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어
제공기관
    등록년도
    ~
    저작물 유형
    저작물 구분
    설명 보기:각 기관에서 제공해주신 원문DB 공공저작물로 바로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각 기관에서 제공해주신 원문DB 공공저작물로 바로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설명 보기: 각 기관 사이트에서 연계한 저작물로 기관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각 기관 사이트에서 연계한 저작물로 기관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이용조건 이란

    1) 제1유형 : 출처표시
    - 출처표시
    -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

    2) 제2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출처표시
    - 비상업적 이용만 가능
    -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

    3) 제3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출처표시
    -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금지

    4)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 출처표시
    - 비상업적 이용만 가능
    -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금지

    5) 만료공공저작물 : 이용조건(출처표시 포함)이 없이 자유롭게 이용
    - 이용조건(출처표시 포함) 없음

    조선고적조사보고 : 용강군 해운면 용정리 황산남록 (이미지)

    이미지

    조선고적조사보고 : 용강군 해운면 용정리 황산남록 (이미지)_1번 사진
    조선고적조사보고 : 용강군 해운면 용정리 황산남록 (이미지)_2번 사진
    조선고적조사보고 : 용강군 해운면 용정리 황산남록 (이미지)_3번 사진
    조선고적조사보고 : 용강군 해운면 용정리 황산남록 (이미지)_4번 사진
    조선고적조사보고 : 용강군 해운면 용정리 황산남록 (이미지)_5번 사진
    조선고적조사보고 : 용강군 해운면 용정리 황산남록 (이미지)_6번 사진
    조선고적조사보고 : 용강군 해운면 용정리 황산남록 (이미지)_7번 사진
    조선고적조사보고 : 용강군 해운면 용정리 황산남록 (이미지)_8번 사진
    조선고적조사보고 : 용강군 해운면 용정리 황산남록 (이미지)_9번 사진
    조선고적조사보고 : 용강군 해운면 용정리 황산남록 (이미지)_10번 사진
    조선고적조사보고 : 용강군 해운면 용정리 황산남록 (이미지)_11번 사진
    조선고적조사보고 : 용강군 해운면 용정리 황산남록 (이미지)_12번 사진
    조선고적조사보고 : 용강군 해운면 용정리 황산남록 (이미지)_13번 사진
    조선고적조사보고 : 용강군 해운면 용정리 황산남록 (이미지)_14번 사진
    조선고적조사보고 : 용강군 해운면 용정리 황산남록 (이미지)_15번 사진
    조선고적조사보고 : 용강군 해운면 용정리 황산남록 (이미지)_16번 사진
    조선고적조사보고 : 용강군 해운면 용정리 황산남록 (이미지)_17번 사진
    조선고적조사보고 : 용강군 해운면 용정리 황산남록 (이미지)_18번 사진
    /
    63 129
    공유하기
    관련태그
    #국립문화재연구원 #문화유산연구지식포털 #조선고적조사보고 #일제강점기 #연구자료
    제공기관
    • · 촬영연도 : 1916
    • · 촬영기관 : 국립문화유산연구원
    • · 소장기관 : 국립문화유산연구원
    공공누리 유형

    국립문화유산연구원이(가) 보유한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1유형: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저작물 정보
    저작물 설명

    평안남도 용강군읍의 서서북쪽 약 2리(里), 청룡산(靑龍山)의 산기슭이 길게 뻗은 곳 서서북쪽에 이어져 황산이라고 칭하는 황산 남쪽 기슭 일대의 땅에 헤아릴 수 없이 많은 수 백 기(基)의 고분이 군재(群在)하는 땅은 용강군 해운면(海雲面)에 속하고 일부는 서화면(瑞和面)에 걸친다. 이들 고분은 봉토가 비교적 완전하게 남아 있는 것도 있지만 대부분은 흙이 무너지고 석곽(石槨)이 노출되는 것이 십중팔구이다. 이들을 그 석곽 천장의 구조로 크게 구별하여 천장이 평석(平石) 1장으로 되어 있는 것, 천장이 선반받침(持送)식인 것의 두 종류가 되는 것을 알았다. 전자는 현실 네 벽 또한 1장의 돌로 되어 있는 것을 보통으로 하지만 후자에 이르러서는 천차만별이다. 또한 현실 네 벽이 1장석(石)으로 된 것과 현실 네 벽이 할석(割石)으로 쌓아올려진 것으로 크게 분류할 수 있다. 그리고 그 천장 선반받침에 네 벽에서 2층 안과 밖의 선반받침을 내고 우삼각(隅三角)을 놓고 평삼각(平三角)을 포개 정석(頂石)을 덮은 것과 네 벽에서 2층 안과 밖의 선반받침을 내고 삼각의 선반받침을 놓지 않고 바로 정석(頂石)을 덮은 것으로 나눌 수 있다. 앞의 것은 대체로 그 규모가 크고 나중 것은 대체로 그 규모가 작다. 또한 현실 네 벽이 1장석인 것은 한 봉토 내에 2곽(槨), 3곽과 많게는 7곽에 이르는 것이 있다. 이 종류의 것은 그 구조가 엉성하여 파괴되기 쉬운 네 벽과 앞뒤 벽으로부터의 또는 전벽(前壁)만 또는 후벽(後壁)만으로부터의 선반받침으로만 잔존하고 소위 탱석(撑石)이라는 호칭을 얻는 것은 적고 이들의 고분 석곽은 주로 부근 산에서 그 재료를 얻은 것으로서 화강암으로 되어 있다.

    저작물 설명
    평안남도 용강군읍의 서서북쪽 약 2리(里), 청룡산(靑龍山)의 산기슭이 길게 뻗은 곳 서서북쪽에 이어져 황산이라고 칭하는 황산 남쪽 기슭 일대의 땅에 헤아릴 수 없이 많은 수 백 기(基)의 고분이 군재(群在)하는 땅은 용강군 해운면(海雲面)에 속하고 일부는 서화면(瑞和面)에 걸친다. 이들 고분은 봉토가 비교적 완전하게 남아 있는 것도 있지만 대부분은 흙이 무너지고 석곽(石槨)이 노출되는 것이 십중팔구이다. 이들을 그 석곽 천장의 구조로 크게 구별하여 천장이 평석(平石) 1장으로 되어 있는 것, 천장이 선반받침(持送)식인 것의 두 종류가 되는 것을 알았다. 전자는 현실 네 벽 또한 1장의 돌로 되어 있는 것을 보통으로 하지만 후자에 이르러서는 천차만별이다. 또한 현실 네 벽이 1장석(石)으로 된 것과 현실 네 벽이 할석(割石)으로 쌓아올려진 것으로 크게 분류할 수 있다. 그리고 그 천장 선반받침에 네 벽에서 2층 안과 밖의 선반받침을 내고 우삼각(隅三角)을 놓고 평삼각(平三角)을 포개 정석(頂石)을 덮은 것과 네 벽에서 2층 안과 밖의 선반받침을 내고 삼각의 선반받침을 놓지 않고 바로 정석(頂石)을 덮은 것으로 나눌 수 있다. 앞의 것은 대체로 그 규모가 크고 나중 것은 대체로 그 규모가 작다. 또한 현실 네 벽이 1장석인 것은 한 봉토 내에 2곽(槨), 3곽과 많게는 7곽에 이르는 것이 있다. 이 종류의 것은 그 구조가 엉성하여 파괴되기 쉬운 네 벽과 앞뒤 벽으로부터의 또는 전벽(前壁)만 또는 후벽(後壁)만으로부터의 선반받침으로만 잔존하고 소위 탱석(撑石)이라는 호칭을 얻는 것은 적고 이들의 고분 석곽은 주로 부근 산에서 그 재료를 얻은 것으로서 화강암으로 되어 있다.
    다운로드

    ※ 고화질의 대용량(20~30MB/장)사진의 경우 다운로드에 다소 시간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출처표시 예시

    예시
    01
    본 저작물은 OOO(기관명)에서 OO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유형번호]유형으로 개방한 저작물명(작성자:OOO)을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OOO(기관명), OOO(홈페이지 주소)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위 내용은 예시이므로 작성연도 및 해당 기관명과 홈페이지 주소, 작성자명 기입

    예시
    02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유형번호]유형에 따라 [기관명(사이트 URL), 작성자:OOO]의 공공저작물을 이용하였습니다.
    예시
    03
    * 출처 -[기관명], [사이트명(사이트상세 URL)]

    유의사항

    <이용자가 가지는 권리 >

    1. 온·오프라인 상에 공유 및 이용 : 온·오프라인을 통하여 공유 및 이용 가능

    2. 저작물 변경 : 2차적 저작물로 변경하여 이용 가능

    3. 이 저작물은 영리 목적으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물 사용 조건>

    - 출처 표시 : 저작물의 출처를 표시하셔야 합니다.

    공공기관이 후원 한다고 하거나 공공기관과 특수한 관계에 있는 것처럼 제 3자가 오인하게 하는 표시를 해서는 안됩니다.

    < 알아야 할 사항 >

    I. 이용조건의 표시 및 변경

    1. 이용자가 공공누리 저작물 활용 시 출처표시를 꼭 해 주셔야 합니다.

    2. 공공누리 저작물의 이용조건은 변경될 수 있습니다.

    다만 이용자가 이용조건 변경 전 사용하셨다면 해당저작물 한해 용도변경 없이 계속 이용할 수 있습니다.

    II. 이용조건의 위반

    1. 이용자가 공공누리 이용조건을 위반할 경우 그 즉시 이용허락이 종료됩니다.

    2. 이용자가 이용조건 위반 후 지속적으로 공공저작물을 이용할 경우 저작권 침해가 성립되므로 형사상, 민사상 책임을 부담 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