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어
제공기관
    등록년도
    ~
    저작물 유형
    저작물 구분
    설명 보기:각 기관에서 제공해주신 원문DB 공공저작물로 바로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각 기관에서 제공해주신 원문DB 공공저작물로 바로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설명 보기: 각 기관 사이트에서 연계한 저작물로 기관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각 기관 사이트에서 연계한 저작물로 기관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이용조건 이란

    1) 제1유형 : 출처표시
    - 출처표시
    -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

    2) 제2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출처표시
    - 비상업적 이용만 가능
    -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

    3) 제3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출처표시
    -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금지

    4)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 출처표시
    - 비상업적 이용만 가능
    -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금지

    5) 만료공공저작물 : 이용조건(출처표시 포함)이 없이 자유롭게 이용
    - 이용조건(출처표시 포함) 없음

    조선고적조사보고 : 순천군 북창면 송계리 (이미지)

    이미지

    조선고적조사보고 : 순천군 북창면 송계리 (이미지)_1번 사진
    조선고적조사보고 : 순천군 북창면 송계리 (이미지)_2번 사진
    조선고적조사보고 : 순천군 북창면 송계리 (이미지)_3번 사진
    조선고적조사보고 : 순천군 북창면 송계리 (이미지)_4번 사진
    /
    57 31
    공유하기
    관련태그
    #국립문화재연구원 #문화유산연구지식포털 #조선고적조사보고 #일제강점기 #연구자료
    제공기관
    • · 촬영연도 : 1916
    • · 촬영기관 : 국립문화유산연구원
    • · 소장기관 : 국립문화유산연구원
    공공누리 유형

    국립문화유산연구원이(가) 보유한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1유형: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저작물 정보
    저작물 설명

    북창의 서쪽 약 10정인 평야에 독립되어 있는 고분으로서 가로 직경 약 45척, 세로 직경 약 30척, 높이 약 10척이다. 내부는 현실 및 전실 둘로 만들어져 있고 전면(前面)에 연도가 있다. 현실은 방형으로서 넓이 9척 2촌, 길이 10척 2촌 7분이다. 그 천장의 구조는 실로 기교(奇巧)가 극도에 달한 것으로 종래 고구려의 문묘에서도 아직 일찍이 볼 수 없었던 것이다. 대략적으로 3층으로 되어 있고 하층(下層)은 팔각형을 이루고 있고 실의 모퉁이에서 기이한 마고(?股)를 내어 그 모퉁이를 받치고 있다. 하부는 안쪽에 활 모양으로 굽어 있고 각 모퉁이에서 두주목(斗?木)을 내어 중층(中層)의 밑을 받들고 있다. 그리하여 벽에 들보(梁) 및 마고를 그려 마치 이 주목을 지승(支承)하는 것처럼 보이게 한다. 중층은 아래쪽이 팔각으로 위쪽을 향해 활 모양으로 굽어 있고 상부를 방형으로 만든다. 상층(上層)은 방형으로서 보통 고구려식 천장과 같이 우(隅) 및 평(平)의 삼각선반받침 돌 및 정석(頂石)으로 되어 있다. 중층의 네 면에서 활 모양으로 굽은 기형(奇形)의 합장(合掌)을 내어 정점에서 만나게 하고 위에 두(斗)를 올려 정석을 받치고 있다. 그 구조가 파천황(破天荒)한 것은 오히려 놀랄만하다. 현실의 후벽에는 주인공 부부의 상 등을 그리고 세 면의 벽에는 귀갑형(龜甲形) 중에 새의 깃으로 만든 부채 모양을 이루고 있다. 연화(蓮花)를 넣은 만주집안(滿洲輯安)에 있어서의 귀갑총의 수법을 아주 닮았고 천장의 하층의 양형(梁形)에는 반규문(蟠?文)이 보인다. 마고 안에는 운문(雲文) 및 연화문을 배치하고 밖에는 쌍인수사봉황록(雙人首蛇鳳凰鹿) 등을 만들었다. 중층 이상은 곳곳에 성형(星形)을 그렸다. 전실은 장병형으로 넓이 21척 3촌, 앞뒤의 길이 5척 2촌 2분이다. 천장은 앞뒤에 들보(梁)를 걸치기를 5지(支) 6구(區)로 나누어 중앙 4구를 통하게 하여 벽의 상부에서 내만상(內彎狀)으로 사복(蛇腹)처럼 만들어냈다. 그리고 꼭대기를 좁고 평평하게 남겨 천장으로 하고 내만상인 곳에 회연(廻椽) 및 지륜상(支輪狀)을 그렸다. 간지(間地)에 운문을 그리고 중앙 3지(支)의 들보(梁) 위에는 합장(合掌)을 걸고 그 위에 두(斗) 및 주목(?木)을 얹어 평평한 천장을 지탱한 형적이 있다. 왼쪽 끝의 구(區)는 우평(隅平)인 삼각선반받침이 4층으로 상호 나와 있어 정석을 받치고 있다. 오른쪽 끝의 구는 선반받침을 네 개의 면에서 4층으로 내어 천장 정석에 이르는 벽에는 회화를 그렸지만 박락하여 분간하기 어려운 곳이 많다. 이 고분 구조의 기이함은 달리 예를 찾아보기 힘들다. 또한 내부는 회화문양으로 장식한 것인데 파내어 진 뒤 2년 반이라는 세월이 지나 빗물이 침식한 것 외에 토착민이 출입한 일이 많아 그 파괴에 방임되었기 때문에 벽면은 훼손되어 회화문을 볼 수 없는 곳이 많은 것은 애석한 일이다.

    저작물 설명
    북창의 서쪽 약 10정인 평야에 독립되어 있는 고분으로서 가로 직경 약 45척, 세로 직경 약 30척, 높이 약 10척이다. 내부는 현실 및 전실 둘로 만들어져 있고 전면(前面)에 연도가 있다. 현실은 방형으로서 넓이 9척 2촌, 길이 10척 2촌 7분이다. 그 천장의 구조는 실로 기교(奇巧)가 극도에 달한 것으로 종래 고구려의 문묘에서도 아직 일찍이 볼 수 없었던 것이다. 대략적으로 3층으로 되어 있고 하층(下層)은 팔각형을 이루고 있고 실의 모퉁이에서 기이한 마고(?股)를 내어 그 모퉁이를 받치고 있다. 하부는 안쪽에 활 모양으로 굽어 있고 각 모퉁이에서 두주목(斗?木)을 내어 중층(中層)의 밑을 받들고 있다. 그리하여 벽에 들보(梁) 및 마고를 그려 마치 이 주목을 지승(支承)하는 것처럼 보이게 한다. 중층은 아래쪽이 팔각으로 위쪽을 향해 활 모양으로 굽어 있고 상부를 방형으로 만든다. 상층(上層)은 방형으로서 보통 고구려식 천장과 같이 우(隅) 및 평(平)의 삼각선반받침 돌 및 정석(頂石)으로 되어 있다. 중층의 네 면에서 활 모양으로 굽은 기형(奇形)의 합장(合掌)을 내어 정점에서 만나게 하고 위에 두(斗)를 올려 정석을 받치고 있다. 그 구조가 파천황(破天荒)한 것은 오히려 놀랄만하다. 현실의 후벽에는 주인공 부부의 상 등을 그리고 세 면의 벽에는 귀갑형(龜甲形) 중에 새의 깃으로 만든 부채 모양을 이루고 있다. 연화(蓮花)를 넣은 만주집안(滿洲輯安)에 있어서의 귀갑총의 수법을 아주 닮았고 천장의 하층의 양형(梁形)에는 반규문(蟠?文)이 보인다. 마고 안에는 운문(雲文) 및 연화문을 배치하고 밖에는 쌍인수사봉황록(雙人首蛇鳳凰鹿) 등을 만들었다. 중층 이상은 곳곳에 성형(星形)을 그렸다. 전실은 장병형으로 넓이 21척 3촌, 앞뒤의 길이 5척 2촌 2분이다. 천장은 앞뒤에 들보(梁)를 걸치기를 5지(支) 6구(區)로 나누어 중앙 4구를 통하게 하여 벽의 상부에서 내만상(內彎狀)으로 사복(蛇腹)처럼 만들어냈다. 그리고 꼭대기를 좁고 평평하게 남겨 천장으로 하고 내만상인 곳에 회연(廻椽) 및 지륜상(支輪狀)을 그렸다. 간지(間地)에 운문을 그리고 중앙 3지(支)의 들보(梁) 위에는 합장(合掌)을 걸고 그 위에 두(斗) 및 주목(?木)을 얹어 평평한 천장을 지탱한 형적이 있다. 왼쪽 끝의 구(區)는 우평(隅平)인 삼각선반받침이 4층으로 상호 나와 있어 정석을 받치고 있다. 오른쪽 끝의 구는 선반받침을 네 개의 면에서 4층으로 내어 천장 정석에 이르는 벽에는 회화를 그렸지만 박락하여 분간하기 어려운 곳이 많다. 이 고분 구조의 기이함은 달리 예를 찾아보기 힘들다. 또한 내부는 회화문양으로 장식한 것인데 파내어 진 뒤 2년 반이라는 세월이 지나 빗물이 침식한 것 외에 토착민이 출입한 일이 많아 그 파괴에 방임되었기 때문에 벽면은 훼손되어 회화문을 볼 수 없는 곳이 많은 것은 애석한 일이다.
    다운로드

    ※ 고화질의 대용량(20~30MB/장)사진의 경우 다운로드에 다소 시간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출처표시 예시

    예시
    01
    본 저작물은 OOO(기관명)에서 OO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유형번호]유형으로 개방한 저작물명(작성자:OOO)을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OOO(기관명), OOO(홈페이지 주소)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위 내용은 예시이므로 작성연도 및 해당 기관명과 홈페이지 주소, 작성자명 기입

    예시
    02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유형번호]유형에 따라 [기관명(사이트 URL), 작성자:OOO]의 공공저작물을 이용하였습니다.
    예시
    03
    * 출처 -[기관명], [사이트명(사이트상세 URL)]

    유의사항

    <이용자가 가지는 권리 >

    1. 온·오프라인 상에 공유 및 이용 : 온·오프라인을 통하여 공유 및 이용 가능

    2. 저작물 변경 : 2차적 저작물로 변경하여 이용 가능

    3. 이 저작물은 영리 목적으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물 사용 조건>

    - 출처 표시 : 저작물의 출처를 표시하셔야 합니다.

    공공기관이 후원 한다고 하거나 공공기관과 특수한 관계에 있는 것처럼 제 3자가 오인하게 하는 표시를 해서는 안됩니다.

    < 알아야 할 사항 >

    I. 이용조건의 표시 및 변경

    1. 이용자가 공공누리 저작물 활용 시 출처표시를 꼭 해 주셔야 합니다.

    2. 공공누리 저작물의 이용조건은 변경될 수 있습니다.

    다만 이용자가 이용조건 변경 전 사용하셨다면 해당저작물 한해 용도변경 없이 계속 이용할 수 있습니다.

    II. 이용조건의 위반

    1. 이용자가 공공누리 이용조건을 위반할 경우 그 즉시 이용허락이 종료됩니다.

    2. 이용자가 이용조건 위반 후 지속적으로 공공저작물을 이용할 경우 저작권 침해가 성립되므로 형사상, 민사상 책임을 부담 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