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고적조사보고 : 용강군용월면갈현리소루 (이미지)
이미지
- 제공기관
-
- · 촬영연도 : 1926
- · 촬영기관 : 국립문화유산연구원
- · 소장기관 : 국립문화유산연구원
- 공공누리 유형
-
국립문화유산연구원이(가) 보유한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1유형: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 저작물 정보
- 저작물 설명
-
1916(大正5)년 11월 우리는 갈성리(葛城里) 갑분(甲墳)을 발굴하던 중 우연히 토착민(土民)으로부터 용강군(龍岡郡) 용월면(龍月面) 갈현리(葛峴里) 방우춘(方遇春)의 택지 내에서 전돌(塼)을 발굴한 적이 있다는 이야기를 듣고 23일에 가서 현장을 조사하였다. 방우춘의 집은 서남쪽에 위치해 있고 그 택지는 주위 경작지보다 한단 높이 쌓아 올려 있으며 정면에 장방형(長方形)의 평면을 가지고 있는 건물이 있었다. 그 안을 지나서 문이 되고 문으로 들어가면 안뜰(中庭)을 지나 평면 장방형인 주옥(主屋)이 있다. 이 안뜰 맞은편 오른쪽 뒤에 평면 방형(方形)의 정자(亭)가 서 있다. 이 정자의 하층은 네 벽 모두 고전(古塼)으로 쌓았고 그 위에 허술한 누각을 세우고 있다. 또 주옥의 뒤쪽 오른쪽 가장자리 가까이에 전돌로 쌓은 굴뚝이 서 있다. 방우춘이 말하는 바에 따르면, 몇 년 전 주옥의 동남쪽(오른쪽) 약 15척의 지점에서 커다란 전돌 약 100장을 발굴한 적이 있었고 또 문의 남쪽(전방 오른쪽) 약 50척 지점에서 고전(古塼)을 800장 정도 발굴하여 이것을 이용하여 정자의 하층벽과 굴뚝을 쌓은 적이 있다는 것이다. 주옥의 오른쪽에서 출토된 전돌은 조선에서는 그 어느 곳에서도 발견된 적이 없는 위대한 것으로 길이 1척 2촌 5분, 넓이 6촌, 두께 2촌 9분이었다. 이와 같은 종류의 대전(大塼)은 그 이전에 만주에서 하마다(濱田) 박사, 도리이(鳥居) 박사가 발굴한 적이 있었던 것뿐이다. 그 긴 쪽 면은 3조(條)의 경계선(界線)에 의해서 네 구역으로 나누고 절단면은 3조의 경계선에 의해서 두 구역으로 나누어 각 구역에 각각 일종(一種)의 능(菱) 문양이 넣어져 있다. 또 그 평면에는 석목(席目)과 같이 압형문(押形文)을 나타내고 있다. 수법은 간결하고 웅대하여 아마 전한(前漢) 시대에 속하는 것일 것이다.
저작물 설명1916(大正5)년 11월 우리는 갈성리(葛城里) 갑분(甲墳)을 발굴하던 중 우연히 토착민(土民)으로부터 용강군(龍岡郡) 용월면(龍月面) 갈현리(葛峴里) 방우춘(方遇春)의 택지 내에서 전돌(塼)을 발굴한 적이 있다는 이야기를 듣고 23일에 가서 현장을 조사하였다. 방우춘의 집은 서남쪽에 위치해 있고 그 택지는 주위 경작지보다 한단 높이 쌓아 올려 있으며 정면에 장방형(長方形)의 평면을 가지고 있는 건물이 있었다. 그 안을 지나서 문이 되고 문으로 들어가면 안뜰(中庭)을 지나 평면 장방형인 주옥(主屋)이 있다. 이 안뜰 맞은편 오른쪽 뒤에 평면 방형(方形)의 정자(亭)가 서 있다. 이 정자의 하층은 네 벽 모두 고전(古塼)으로 쌓았고 그 위에 허술한 누각을 세우고 있다. 또 주옥의 뒤쪽 오른쪽 가장자리 가까이에 전돌로 쌓은 굴뚝이 서 있다. 방우춘이 말하는 바에 따르면, 몇 년 전 주옥의 동남쪽(오른쪽) 약 15척의 지점에서 커다란 전돌 약 100장을 발굴한 적이 있었고 또 문의 남쪽(전방 오른쪽) 약 50척 지점에서 고전(古塼)을 800장 정도 발굴하여 이것을 이용하여 정자의 하층벽과 굴뚝을 쌓은 적이 있다는 것이다. 주옥의 오른쪽에서 출토된 전돌은 조선에서는 그 어느 곳에서도 발견된 적이 없는 위대한 것으로 길이 1척 2촌 5분, 넓이 6촌, 두께 2촌 9분이었다. 이와 같은 종류의 대전(大塼)은 그 이전에 만주에서 하마다(濱田) 박사, 도리이(鳥居) 박사가 발굴한 적이 있었던 것뿐이다. 그 긴 쪽 면은 3조(條)의 경계선(界線)에 의해서 네 구역으로 나누고 절단면은 3조의 경계선에 의해서 두 구역으로 나누어 각 구역에 각각 일종(一種)의 능(菱) 문양이 넣어져 있다. 또 그 평면에는 석목(席目)과 같이 압형문(押形文)을 나타내고 있다. 수법은 간결하고 웅대하여 아마 전한(前漢) 시대에 속하는 것일 것이다.
- 다운로드
-
※ 고화질의 대용량(20~30MB/장)사진의 경우 다운로드에 다소 시간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출처표시 예시
- 예시
01 -
본 저작물은 OOO(기관명)에서 OO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유형번호]유형으로 개방한 저작물명(작성자:OOO)을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OOO(기관명), OOO(홈페이지 주소)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위 내용은 예시이므로 작성연도 및 해당 기관명과 홈페이지 주소, 작성자명 기입
- 예시
02 -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유형번호]유형에 따라 [기관명(사이트 URL), 작성자:OOO]의 공공저작물을 이용하였습니다.
- 예시
03 -
* 출처 -[기관명], [사이트명(사이트상세 URL)]
유의사항
1. 온·오프라인 상에 공유 및 이용 : 온·오프라인을 통하여 공유 및 이용 가능
2. 저작물 변경 : 2차적 저작물로 변경하여 이용 가능
3. 이 저작물은 영리 목적으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물 사용 조건>- 출처 표시 : 저작물의 출처를 표시하셔야 합니다.
공공기관이 후원 한다고 하거나 공공기관과 특수한 관계에 있는 것처럼 제 3자가 오인하게 하는 표시를 해서는 안됩니다.
< 알아야 할 사항 >I. 이용조건의 표시 및 변경
1. 이용자가 공공누리 저작물 활용 시 출처표시를 꼭 해 주셔야 합니다.
2. 공공누리 저작물의 이용조건은 변경될 수 있습니다.
다만 이용자가 이용조건 변경 전 사용하셨다면 해당저작물 한해 용도변경 없이 계속 이용할 수 있습니다.
II. 이용조건의 위반1. 이용자가 공공누리 이용조건을 위반할 경우 그 즉시 이용허락이 종료됩니다.
2. 이용자가 이용조건 위반 후 지속적으로 공공저작물을 이용할 경우 저작권 침해가 성립되므로 형사상, 민사상 책임을 부담 하실 수 있습니다.
원본신청안내 및 개인정보 수집동의
고품질 공공저작물 원본 신청
공공누리에서 제공하는 공공저작물 중 공공누리 1유형은 출처표시만 한다면 영리, 비영리 목적으로 모두 활용 가능하며 개작 등 2차 변형이 가능하도록 무료로 개방하고 있습니다. 다만, 원활한 저작물 제공과 관리를 위해 아래와 같이 원본 이용 신청을 받고 있습니다.
원본 신청 파일 수령 안내
한국문화정보원에서는 공공저작물 원본 파일을 방문수령 또는 저장장치 배송을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원본 신청 접수 완료 후 상세 수령 절차는 기입하신 이메일을 통해 안내 드립니다.
* 1일 이내 안내메일 발송(주말제외)
* 원본 저장 장치(USB, 외장하드 등)를 사전에 준비하셔야 하며 왕복 택배비는 신청자 부담입니다.
개인정보이용 동의 안내
한국문화정보원에서는 공공저작물 원본 관리 및 전달 등과 관련하여 귀하의 개인정보를 아래와 같이 수집하고자 합니다. 다음의 사항에 대해 충분히 읽어 보신 후, 동의 여부를 체크, 서명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개인정보 수집항목
- 기 업 : 기업명, 소속/부서
- 담 당 자 : 성명, 이메일 주소
- 일반 국민 : 성명, 이메일 주소
* 개인정보 수집목적
- 이용허가 및 저작권 이용관리
보유기간 : 수집된 정보는 3년간 보존하며, 수집된 정보는 수집 목적 이외의 다른 목적으로 사용되지 않습니다.
위의 개인정보 수집에 대한 동의를 거부할 권리가 있습니다. 그러나 동의를 거부할 경우 원활한 저작권 이용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원본신청안내 및 개인정보 수집동의
공공누리 이용 약관 및 개인 정보이용 동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