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어
제공기관
    등록년도
    ~
    저작물 유형
    저작물 구분
    설명 보기:각 기관에서 제공해주신 원문DB 공공저작물로 바로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각 기관에서 제공해주신 원문DB 공공저작물로 바로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설명 보기: 각 기관 사이트에서 연계한 저작물로 기관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각 기관 사이트에서 연계한 저작물로 기관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이용조건 이란

    1) 제1유형 : 출처표시
    - 출처표시
    -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

    2) 제2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출처표시
    - 비상업적 이용만 가능
    -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

    3) 제3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출처표시
    -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금지

    4)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 출처표시
    - 비상업적 이용만 가능
    -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금지

    5) 만료공공저작물 : 이용조건(출처표시 포함)이 없이 자유롭게 이용
    - 이용조건(출처표시 포함) 없음

    세심사 신중도

    이미지

    세심사 신중도_1번 사진
    세심사 신중도_2번 사진
    /
    53 11
    공유하기
    관련태그
    #아산명소 #사찰 #신심사 #미술품 #조선후기 #제석천
    제공기관
    • · 촬영연도 : 2020
    • · 촬영기관 : 아산시
    • · 소장기관 : 아산시
    공공누리 유형

    아산시이(가) 보유한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1유형: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저작물 정보
    저작물 설명

    충남 유형문화재 제192호인 세심사 신중도는 1794년 勝初, 元正, 普心, 品寬, 大云 등이 그린 것으로서, 상단에는 제석, 하단에는 위태천을 중심으로 제석천룡탱의 도상을 취하면서도 상단의 제석천과 권속들을 더욱 비중있게 그려서 마치 단독의 제석도와 천룡탱을 조합한 듯한 특징적인 구성을 보여준다. 화기가 확실하게 남아 있어 조성시기와 조성화원을 분명하게 알 수 있으며, 비록 규모는 작지만 18세기 말기 충청지역 화풍을 비교적 잘 보여주는 작품 가운데 하나로서 가치가 크다.

    저작물 설명

    충남 유형문화재 제192호인 세심사 신중도는 1794년 勝初, 元正, 普心, 品寬, 大云 등이 그린 것으로서, 상단에는 제석, 하단에는 위태천을 중심으로 제석천룡탱의 도상을 취하면서도 상단의 제석천과 권속들을 더욱 비중있게 그려서 마치 단독의 제석도와 천룡탱을 조합한 듯한 특징적인 구성을 보여준다. 화기가 확실하게 남아 있어 조성시기와 조성화원을 분명하게 알 수 있으며, 비록 규모는 작지만 18세기 말기 충청지역 화풍을 비교적 잘 보여주는 작품 가운데 하나로서 가치가 크다.

    다운로드

    ※ 고화질의 대용량(20~30MB/장)사진의 경우 다운로드에 다소 시간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출처표시 예시

    예시
    01
    본 저작물은 OOO(기관명)에서 OO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유형번호]유형으로 개방한 저작물명(작성자:OOO)을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OOO(기관명), OOO(홈페이지 주소)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위 내용은 예시이므로 작성연도 및 해당 기관명과 홈페이지 주소, 작성자명 기입

    예시
    02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유형번호]유형에 따라 [기관명(사이트 URL), 작성자:OOO]의 공공저작물을 이용하였습니다.
    예시
    03
    * 출처 -[기관명], [사이트명(사이트상세 URL)]

    유의사항

    <이용자가 가지는 권리 >

    1. 온·오프라인 상에 공유 및 이용 : 온·오프라인을 통하여 공유 및 이용 가능

    2. 저작물 변경 : 2차적 저작물로 변경하여 이용 가능

    3. 이 저작물은 영리 목적으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물 사용 조건>

    - 출처 표시 : 저작물의 출처를 표시하셔야 합니다.

    공공기관이 후원 한다고 하거나 공공기관과 특수한 관계에 있는 것처럼 제 3자가 오인하게 하는 표시를 해서는 안됩니다.

    < 알아야 할 사항 >

    I. 이용조건의 표시 및 변경

    1. 이용자가 공공누리 저작물 활용 시 출처표시를 꼭 해 주셔야 합니다.

    2. 공공누리 저작물의 이용조건은 변경될 수 있습니다.

    다만 이용자가 이용조건 변경 전 사용하셨다면 해당저작물 한해 용도변경 없이 계속 이용할 수 있습니다.

    II. 이용조건의 위반

    1. 이용자가 공공누리 이용조건을 위반할 경우 그 즉시 이용허락이 종료됩니다.

    2. 이용자가 이용조건 위반 후 지속적으로 공공저작물을 이용할 경우 저작권 침해가 성립되므로 형사상, 민사상 책임을 부담 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