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고적조사보고 : 고산리제7호분 (이미지)
이미지
- 제공기관
-
- · 촬영연도 : 1937
- · 촬영기관 : 국립문화유산연구원
- · 소장기관 : 국립문화유산연구원
- 공공누리 유형
-
국립문화유산연구원이(가) 보유한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1유형: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 저작물 정보
- 저작물 설명
-
제1호분의 약간 북쪽에 흘립(屹立)하고 있고 제1호분, 제8호분과 마치 삼부품자(三阜品字)의 위치에 있다. 이 3기는 본 고분군 중에서 특히 눈이 끌리는 큰 고분이다. 분구는 대략 방대형에 가깝고 직경은 동서쪽 58척, 남북쪽 61척이고 그 높이는 12척에 달한다. 정상은 평활(平?)하고 4, 5개의 큰 돌이 노출되어 있다. 이미 옛날 도굴의 액(厄)을 만난 것을 나타내고 있다. 곽실은 정남(正南)으로부터 약 22도 서쪽으로 기운 방향에 면해 있고 후실(後室), 전실(前室), 좌우의 익실(翼室) 및 긴 연도 등으로 되어 있는 매우 복잡한 평면형의 구조를 가지고 있다. 현실의 넓이는 동쪽벽 11척 6촌, 북쪽벽 11척 8촌 5분이고 대략 정방형을 이룬다. 네 벽은 위쪽이 다소 앞으로 구부려져 있고 그 높이는 8척 1촌 5분이다. 회반죽을 칠한 상반(上半)은 거의 박락(剝落)하여 안에 쌓은 크고 작은 석재를 노출하고 있다. 벽 위의 선반받침은 지금 2출(出)을 볼 수 있는데 사실은 초단(初段)의 일부와 상단(上段)의 돌 하나만을 남긴 것에 불과하다. 그 위쪽은 전부 제거되어 형적이 없다. 입구는 남쪽 벽의 중앙에 만들어져 있고 폭은 3척 5촌 5분, 길이는 2척 9촌, 높이는 약 5척이고 전실(前室)로 통한다. 전실은 동서쪽 4척 4촌, 남북쪽 7척 2촌이다. 벽의 위쪽에 1단(段)의 선반받침을 내고 회반죽으로 바른 1장의 천장석을 받친다. 그 높이는 약 6척 4촌이고 무게 때문에 현저히 남쪽이 가라앉아 내리고 또 파괴되었다. 동서쪽에는 각 1개의 작은 익실(翼室)이 있다. 폭은 2척 2촌, 높이는 2척 9촌이다. 입구에 의해 전자와 연결된다. 동쪽 익실은 동쪽벽 길이 4척, 남쪽벽 폭 3척 6촌, 높이 5척 7촌 남짓인 소규모이다. 위쪽은 1단의 선반받침 위에 2중의 삼각형 선반받침을 내고 있고 방형인 천장을 얹은 것이 보통의 고구려식이지만 서쪽 익실은 1단의 선반받침 위에 맞배지붕형(切妻形) 천장을 덮은 점이 이색적이다. 이 실 또한 동쪽벽 길이 4척, 남북쪽 폭 3척 1촌의 작은 장방형의 평면으로 높이는 5척 7촌이다. 두 익실 다 회반죽면이 완존하는데 흙이 녹슬었기 때문에 검푸른 흑색을 나타낸다. 실 안은 협애(狹隘)하여 겨우 1명을 수용하기에 불과하다. 이러한 작은 실을 무슨 이유로 특별히 만들었는지는 지금 갑자기 설명하기 어렵고 어쩌면 감실(龕)과 같은 의미인 것일까하는 생각이 든다. 전실 입구는 남쪽에 열려 있고 폭은 약 3척, 높이는 4척 9촌, 길이는 3척 9촌이다. 전실은 원래 2장의 판석(板石)으로 밀폐하였는데 지금 동반(東半)을 잃고 서반(西半)도 그 위쪽을 결손하였다. 연도부는 길이가 8척, 높이가 5척 4촌, 폭은 3척 5촌으로 밖을 향하여 조금 넓게 입을 열고 있다. 양쪽 벽의 회반죽은 박락(剝落)이 많고 천장석도 현재는 1장이 남아 있을 뿐이다. 연도를 막는 석재는 대부분 반출되었는데 여전히 십 수 개 잔존하고 있고 회반죽(漆?)에 의해 서로 밀착, 구상(舊狀)을 나타낸다.
저작물 설명제1호분의 약간 북쪽에 흘립(屹立)하고 있고 제1호분, 제8호분과 마치 삼부품자(三阜品字)의 위치에 있다. 이 3기는 본 고분군 중에서 특히 눈이 끌리는 큰 고분이다. 분구는 대략 방대형에 가깝고 직경은 동서쪽 58척, 남북쪽 61척이고 그 높이는 12척에 달한다. 정상은 평활(平?)하고 4, 5개의 큰 돌이 노출되어 있다. 이미 옛날 도굴의 액(厄)을 만난 것을 나타내고 있다. 곽실은 정남(正南)으로부터 약 22도 서쪽으로 기운 방향에 면해 있고 후실(後室), 전실(前室), 좌우의 익실(翼室) 및 긴 연도 등으로 되어 있는 매우 복잡한 평면형의 구조를 가지고 있다. 현실의 넓이는 동쪽벽 11척 6촌, 북쪽벽 11척 8촌 5분이고 대략 정방형을 이룬다. 네 벽은 위쪽이 다소 앞으로 구부려져 있고 그 높이는 8척 1촌 5분이다. 회반죽을 칠한 상반(上半)은 거의 박락(剝落)하여 안에 쌓은 크고 작은 석재를 노출하고 있다. 벽 위의 선반받침은 지금 2출(出)을 볼 수 있는데 사실은 초단(初段)의 일부와 상단(上段)의 돌 하나만을 남긴 것에 불과하다. 그 위쪽은 전부 제거되어 형적이 없다. 입구는 남쪽 벽의 중앙에 만들어져 있고 폭은 3척 5촌 5분, 길이는 2척 9촌, 높이는 약 5척이고 전실(前室)로 통한다. 전실은 동서쪽 4척 4촌, 남북쪽 7척 2촌이다. 벽의 위쪽에 1단(段)의 선반받침을 내고 회반죽으로 바른 1장의 천장석을 받친다. 그 높이는 약 6척 4촌이고 무게 때문에 현저히 남쪽이 가라앉아 내리고 또 파괴되었다. 동서쪽에는 각 1개의 작은 익실(翼室)이 있다. 폭은 2척 2촌, 높이는 2척 9촌이다. 입구에 의해 전자와 연결된다. 동쪽 익실은 동쪽벽 길이 4척, 남쪽벽 폭 3척 6촌, 높이 5척 7촌 남짓인 소규모이다. 위쪽은 1단의 선반받침 위에 2중의 삼각형 선반받침을 내고 있고 방형인 천장을 얹은 것이 보통의 고구려식이지만 서쪽 익실은 1단의 선반받침 위에 맞배지붕형(切妻形) 천장을 덮은 점이 이색적이다. 이 실 또한 동쪽벽 길이 4척, 남북쪽 폭 3척 1촌의 작은 장방형의 평면으로 높이는 5척 7촌이다. 두 익실 다 회반죽면이 완존하는데 흙이 녹슬었기 때문에 검푸른 흑색을 나타낸다. 실 안은 협애(狹隘)하여 겨우 1명을 수용하기에 불과하다. 이러한 작은 실을 무슨 이유로 특별히 만들었는지는 지금 갑자기 설명하기 어렵고 어쩌면 감실(龕)과 같은 의미인 것일까하는 생각이 든다. 전실 입구는 남쪽에 열려 있고 폭은 약 3척, 높이는 4척 9촌, 길이는 3척 9촌이다. 전실은 원래 2장의 판석(板石)으로 밀폐하였는데 지금 동반(東半)을 잃고 서반(西半)도 그 위쪽을 결손하였다. 연도부는 길이가 8척, 높이가 5척 4촌, 폭은 3척 5촌으로 밖을 향하여 조금 넓게 입을 열고 있다. 양쪽 벽의 회반죽은 박락(剝落)이 많고 천장석도 현재는 1장이 남아 있을 뿐이다. 연도를 막는 석재는 대부분 반출되었는데 여전히 십 수 개 잔존하고 있고 회반죽(漆?)에 의해 서로 밀착, 구상(舊狀)을 나타낸다.
- 다운로드
-
※ 고화질의 대용량(20~30MB/장)사진의 경우 다운로드에 다소 시간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출처표시 예시
- 예시
01 -
본 저작물은 OOO(기관명)에서 OO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유형번호]유형으로 개방한 저작물명(작성자:OOO)을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OOO(기관명), OOO(홈페이지 주소)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위 내용은 예시이므로 작성연도 및 해당 기관명과 홈페이지 주소, 작성자명 기입
- 예시
02 -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유형번호]유형에 따라 [기관명(사이트 URL), 작성자:OOO]의 공공저작물을 이용하였습니다.
- 예시
03 -
* 출처 -[기관명], [사이트명(사이트상세 URL)]
유의사항
1. 온·오프라인 상에 공유 및 이용 : 온·오프라인을 통하여 공유 및 이용 가능
2. 저작물 변경 : 2차적 저작물로 변경하여 이용 가능
3. 이 저작물은 영리 목적으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물 사용 조건>- 출처 표시 : 저작물의 출처를 표시하셔야 합니다.
공공기관이 후원 한다고 하거나 공공기관과 특수한 관계에 있는 것처럼 제 3자가 오인하게 하는 표시를 해서는 안됩니다.
< 알아야 할 사항 >I. 이용조건의 표시 및 변경
1. 이용자가 공공누리 저작물 활용 시 출처표시를 꼭 해 주셔야 합니다.
2. 공공누리 저작물의 이용조건은 변경될 수 있습니다.
다만 이용자가 이용조건 변경 전 사용하셨다면 해당저작물 한해 용도변경 없이 계속 이용할 수 있습니다.
II. 이용조건의 위반1. 이용자가 공공누리 이용조건을 위반할 경우 그 즉시 이용허락이 종료됩니다.
2. 이용자가 이용조건 위반 후 지속적으로 공공저작물을 이용할 경우 저작권 침해가 성립되므로 형사상, 민사상 책임을 부담 하실 수 있습니다.
원본신청안내 및 개인정보 수집동의
고품질 공공저작물 원본 신청
공공누리에서 제공하는 공공저작물 중 공공누리 1유형은 출처표시만 한다면 영리, 비영리 목적으로 모두 활용 가능하며 개작 등 2차 변형이 가능하도록 무료로 개방하고 있습니다. 다만, 원활한 저작물 제공과 관리를 위해 아래와 같이 원본 이용 신청을 받고 있습니다.
원본 신청 파일 수령 안내
한국문화정보원에서는 공공저작물 원본 파일을 방문수령 또는 저장장치 배송을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원본 신청 접수 완료 후 상세 수령 절차는 기입하신 이메일을 통해 안내 드립니다.
* 1일 이내 안내메일 발송(주말제외)
* 원본 저장 장치(USB, 외장하드 등)를 사전에 준비하셔야 하며 왕복 택배비는 신청자 부담입니다.
개인정보이용 동의 안내
한국문화정보원에서는 공공저작물 원본 관리 및 전달 등과 관련하여 귀하의 개인정보를 아래와 같이 수집하고자 합니다. 다음의 사항에 대해 충분히 읽어 보신 후, 동의 여부를 체크, 서명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개인정보 수집항목
- 기 업 : 기업명, 소속/부서
- 담 당 자 : 성명, 이메일 주소
- 일반 국민 : 성명, 이메일 주소
* 개인정보 수집목적
- 이용허가 및 저작권 이용관리
보유기간 : 수집된 정보는 3년간 보존하며, 수집된 정보는 수집 목적 이외의 다른 목적으로 사용되지 않습니다.
위의 개인정보 수집에 대한 동의를 거부할 권리가 있습니다. 그러나 동의를 거부할 경우 원활한 저작권 이용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원본신청안내 및 개인정보 수집동의
공공누리 이용 약관 및 개인 정보이용 동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