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어
제공기관
    등록년도
    ~
    저작물 유형
    저작물 구분
    설명 보기:각 기관에서 제공해주신 원문DB 공공저작물로 바로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각 기관에서 제공해주신 원문DB 공공저작물로 바로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설명 보기: 각 기관 사이트에서 연계한 저작물로 기관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각 기관 사이트에서 연계한 저작물로 기관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이용조건 이란

    1) 제1유형 : 출처표시
    - 출처표시
    -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

    2) 제2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출처표시
    - 비상업적 이용만 가능
    -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

    3) 제3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출처표시
    -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금지

    4)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 출처표시
    - 비상업적 이용만 가능
    -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금지

    5) 만료공공저작물 : 이용조건(출처표시 포함)이 없이 자유롭게 이용
    - 이용조건(출처표시 포함) 없음

    조선고적조사보고 : 무용총전실구조 (이미지)

    이미지

    조선고적조사보고 : 무용총전실구조 (이미지)_1번 사진
    /
    78 11
    공유하기
    관련태그
    #국립문화재연구원 #문화유산연구지식포털 #조선고적조사보고 #일제강점기 #연구자료
    제공기관
    • · 촬영연도 : 1938
    • · 촬영기관 : 국립문화유산연구원
    • · 소장기관 : 국립문화유산연구원
    공공누리 유형

    국립문화유산연구원이(가) 보유한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1유형: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저작물 정보
    저작물 설명

    석실(石室)의 연도(羨道) 좌우 벽면의 전실(前室)에 접하는 부분 및 통로의 양벽(兩壁)의 주실(主室)로 연결되는 부분에는 제각각 목격(木格)이 존재하였던 형적(形迹)을 남기고 있다. 이것은 본래 그곳에 문(扉)의 설비가 있었던 것을 증명하는 것이다. 평양 부근의 고구려 시대의 한 고분(古墳) 석실(石室)의 통로에 있어서 석비(石扉)의 존재 사실은 이 종(種)의 설비에 대한 유례(類例)로 해야 한다. 주실(主室)의 기저면(基底面) 서반부(西半部)에는 주축(主軸)을 따라서 일렬(一列)로 나란히 있던 크고 작은 4개의 판석(板石)이 잔존(殘存)한다. 4개 합쳐서 길이 약 8척, 폭 약 3척이다. 관좌(棺座)의 흔적인 것은 의심의 여지가 없다. 연도의 전반(前半, 여기에는 최근의 보존 공사에 따라 새롭게 설치된 출입구가 있다.)의 저면(底面)에는 세로로 길게 나란히 깔린 2, 3장의 판석이 있다. 언뜻 보기에 내부로 인도하는 석단(石段)인 것처럼 생각되는데 연도의 내부에 있어서 이들 판석의 말단(末端)이 하나의 선(線)을 이루고 있지 않은 점, 연도의 좌우 측벽(側壁)과의 사이에 약간의 간극(間隙)이 존재하는 점 등을 합쳐서 생각하면 그렇지 않고 매장(埋葬) 뒤 연문(羨門)을 닫은 석재(石材)의 흔적일 것이다.

    저작물 설명
    석실(石室)의 연도(羨道) 좌우 벽면의 전실(前室)에 접하는 부분 및 통로의 양벽(兩壁)의 주실(主室)로 연결되는 부분에는 제각각 목격(木格)이 존재하였던 형적(形迹)을 남기고 있다. 이것은 본래 그곳에 문(扉)의 설비가 있었던 것을 증명하는 것이다. 평양 부근의 고구려 시대의 한 고분(古墳) 석실(石室)의 통로에 있어서 석비(石扉)의 존재 사실은 이 종(種)의 설비에 대한 유례(類例)로 해야 한다. 주실(主室)의 기저면(基底面) 서반부(西半部)에는 주축(主軸)을 따라서 일렬(一列)로 나란히 있던 크고 작은 4개의 판석(板石)이 잔존(殘存)한다. 4개 합쳐서 길이 약 8척, 폭 약 3척이다. 관좌(棺座)의 흔적인 것은 의심의 여지가 없다. 연도의 전반(前半, 여기에는 최근의 보존 공사에 따라 새롭게 설치된 출입구가 있다.)의 저면(底面)에는 세로로 길게 나란히 깔린 2, 3장의 판석이 있다. 언뜻 보기에 내부로 인도하는 석단(石段)인 것처럼 생각되는데 연도의 내부에 있어서 이들 판석의 말단(末端)이 하나의 선(線)을 이루고 있지 않은 점, 연도의 좌우 측벽(側壁)과의 사이에 약간의 간극(間隙)이 존재하는 점 등을 합쳐서 생각하면 그렇지 않고 매장(埋葬) 뒤 연문(羨門)을 닫은 석재(石材)의 흔적일 것이다.
    다운로드

    ※ 고화질의 대용량(20~30MB/장)사진의 경우 다운로드에 다소 시간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출처표시 예시

    예시
    01
    본 저작물은 OOO(기관명)에서 OO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유형번호]유형으로 개방한 저작물명(작성자:OOO)을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OOO(기관명), OOO(홈페이지 주소)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위 내용은 예시이므로 작성연도 및 해당 기관명과 홈페이지 주소, 작성자명 기입

    예시
    02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유형번호]유형에 따라 [기관명(사이트 URL), 작성자:OOO]의 공공저작물을 이용하였습니다.
    예시
    03
    * 출처 -[기관명], [사이트명(사이트상세 URL)]

    유의사항

    <이용자가 가지는 권리 >

    1. 온·오프라인 상에 공유 및 이용 : 온·오프라인을 통하여 공유 및 이용 가능

    2. 저작물 변경 : 2차적 저작물로 변경하여 이용 가능

    3. 이 저작물은 영리 목적으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물 사용 조건>

    - 출처 표시 : 저작물의 출처를 표시하셔야 합니다.

    공공기관이 후원 한다고 하거나 공공기관과 특수한 관계에 있는 것처럼 제 3자가 오인하게 하는 표시를 해서는 안됩니다.

    < 알아야 할 사항 >

    I. 이용조건의 표시 및 변경

    1. 이용자가 공공누리 저작물 활용 시 출처표시를 꼭 해 주셔야 합니다.

    2. 공공누리 저작물의 이용조건은 변경될 수 있습니다.

    다만 이용자가 이용조건 변경 전 사용하셨다면 해당저작물 한해 용도변경 없이 계속 이용할 수 있습니다.

    II. 이용조건의 위반

    1. 이용자가 공공누리 이용조건을 위반할 경우 그 즉시 이용허락이 종료됩니다.

    2. 이용자가 이용조건 위반 후 지속적으로 공공저작물을 이용할 경우 저작권 침해가 성립되므로 형사상, 민사상 책임을 부담 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