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고적조사보고 : 대동군 추을미면 사동 (이미지)
이미지
- 제공기관
-
- · 촬영연도 : 1916
- · 촬영기관 : 국립문화유산연구원
- · 소장기관 : 국립문화유산연구원
- 공공누리 유형
-
국립문화유산연구원이(가) 보유한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1유형: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 저작물 정보
- 저작물 설명
-
사동은 현재 평양 광업소 사무소의 소재지에 있고 위치는 고생층의 구릉 위이다. 그리고 그 유사 이전의 유적은 주로 가까이 대동강 강가의 편평한 땅에 접하고 있을 당시, 평양 광업소 사무소의 객실, 집회소 및 진수신사(鎭守神寺) 부근 일대에 존재한다. 나는 아직 확연하게 땅 속 유물의 포함 상태를 인지할 수 없었는데, 이것이 땅 위여기저기에 흩어져서 존재하는 것을 보면 이는 심은 나무로 땅을 고를 때 포함지를 찾아내어 우연히 땅 위에 노출된 것에 속한다. 이곳에서 나온 유물은 우선 석기로서는 하나의 종류가 존재한다. 즉 돌도끼, 돌칼(石?丁), 돌저울추, 돌망치, 석촉(石鏃), 석검 등이다. 다음으로 토기는 하나의 작은 파편으로 되어 있는데 아직 이곳에 존재한다. 기타 골기(骨器)와 같은 것에 이르러서는 아직 하나도 채집된 것이 없다. 돌도끼는 구릉 아래 대동강의 강바닥(河床)에 있고 도끼와 약간 비슷한 자연석을 주어 왔다. 이에 조금 가공하여 칼을 단 것으로 이는 노력과 시간의 소비를 피하려고 한 것이다. 그래서 이곳에는 돌도끼로서 전혀 완성되지 않은 미제(未製)의 원료석도 존재한다. 그리고 돌도끼의 형상은 소위 합인(蛤?)인 것이 가장 보통이고 내가 얻은 것은 대다수가 파편으로 되어 있어서 완전한 것은 보이지 않는다. 돌칼은 반월형(半月形)으로 한쪽 상부에 2개의 구멍이 나 있다. 이는 이 구멍이 나 있는 곳에 목편(木片) 또는 수피(獸皮)의 현판(額)을 꽂고 그 구멍에서 끈을 통하게 하여 손잡이로 한 것이다. 그 사용은 어류 등을 조리하는 것과 같고 이 기구는 돌로 만들었다. 지금도 북미(北美) 극지(極地)의 에스키모, 또는 북미의 인전인(印甸人) 내지는 아시아의 동북쪽 베링(Bering) 해협에 접하는 지방에 있는 츄쿠치, 코리야크의 두 종족은 지금도 이것을 어구(漁具)로서 사용한다. 더욱이 이는 오로지 여자가 사용하고 항상 허리에 차고 있는데 그들은 이를 부인용 칼이라고 부른다. 이 돌칼이 사동(寺洞)의 유적에 있는 것을 보면 이것으로 대동강 강가의 편평한 땅의 어류를 조리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석촉(石鏃)은 조선 각 도(道)에서 볼 수 있는 것과 같이 슬레이트 질의 마제(磨製) 석촉이고 다른 도의 그것과 형상에 있어서 그다지 다른 점을 찾을 수 없다. 석검은 파편이기는 하나 2개를 획득하였다. 모두 슬레이트 질에 속하고 그 형상은 다른 도의 석검과 동일하여 별로 다른 점을 찾을 수 없다. 어구로서의 돌저울추, 그물의 돌저울추 등도 획득하였다. 이는 당시 대동강에서 어로(漁撈)한 기구(器具)의 부속품으로서 이것이 있기 때문에 당시 왕성하게 어로를 행하고 이를 식료로 올렸던 것을 추측하여 알 수 있다. 또한 다른 돌망치 1개를 얻었는데 이는 그 형상이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오로지 물건을 깨부수는 것으로 사용된 것이다. 다음으로 토기는 하나의 작은 파편으로도 존재한다. 토질은 많은 운모(雲母)를 섞었고 그 제법(製法)이 가장 간단한 것으로 손으로 반죽된 초벌구이로 찰흙색(埴色)을 띠고 있다.
저작물 설명사동은 현재 평양 광업소 사무소의 소재지에 있고 위치는 고생층의 구릉 위이다. 그리고 그 유사 이전의 유적은 주로 가까이 대동강 강가의 편평한 땅에 접하고 있을 당시, 평양 광업소 사무소의 객실, 집회소 및 진수신사(鎭守神寺) 부근 일대에 존재한다. 나는 아직 확연하게 땅 속 유물의 포함 상태를 인지할 수 없었는데, 이것이 땅 위여기저기에 흩어져서 존재하는 것을 보면 이는 심은 나무로 땅을 고를 때 포함지를 찾아내어 우연히 땅 위에 노출된 것에 속한다. 이곳에서 나온 유물은 우선 석기로서는 하나의 종류가 존재한다. 즉 돌도끼, 돌칼(石?丁), 돌저울추, 돌망치, 석촉(石鏃), 석검 등이다. 다음으로 토기는 하나의 작은 파편으로 되어 있는데 아직 이곳에 존재한다. 기타 골기(骨器)와 같은 것에 이르러서는 아직 하나도 채집된 것이 없다. 돌도끼는 구릉 아래 대동강의 강바닥(河床)에 있고 도끼와 약간 비슷한 자연석을 주어 왔다. 이에 조금 가공하여 칼을 단 것으로 이는 노력과 시간의 소비를 피하려고 한 것이다. 그래서 이곳에는 돌도끼로서 전혀 완성되지 않은 미제(未製)의 원료석도 존재한다. 그리고 돌도끼의 형상은 소위 합인(蛤?)인 것이 가장 보통이고 내가 얻은 것은 대다수가 파편으로 되어 있어서 완전한 것은 보이지 않는다. 돌칼은 반월형(半月形)으로 한쪽 상부에 2개의 구멍이 나 있다. 이는 이 구멍이 나 있는 곳에 목편(木片) 또는 수피(獸皮)의 현판(額)을 꽂고 그 구멍에서 끈을 통하게 하여 손잡이로 한 것이다. 그 사용은 어류 등을 조리하는 것과 같고 이 기구는 돌로 만들었다. 지금도 북미(北美) 극지(極地)의 에스키모, 또는 북미의 인전인(印甸人) 내지는 아시아의 동북쪽 베링(Bering) 해협에 접하는 지방에 있는 츄쿠치, 코리야크의 두 종족은 지금도 이것을 어구(漁具)로서 사용한다. 더욱이 이는 오로지 여자가 사용하고 항상 허리에 차고 있는데 그들은 이를 부인용 칼이라고 부른다. 이 돌칼이 사동(寺洞)의 유적에 있는 것을 보면 이것으로 대동강 강가의 편평한 땅의 어류를 조리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석촉(石鏃)은 조선 각 도(道)에서 볼 수 있는 것과 같이 슬레이트 질의 마제(磨製) 석촉이고 다른 도의 그것과 형상에 있어서 그다지 다른 점을 찾을 수 없다. 석검은 파편이기는 하나 2개를 획득하였다. 모두 슬레이트 질에 속하고 그 형상은 다른 도의 석검과 동일하여 별로 다른 점을 찾을 수 없다. 어구로서의 돌저울추, 그물의 돌저울추 등도 획득하였다. 이는 당시 대동강에서 어로(漁撈)한 기구(器具)의 부속품으로서 이것이 있기 때문에 당시 왕성하게 어로를 행하고 이를 식료로 올렸던 것을 추측하여 알 수 있다. 또한 다른 돌망치 1개를 얻었는데 이는 그 형상이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오로지 물건을 깨부수는 것으로 사용된 것이다. 다음으로 토기는 하나의 작은 파편으로도 존재한다. 토질은 많은 운모(雲母)를 섞었고 그 제법(製法)이 가장 간단한 것으로 손으로 반죽된 초벌구이로 찰흙색(埴色)을 띠고 있다.
- 다운로드
-
※ 고화질의 대용량(20~30MB/장)사진의 경우 다운로드에 다소 시간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출처표시 예시
- 예시
01 -
본 저작물은 OOO(기관명)에서 OO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유형번호]유형으로 개방한 저작물명(작성자:OOO)을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OOO(기관명), OOO(홈페이지 주소)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위 내용은 예시이므로 작성연도 및 해당 기관명과 홈페이지 주소, 작성자명 기입
- 예시
02 -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유형번호]유형에 따라 [기관명(사이트 URL), 작성자:OOO]의 공공저작물을 이용하였습니다.
- 예시
03 -
* 출처 -[기관명], [사이트명(사이트상세 URL)]
유의사항
1. 온·오프라인 상에 공유 및 이용 : 온·오프라인을 통하여 공유 및 이용 가능
2. 저작물 변경 : 2차적 저작물로 변경하여 이용 가능
3. 이 저작물은 영리 목적으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물 사용 조건>- 출처 표시 : 저작물의 출처를 표시하셔야 합니다.
공공기관이 후원 한다고 하거나 공공기관과 특수한 관계에 있는 것처럼 제 3자가 오인하게 하는 표시를 해서는 안됩니다.
< 알아야 할 사항 >I. 이용조건의 표시 및 변경
1. 이용자가 공공누리 저작물 활용 시 출처표시를 꼭 해 주셔야 합니다.
2. 공공누리 저작물의 이용조건은 변경될 수 있습니다.
다만 이용자가 이용조건 변경 전 사용하셨다면 해당저작물 한해 용도변경 없이 계속 이용할 수 있습니다.
II. 이용조건의 위반1. 이용자가 공공누리 이용조건을 위반할 경우 그 즉시 이용허락이 종료됩니다.
2. 이용자가 이용조건 위반 후 지속적으로 공공저작물을 이용할 경우 저작권 침해가 성립되므로 형사상, 민사상 책임을 부담 하실 수 있습니다.
원본신청안내 및 개인정보 수집동의
고품질 공공저작물 원본 신청
공공누리에서 제공하는 공공저작물 중 공공누리 1유형은 출처표시만 한다면 영리, 비영리 목적으로 모두 활용 가능하며 개작 등 2차 변형이 가능하도록 무료로 개방하고 있습니다. 다만, 원활한 저작물 제공과 관리를 위해 아래와 같이 원본 이용 신청을 받고 있습니다.
원본 신청 파일 수령 안내
한국문화정보원에서는 공공저작물 원본 파일을 방문수령 또는 저장장치 배송을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원본 신청 접수 완료 후 상세 수령 절차는 기입하신 이메일을 통해 안내 드립니다.
* 1일 이내 안내메일 발송(주말제외)
* 원본 저장 장치(USB, 외장하드 등)를 사전에 준비하셔야 하며 왕복 택배비는 신청자 부담입니다.
개인정보이용 동의 안내
한국문화정보원에서는 공공저작물 원본 관리 및 전달 등과 관련하여 귀하의 개인정보를 아래와 같이 수집하고자 합니다. 다음의 사항에 대해 충분히 읽어 보신 후, 동의 여부를 체크, 서명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개인정보 수집항목
- 기 업 : 기업명, 소속/부서
- 담 당 자 : 성명, 이메일 주소
- 일반 국민 : 성명, 이메일 주소
* 개인정보 수집목적
- 이용허가 및 저작권 이용관리
보유기간 : 수집된 정보는 3년간 보존하며, 수집된 정보는 수집 목적 이외의 다른 목적으로 사용되지 않습니다.
위의 개인정보 수집에 대한 동의를 거부할 권리가 있습니다. 그러나 동의를 거부할 경우 원활한 저작권 이용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원본신청안내 및 개인정보 수집동의
공공누리 이용 약관 및 개인 정보이용 동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