저작권 이용관리
보유기간 : 수집된 정보는 3년간 보존하며, 수집된 정보는 수집 목적 이외의 다른 목적으로 사용되지 않습니다.
위의 개인정보 수집에 대한 동의를 거부할 권리가 있습니다. 그러나 동의를 거부할 경우 원활한 저작권 이용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원본신청안내 및 개인정보 수집동의
공공누리 이용 약관 및 개인 정보이용 동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