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어
제공기관
    등록년도
    ~
    저작물 유형
    저작물 구분
    설명 보기:각 기관에서 제공해주신 원문DB 공공저작물로 바로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각 기관에서 제공해주신 원문DB 공공저작물로 바로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설명 보기: 각 기관 사이트에서 연계한 저작물로 기관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각 기관 사이트에서 연계한 저작물로 기관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이용조건 이란

    1) 제1유형 : 출처표시
    - 출처표시
    -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

    2) 제2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출처표시
    - 비상업적 이용만 가능
    -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

    3) 제3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출처표시
    -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금지

    4)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 출처표시
    - 비상업적 이용만 가능
    -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금지

    5) 만료공공저작물 : 이용조건(출처표시 포함)이 없이 자유롭게 이용
    - 이용조건(출처표시 포함) 없음

    육군박물관_화포식언해

    이미지

    육군박물관_화포식언해_1번 사진
    육군박물관_화포식언해_2번 사진
    육군박물관_화포식언해_3번 사진
    육군박물관_화포식언해_4번 사진
    육군박물관_화포식언해_5번 사진
    육군박물관_화포식언해_6번 사진
    육군박물관_화포식언해_7번 사진
    육군박물관_화포식언해_8번 사진
    육군박물관_화포식언해_9번 사진
    육군박물관_화포식언해_10번 사진
    육군박물관_화포식언해_11번 사진
    육군박물관_화포식언해_12번 사진
    육군박물관_화포식언해_13번 사진
    육군박물관_화포식언해_14번 사진
    육군박물관_화포식언해_15번 사진
    육군박물관_화포식언해_16번 사진
    육군박물관_화포식언해_17번 사진
    육군박물관_화포식언해_18번 사진
    육군박물관_화포식언해_19번 사진
    육군박물관_화포식언해_20번 사진
    육군박물관_화포식언해_21번 사진
    육군박물관_화포식언해_22번 사진
    육군박물관_화포식언해_23번 사진
    육군박물관_화포식언해_24번 사진
    육군박물관_화포식언해_25번 사진
    육군박물관_화포식언해_26번 사진
    육군박물관_화포식언해_27번 사진
    육군박물관_화포식언해_28번 사진
    육군박물관_화포식언해_29번 사진
    육군박물관_화포식언해_30번 사진
    육군박물관_화포식언해_31번 사진
    육군박물관_화포식언해_32번 사진
    육군박물관_화포식언해_33번 사진
    육군박물관_화포식언해_34번 사진
    육군박물관_화포식언해_35번 사진
    육군박물관_화포식언해_36번 사진
    육군박물관_화포식언해_37번 사진
    육군박물관_화포식언해_38번 사진
    육군박물관_화포식언해_39번 사진
    육군박물관_화포식언해_40번 사진
    육군박물관_화포식언해_41번 사진
    육군박물관_화포식언해_42번 사진
    육군박물관_화포식언해_43번 사진
    육군박물관_화포식언해_44번 사진
    육군박물관_화포식언해_45번 사진
    육군박물관_화포식언해_46번 사진
    육군박물관_화포식언해_47번 사진
    육군박물관_화포식언해_48번 사진
    육군박물관_화포식언해_49번 사진
    육군박물관_화포식언해_50번 사진
    육군박물관_화포식언해_51번 사진
    육군박물관_화포식언해_52번 사진
    육군박물관_화포식언해_53번 사진
    육군박물관_화포식언해_54번 사진
    육군박물관_화포식언해_55번 사진
    육군박물관_화포식언해_56번 사진
    /
    321 2753
    공유하기
    관련태그
    #육군사관학교 육군박물관 #고문헌 #화포식언해
    제공기관
    • · 촬영연도 :
    • · 촬영기관 : 육군사관학교 육군박물관
    • · 소장기관 : 육군사관학교 육군박물관
    공공누리 유형

    육군사관학교 육군박물관이(가) 보유한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1유형: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저작물 정보
    저작물 설명

    조선 후기의 무신 이서가 총 쏘는 방법과 화약 굽는 방법에 대한 내용을 담아 1635년에 편찬한 『화포식언해』를 1685년에 다시 간행한 중간본(重刊本)이다. 「화포식」의 내용에 이어 화약의 원료인 염초의 제조법을 담은 「신전자취염초방언해(新傳煮取焰硝方諺解)」를 수록하였다. 책 말미에 최명길(崔鳴吉, 1586~1647)이 쓴 숭정기원후 8년(1635)의 발문이 실려 있고, 이어서 부사과 김익찬(金益粲)의 감교(監校)로 을축년(1685)에 중간하였다는 기록이 있다. 본문은 한글 구결이 달린 한문 원문을 싣고 이에 대한 언해문을 이어 수록하는 방식으로 구성하였다. 이 책은 조선시대에 사용된 화약병기의 종류 및 용약법에 대한 내용뿐 아니라 17세기 국어 연구에 중요한 자료이다.

    저작물 설명
    조선 후기의 무신 이서가 총 쏘는 방법과 화약 굽는 방법에 대한 내용을 담아 1635년에 편찬한 『화포식언해』를 1685년에 다시 간행한 중간본(重刊本)이다. 「화포식」의 내용에 이어 화약의 원료인 염초의 제조법을 담은 「신전자취염초방언해(新傳煮取焰硝方諺解)」를 수록하였다. 책 말미에 최명길(崔鳴吉, 1586~1647)이 쓴 숭정기원후 8년(1635)의 발문이 실려 있고, 이어서 부사과 김익찬(金益粲)의 감교(監校)로 을축년(1685)에 중간하였다는 기록이 있다. 본문은 한글 구결이 달린 한문 원문을 싣고 이에 대한 언해문을 이어 수록하는 방식으로 구성하였다. 이 책은 조선시대에 사용된 화약병기의 종류 및 용약법에 대한 내용뿐 아니라 17세기 국어 연구에 중요한 자료이다.
    다운로드

    ※ 고화질의 대용량(20~30MB/장)사진의 경우 다운로드에 다소 시간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출처표시 예시

    예시
    01
    본 저작물은 OOO(기관명)에서 OO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유형번호]유형으로 개방한 저작물명(작성자:OOO)을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OOO(기관명), OOO(홈페이지 주소)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위 내용은 예시이므로 작성연도 및 해당 기관명과 홈페이지 주소, 작성자명 기입

    예시
    02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유형번호]유형에 따라 [기관명(사이트 URL), 작성자:OOO]의 공공저작물을 이용하였습니다.
    예시
    03
    * 출처 -[기관명], [사이트명(사이트상세 URL)]

    유의사항

    <이용자가 가지는 권리 >

    1. 온·오프라인 상에 공유 및 이용 : 온·오프라인을 통하여 공유 및 이용 가능

    2. 저작물 변경 : 2차적 저작물로 변경하여 이용 가능

    3. 이 저작물은 영리 목적으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물 사용 조건>

    - 출처 표시 : 저작물의 출처를 표시하셔야 합니다.

    공공기관이 후원 한다고 하거나 공공기관과 특수한 관계에 있는 것처럼 제 3자가 오인하게 하는 표시를 해서는 안됩니다.

    < 알아야 할 사항 >

    I. 이용조건의 표시 및 변경

    1. 이용자가 공공누리 저작물 활용 시 출처표시를 꼭 해 주셔야 합니다.

    2. 공공누리 저작물의 이용조건은 변경될 수 있습니다.

    다만 이용자가 이용조건 변경 전 사용하셨다면 해당저작물 한해 용도변경 없이 계속 이용할 수 있습니다.

    II. 이용조건의 위반

    1. 이용자가 공공누리 이용조건을 위반할 경우 그 즉시 이용허락이 종료됩니다.

    2. 이용자가 이용조건 위반 후 지속적으로 공공저작물을 이용할 경우 저작권 침해가 성립되므로 형사상, 민사상 책임을 부담 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