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어
제공기관
    등록년도
    ~
    저작물 유형
    저작물 구분
    설명 보기:각 기관에서 제공해주신 원문DB 공공저작물로 바로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각 기관에서 제공해주신 원문DB 공공저작물로 바로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설명 보기: 각 기관 사이트에서 연계한 저작물로 기관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각 기관 사이트에서 연계한 저작물로 기관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이용조건 이란

    1) 제1유형 : 출처표시
    - 출처표시
    -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

    2) 제2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출처표시
    - 비상업적 이용만 가능
    -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

    3) 제3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출처표시
    -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금지

    4)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 출처표시
    - 비상업적 이용만 가능
    -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금지

    5) 만료공공저작물 : 이용조건(출처표시 포함)이 없이 자유롭게 이용
    - 이용조건(출처표시 포함) 없음

    경남_남해_화방사_1

    이미지

    경남_남해_화방사_1_1번 사진
    경남_남해_화방사_1_2번 사진
    경남_남해_화방사_1_3번 사진
    경남_남해_화방사_1_4번 사진
    경남_남해_화방사_1_5번 사진
    경남_남해_화방사_1_6번 사진
    경남_남해_화방사_1_7번 사진
    경남_남해_화방사_1_8번 사진
    경남_남해_화방사_1_9번 사진
    경남_남해_화방사_1_10번 사진
    경남_남해_화방사_1_11번 사진
    경남_남해_화방사_1_12번 사진
    경남_남해_화방사_1_13번 사진
    경남_남해_화방사_1_14번 사진
    경남_남해_화방사_1_15번 사진
    경남_남해_화방사_1_16번 사진
    경남_남해_화방사_1_17번 사진
    경남_남해_화방사_1_18번 사진
    경남_남해_화방사_1_19번 사진
    경남_남해_화방사_1_20번 사진
    경남_남해_화방사_1_21번 사진
    경남_남해_화방사_1_22번 사진
    경남_남해_화방사_1_23번 사진
    경남_남해_화방사_1_24번 사진
    경남_남해_화방사_1_25번 사진
    경남_남해_화방사_1_26번 사진
    경남_남해_화방사_1_27번 사진
    경남_남해_화방사_1_28번 사진
    경남_남해_화방사_1_29번 사진
    경남_남해_화방사_1_30번 사진
    경남_남해_화방사_1_31번 사진
    경남_남해_화방사_1_32번 사진
    경남_남해_화방사_1_33번 사진
    /
    55 267
    공유하기
    관련태그
    #남해군 #망운산 #원효대사 #쌍계사 #연죽사 #호국사찰 #남해9경
    제공기관
    • · 촬영연도 : 2019
    • · 촬영기관 : 남해군(관광진흥과)
    • · 소장기관 : 경상남도 남해군
    공공누리 유형

    경상남도 남해군이(가) 보유한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1유형: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저작물 정보
    저작물 설명

    신라 애장왕 때 창건된 절로 열두 명의 고승을 배출한 남해 최대의 사찰이다. 임진왜란 때에는 승병활동의 근거지로서 조선 숙종 때 수국사로 지정, 보호받기도 했다. 현재의 절은 임진왜란 때 불탄 것을 재건한 것으로, 경내 문화유적으로는 대웅전(경남 유형 문화재 제 85호)과 석불좌상(경남 유형문화재 제138호), 명부전(경남 문화재 자료 제151호), 천왕각(경남 문화재자료 제150호)과 조선 인조 때의 학자 유희경의 시집인 촌은집을 간행키 위해 만든 판목으로 시·수창·전기·모포 등을 수록 판각한 "촌은집책판" (경남 유형문화재 제 172호) 등이 있다. 용문사의 유래는 원효대사가 금산(錦山)을 찾아와 보광사를 짓고 산명(山名)도 보광산이라 하였다. 이때에 현 용문사에 첨성각(瞻星閣)이 세워졌다고 전하고 있으며 금산에 있었던 보광사를 이 곳으로 옮겼다고 한다. 그 후 시절인연(時節因緣)따라 백월당대사가 남쪽에 있는 용소(龍沼)위에 터를 정하고 용문사라 하였다. 대한불교조계종 제13교구 본사인 쌍계사의 말사이다. 802년(신라 애자왕 3) 창건되었다. 1592년(조선 선조 25) 임진왜란 때 이 절 승려들이 승병으로 참여하여 왜군과 싸웠는데 이 때 절이 불에 타 없어졌으며 1661년(현종 2) 학진(學進)이 인근 보광사(普光寺) 건물을 옮겨와 중창하였다. 보광사는 원효가 세운 사찰이었으나 이곳으로 옮길 때에는 폐사 직전의 상태였다고 한다. 용연(龍淵) 위쪽에 터를 잡았다고 해서 용문사라고 이름을 붙였다. 임진왜란 이후 호국도량으로 널리 알려져 숙종(재위:1674∼1720) 때 나라를 지키는 절이라며 수국사(守國寺)로 지정하였다. 또 이 때 왕실의 축원당(祝願堂)으로 삼았다. 1703년(숙종 29)과 1735년(영조 11), 1819년(순조 19), 1857년(철종 8), 1 970년에 각각 중수하였다. 현존하는 건물로는 대웅전과 천왕각, 명부전, 칠성각, 봉서루, 산신각, 요사 등이 있으며, 산내 암자로는 1751년(영조 27)에 세운 백련암(白蓮庵)과 염불암(念佛庵)이 남아 있다. 용문사 대웅전은 정면 3간, 측면 3간의 팔작지붕 건물로 처마 밑에 용두(龍頭)를 조각해 넣었다. 1974년 경상남도유형문화재 제85호로 지정되었다. 용문사 천왕각과 용문사 명부전은 1985년에 각각 경상남도문화재자료 제150호, 제151호로 지정되었다. 한편 백련암은 용성과 성철 등 고승들이 수도하던 곳으로 경봉이 쓴 편액이 걸려 있다. 유물로는 용문사 석불과 촌은집책판이 각각 경상남도유형문화재 제138호, 제172호로 지정되었다. 이 중 용문사석불은 높이 약 81cm로 고려 초기에 조성된 것이다. 임진왜란 이후 절을 중창하기 위해 땅을 파다가 발굴되었다고 한다. 촌은집책판은 조선 인조 때 학자인 유희경(劉希慶)의 시집《촌은집(村隱集)》을 간행하기 위해 만든 것이다. 그밖에 임진왜란 때 승병들이 사용하던 대포 삼혈포(三穴包)와 숙종으로부터 하사받은 연옥등(蓮玉燈) 2개, 촛대, 번(幡), 수국사 금패(禁牌) 등이 있었으나 연옥등과 촛대는 일제강점기에 일본인이 훔쳐갔다고 한다. 절 입구 일주문 오른쪽 언덕에 9기의 부도가 있다.

    저작물 설명

    신라 애장왕 때 창건된 절로 열두 명의 고승을 배출한 남해 최대의 사찰이다. 임진왜란 때에는 승병활동의 근거지로서 조선 숙종 때 수국사로 지정, 보호받기도 했다. 현재의 절은 임진왜란 때 불탄 것을 재건한 것으로, 경내 문화유적으로는 대웅전(경남 유형 문화재 제 85호)과 석불좌상(경남 유형문화재 제138호), 명부전(경남 문화재 자료 제151호), 천왕각(경남 문화재자료 제150호)과 조선 인조 때의 학자 유희경의 시집인 촌은집을 간행키 위해 만든 판목으로 시·수창·전기·모포 등을 수록 판각한 "촌은집책판" (경남 유형문화재 제 172호) 등이 있다. 용문사의 유래는 원효대사가 금산(錦山)을 찾아와 보광사를 짓고 산명(山名)도 보광산이라 하였다. 이때에 현 용문사에 첨성각(瞻星閣)이 세워졌다고 전하고 있으며 금산에 있었던 보광사를 이 곳으로 옮겼다고 한다. 그 후 시절인연(時節因緣)따라 백월당대사가 남쪽에 있는 용소(龍沼)위에 터를 정하고 용문사라 하였다. 대한불교조계종 제13교구 본사인 쌍계사의 말사이다. 802년(신라 애자왕 3) 창건되었다. 1592년(조선 선조 25) 임진왜란 때 이 절 승려들이 승병으로 참여하여 왜군과 싸웠는데 이 때 절이 불에 타 없어졌으며 1661년(현종 2) 학진(學進)이 인근 보광사(普光寺) 건물을 옮겨와 중창하였다. 보광사는 원효가 세운 사찰이었으나 이곳으로 옮길 때에는 폐사 직전의 상태였다고 한다. 용연(龍淵) 위쪽에 터를 잡았다고 해서 용문사라고 이름을 붙였다. 임진왜란 이후 호국도량으로 널리 알려져 숙종(재위:1674∼1720) 때 나라를 지키는 절이라며 수국사(守國寺)로 지정하였다. 또 이 때 왕실의 축원당(祝願堂)으로 삼았다. 1703년(숙종 29)과 1735년(영조 11), 1819년(순조 19), 1857년(철종 8), 1 970년에 각각 중수하였다. 현존하는 건물로는 대웅전과 천왕각, 명부전, 칠성각, 봉서루, 산신각, 요사 등이 있으며, 산내 암자로는 1751년(영조 27)에 세운 백련암(白蓮庵)과 염불암(念佛庵)이 남아 있다. 용문사 대웅전은 정면 3간, 측면 3간의 팔작지붕 건물로 처마 밑에 용두(龍頭)를 조각해 넣었다. 1974년 경상남도유형문화재 제85호로 지정되었다. 용문사 천왕각과 용문사 명부전은 1985년에 각각 경상남도문화재자료 제150호, 제151호로 지정되었다. 한편 백련암은 용성과 성철 등 고승들이 수도하던 곳으로 경봉이 쓴 편액이 걸려 있다. 유물로는 용문사 석불과 촌은집책판이 각각 경상남도유형문화재 제138호, 제172호로 지정되었다. 이 중 용문사석불은 높이 약 81cm로 고려 초기에 조성된 것이다. 임진왜란 이후 절을 중창하기 위해 땅을 파다가 발굴되었다고 한다. 촌은집책판은 조선 인조 때 학자인 유희경(劉希慶)의 시집《촌은집(村隱集)》을 간행하기 위해 만든 것이다. 그밖에 임진왜란 때 승병들이 사용하던 대포 삼혈포(三穴包)와 숙종으로부터 하사받은 연옥등(蓮玉燈) 2개, 촛대, 번(幡), 수국사 금패(禁牌) 등이 있었으나 연옥등과 촛대는 일제강점기에 일본인이 훔쳐갔다고 한다. 절 입구 일주문 오른쪽 언덕에 9기의 부도가 있다.

    다운로드

    ※ 고화질의 대용량(20~30MB/장)사진의 경우 다운로드에 다소 시간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출처표시 예시

    예시
    01
    본 저작물은 OOO(기관명)에서 OO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유형번호]유형으로 개방한 저작물명(작성자:OOO)을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OOO(기관명), OOO(홈페이지 주소)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위 내용은 예시이므로 작성연도 및 해당 기관명과 홈페이지 주소, 작성자명 기입

    예시
    02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유형번호]유형에 따라 [기관명(사이트 URL), 작성자:OOO]의 공공저작물을 이용하였습니다.
    예시
    03
    * 출처 -[기관명], [사이트명(사이트상세 URL)]

    유의사항

    <이용자가 가지는 권리 >

    1. 온·오프라인 상에 공유 및 이용 : 온·오프라인을 통하여 공유 및 이용 가능

    2. 저작물 변경 : 2차적 저작물로 변경하여 이용 가능

    3. 이 저작물은 영리 목적으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물 사용 조건>

    - 출처 표시 : 저작물의 출처를 표시하셔야 합니다.

    공공기관이 후원 한다고 하거나 공공기관과 특수한 관계에 있는 것처럼 제 3자가 오인하게 하는 표시를 해서는 안됩니다.

    < 알아야 할 사항 >

    I. 이용조건의 표시 및 변경

    1. 이용자가 공공누리 저작물 활용 시 출처표시를 꼭 해 주셔야 합니다.

    2. 공공누리 저작물의 이용조건은 변경될 수 있습니다.

    다만 이용자가 이용조건 변경 전 사용하셨다면 해당저작물 한해 용도변경 없이 계속 이용할 수 있습니다.

    II. 이용조건의 위반

    1. 이용자가 공공누리 이용조건을 위반할 경우 그 즉시 이용허락이 종료됩니다.

    2. 이용자가 이용조건 위반 후 지속적으로 공공저작물을 이용할 경우 저작권 침해가 성립되므로 형사상, 민사상 책임을 부담 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