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어
제공기관
    등록년도
    ~
    저작물 유형
    저작물 구분
    설명 보기:각 기관에서 제공해주신 원문DB 공공저작물로 바로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각 기관에서 제공해주신 원문DB 공공저작물로 바로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설명 보기: 각 기관 사이트에서 연계한 저작물로 기관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각 기관 사이트에서 연계한 저작물로 기관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이용조건 이란

    1) 제1유형 : 출처표시
    - 출처표시
    -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

    2) 제2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출처표시
    - 비상업적 이용만 가능
    -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

    3) 제3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출처표시
    -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금지

    4)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 출처표시
    - 비상업적 이용만 가능
    -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금지

    5) 만료공공저작물 : 이용조건(출처표시 포함)이 없이 자유롭게 이용
    - 이용조건(출처표시 포함) 없음

    경남_남해_창선교와 남해지족해협 죽방렴_1

    이미지

    경남_남해_창선교와 남해지족해협 죽방렴_1_1번 사진
    경남_남해_창선교와 남해지족해협 죽방렴_1_2번 사진
    경남_남해_창선교와 남해지족해협 죽방렴_1_3번 사진
    경남_남해_창선교와 남해지족해협 죽방렴_1_4번 사진
    경남_남해_창선교와 남해지족해협 죽방렴_1_5번 사진
    경남_남해_창선교와 남해지족해협 죽방렴_1_6번 사진
    경남_남해_창선교와 남해지족해협 죽방렴_1_7번 사진
    경남_남해_창선교와 남해지족해협 죽방렴_1_8번 사진
    경남_남해_창선교와 남해지족해협 죽방렴_1_9번 사진
    경남_남해_창선교와 남해지족해협 죽방렴_1_10번 사진
    /
    73 198
    공유하기
    관련태그
    #남해군 #창선 #삼천포 #대교 #죽방렴 #교량 #국도 제3호선 #남해4경
    제공기관
    • · 촬영연도 : 2020
    • · 촬영기관 : 남해군(관광진흥과)
    • · 소장기관 : 경상남도 남해군
    공공누리 유형

    경상남도 남해군이(가) 보유한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1유형: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저작물 정보
    저작물 설명

    남해군 본섬과 창선도를 끼고 있는 해협은 그 폭이 좁아 밀물과 들물때에 물살이 매우 센 곳이다. 죽방렴은 물이 드나드는 좁은 바다 물목에 대나무 발 그물을 세워 물고기를 잡는 원시어업이다. 정의에 딱 맞는 곳이 바로 이곳이다. 다른 이름으로 “대나무 어사리“라고도 하고, 조선시대에는 방전으로도 불렀다. 1469년(예종1년) ≪경상도 속찬지리지≫ <남해현조편>에 나오는 가장 오래된 전은 경상남도 남해군 이곳 지족해협에서 이어지고 있다. 죽방렴 어구는 간만의 차가 크고 물살이 세며 수심이 얕은 곳에 V자 모양으로 만든다. 참나무 말뚝을 V자로 박고 대나무로 그물을 엮어 물고기가 들어오면 V자 끝에 설치된 볼록한 불통에 같혀 빠져 나가지 못하게 한다. 불통은 밀물 때는 열리고 썰물 때는 닫히게 되어 있다. 물고기는 하루에 두세번 소형어선을 타고 들어가 뜰채로 건져 내는데 신선도가 높아 최고의 값을 받는다. 고기잡이는 3월부터 12월까지 이어지며, 5월에서 8월 사이에 멸치와 갈치를 비롯해 학꽁치, 붕장어, 도다리, 농어, 감성돔, 숭어, 보리새우 등 다양한 고기가 잡힌다. 그중 멸치가 80% 정도 차지하는데 이곳에서 잡힌 멸치는 죽방렴멸치라 해서 최상품으로 대우받고 있다.

    저작물 설명

    남해군 본섬과 창선도를 끼고 있는 해협은 그 폭이 좁아 밀물과 들물때에 물살이 매우 센 곳이다. 죽방렴은 물이 드나드는 좁은 바다 물목에 대나무 발 그물을 세워 물고기를 잡는 원시어업이다. 정의에 딱 맞는 곳이 바로 이곳이다. 다른 이름으로 “대나무 어사리“라고도 하고, 조선시대에는 방전으로도 불렀다. 1469년(예종1년) ≪경상도 속찬지리지≫ <남해현조편>에 나오는 가장 오래된 전은 경상남도 남해군 이곳 지족해협에서 이어지고 있다. 죽방렴 어구는 간만의 차가 크고 물살이 세며 수심이 얕은 곳에 V자 모양으로 만든다. 참나무 말뚝을 V자로 박고 대나무로 그물을 엮어 물고기가 들어오면 V자 끝에 설치된 볼록한 불통에 같혀 빠져 나가지 못하게 한다. 불통은 밀물 때는 열리고 썰물 때는 닫히게 되어 있다. 물고기는 하루에 두세번 소형어선을 타고 들어가 뜰채로 건져 내는데 신선도가 높아 최고의 값을 받는다. 고기잡이는 3월부터 12월까지 이어지며, 5월에서 8월 사이에 멸치와 갈치를 비롯해 학꽁치, 붕장어, 도다리, 농어, 감성돔, 숭어, 보리새우 등 다양한 고기가 잡힌다. 그중 멸치가 80% 정도 차지하는데 이곳에서 잡힌 멸치는 죽방렴멸치라 해서 최상품으로 대우받고 있다.

    다운로드

    ※ 고화질의 대용량(20~30MB/장)사진의 경우 다운로드에 다소 시간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출처표시 예시

    예시
    01
    본 저작물은 OOO(기관명)에서 OO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유형번호]유형으로 개방한 저작물명(작성자:OOO)을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OOO(기관명), OOO(홈페이지 주소)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위 내용은 예시이므로 작성연도 및 해당 기관명과 홈페이지 주소, 작성자명 기입

    예시
    02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유형번호]유형에 따라 [기관명(사이트 URL), 작성자:OOO]의 공공저작물을 이용하였습니다.
    예시
    03
    * 출처 -[기관명], [사이트명(사이트상세 URL)]

    유의사항

    <이용자가 가지는 권리 >

    1. 온·오프라인 상에 공유 및 이용 : 온·오프라인을 통하여 공유 및 이용 가능

    2. 저작물 변경 : 2차적 저작물로 변경하여 이용 가능

    3. 이 저작물은 영리 목적으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물 사용 조건>

    - 출처 표시 : 저작물의 출처를 표시하셔야 합니다.

    공공기관이 후원 한다고 하거나 공공기관과 특수한 관계에 있는 것처럼 제 3자가 오인하게 하는 표시를 해서는 안됩니다.

    < 알아야 할 사항 >

    I. 이용조건의 표시 및 변경

    1. 이용자가 공공누리 저작물 활용 시 출처표시를 꼭 해 주셔야 합니다.

    2. 공공누리 저작물의 이용조건은 변경될 수 있습니다.

    다만 이용자가 이용조건 변경 전 사용하셨다면 해당저작물 한해 용도변경 없이 계속 이용할 수 있습니다.

    II. 이용조건의 위반

    1. 이용자가 공공누리 이용조건을 위반할 경우 그 즉시 이용허락이 종료됩니다.

    2. 이용자가 이용조건 위반 후 지속적으로 공공저작물을 이용할 경우 저작권 침해가 성립되므로 형사상, 민사상 책임을 부담 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