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어
제공기관
    등록년도
    ~
    저작물 유형
    저작물 구분
    설명 보기:각 기관에서 제공해주신 원문DB 공공저작물로 바로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각 기관에서 제공해주신 원문DB 공공저작물로 바로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설명 보기: 각 기관 사이트에서 연계한 저작물로 기관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각 기관 사이트에서 연계한 저작물로 기관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이용조건 이란

    1) 제1유형 : 출처표시
    - 출처표시
    -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

    2) 제2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출처표시
    - 비상업적 이용만 가능
    -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

    3) 제3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출처표시
    -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금지

    4)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 출처표시
    - 비상업적 이용만 가능
    -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금지

    5) 만료공공저작물 : 이용조건(출처표시 포함)이 없이 자유롭게 이용
    - 이용조건(출처표시 포함) 없음

    조선고적조사보고 : 대동군 대동강면 제4호분 (이미지)

    이미지

    조선고적조사보고 : 대동군 대동강면 제4호분 (이미지)_1번 사진
    조선고적조사보고 : 대동군 대동강면 제4호분 (이미지)_2번 사진
    조선고적조사보고 : 대동군 대동강면 제4호분 (이미지)_3번 사진
    조선고적조사보고 : 대동군 대동강면 제4호분 (이미지)_4번 사진
    /
    58 35
    공유하기
    관련태그
    #국립문화재연구원 #문화유산연구지식포털 #조선고적조사보고 #일제강점기 #연구자료
    제공기관
    • · 촬영연도 : 1916
    • · 촬영기관 : 국립문화유산연구원
    • · 소장기관 : 국립문화유산연구원
    공공누리 유형

    국립문화유산연구원이(가) 보유한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1유형: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저작물 정보
    저작물 설명

    제1호분 내지 제3호분이 서 있는 언덕 뒤쪽에 이어지는 언덕 위에 있다. 고분의 상부는 요 몇 해 사이 전곽(塼槨)에 사용한 전돌을 가져가기 위해 토착민(土民)에 의해 파괴되었다. 현실(玄室)은 동서쪽 9척 1촌 5분이고 천장은 이미 붕괴되어 남은 벽의 높이 현재 2척 7촌 1분(동쪽 벽) 내지 4척 9촌 5분(북쪽 벽)이다. 전면(前面)은 조금 동쪽으로 치우쳐 이도(羨道)를 만들었고 길이 2척 6촌인 전돌을 겹쳐 입구를 막았다. 실(室) 안 약간 서쪽에 장방형(長方形)의 전상(塼床)이 있다. 전돌을 줄눈이 건물과 평행이 되도록 까는 방법(布敷)으로 나열하여 만들었다. 그 이외의 바닥과 대자리(網代) 모양으로 전돌을 깔았다. 부장품은 도기 및 칠기의 파편 등으로 연도 밖에서 도제감(陶製?) 1개를 얻었다.

    저작물 설명
    제1호분 내지 제3호분이 서 있는 언덕 뒤쪽에 이어지는 언덕 위에 있다. 고분의 상부는 요 몇 해 사이 전곽(塼槨)에 사용한 전돌을 가져가기 위해 토착민(土民)에 의해 파괴되었다. 현실(玄室)은 동서쪽 9척 1촌 5분이고 천장은 이미 붕괴되어 남은 벽의 높이 현재 2척 7촌 1분(동쪽 벽) 내지 4척 9촌 5분(북쪽 벽)이다. 전면(前面)은 조금 동쪽으로 치우쳐 이도(羨道)를 만들었고 길이 2척 6촌인 전돌을 겹쳐 입구를 막았다. 실(室) 안 약간 서쪽에 장방형(長方形)의 전상(塼床)이 있다. 전돌을 줄눈이 건물과 평행이 되도록 까는 방법(布敷)으로 나열하여 만들었다. 그 이외의 바닥과 대자리(網代) 모양으로 전돌을 깔았다. 부장품은 도기 및 칠기의 파편 등으로 연도 밖에서 도제감(陶製?) 1개를 얻었다.
    다운로드

    ※ 고화질의 대용량(20~30MB/장)사진의 경우 다운로드에 다소 시간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출처표시 예시

    예시
    01
    본 저작물은 OOO(기관명)에서 OO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유형번호]유형으로 개방한 저작물명(작성자:OOO)을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OOO(기관명), OOO(홈페이지 주소)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위 내용은 예시이므로 작성연도 및 해당 기관명과 홈페이지 주소, 작성자명 기입

    예시
    02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유형번호]유형에 따라 [기관명(사이트 URL), 작성자:OOO]의 공공저작물을 이용하였습니다.
    예시
    03
    * 출처 -[기관명], [사이트명(사이트상세 URL)]

    유의사항

    <이용자가 가지는 권리 >

    1. 온·오프라인 상에 공유 및 이용 : 온·오프라인을 통하여 공유 및 이용 가능

    2. 저작물 변경 : 2차적 저작물로 변경하여 이용 가능

    3. 이 저작물은 영리 목적으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물 사용 조건>

    - 출처 표시 : 저작물의 출처를 표시하셔야 합니다.

    공공기관이 후원 한다고 하거나 공공기관과 특수한 관계에 있는 것처럼 제 3자가 오인하게 하는 표시를 해서는 안됩니다.

    < 알아야 할 사항 >

    I. 이용조건의 표시 및 변경

    1. 이용자가 공공누리 저작물 활용 시 출처표시를 꼭 해 주셔야 합니다.

    2. 공공누리 저작물의 이용조건은 변경될 수 있습니다.

    다만 이용자가 이용조건 변경 전 사용하셨다면 해당저작물 한해 용도변경 없이 계속 이용할 수 있습니다.

    II. 이용조건의 위반

    1. 이용자가 공공누리 이용조건을 위반할 경우 그 즉시 이용허락이 종료됩니다.

    2. 이용자가 이용조건 위반 후 지속적으로 공공저작물을 이용할 경우 저작권 침해가 성립되므로 형사상, 민사상 책임을 부담 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