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군박물관_장양공정토시전부호도
이미지
- 관련태그
- #육군사관학교 육군박물관 #회화 #기록화 #장양공정토시전부호도
- 제공기관
-
- · 촬영연도 :
- · 촬영기관 : 육군사관학교 육군박물관
- · 소장기관 : 육군사관학교 육군박물관
- 공공누리 유형
-
육군사관학교 육군박물관이(가) 보유한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1유형: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 저작물 정보
- 저작물 설명
-
장양공(壯襄公) 이일(李鎰, 1538~1601)이 함경북도 병마절도사를 역임할 때 함경도 지역을 침략하던 여진족의 본거지인 시전 부락을 정벌하는 모습을 묘사한 그림이다. ‘장양공정토시전부호도(壯襄公征討時錢部胡圖)’라고 쓴 전서체의 제목과 그림, 좌목 등 3단으로 구성된 전형적인 계회도 형식이다. 그림에는 주위의 산길을 돌아 여진족을 포위하고 시전부락을 불태우는 조선군의 모습과, 중앙에 여진족의 항복을 받는 이일 장군의 모습이 그려져 있다. 좌목에는 대장인 함경북도 병마절도사 이일과 그 휘하의 조전장(助戰將) 서득운(徐得運) 등 11명의 지휘부, 이어 선봉장(先鋒將) 고령진 병마첨절제사(高嶺鎭 兵馬僉節制使) 유극량(劉克良)을 포함한 22명의 좌위(左衛) 소속 장수, 선봉장 함경북도 조방장(助防將) 이천(李薦)을 포함한 24명의 우위(右衛) 소속 장수의 이름이 기록되어 있다. 우위의 좌목에는 충무공(忠武公) 이순신(李舜臣, 1545~1598)과 원균(元均, 1540~1597)의 이름도 보인다. 좌목 좌측의 이재관의 기록에 따르면 원래 장양공 이일의 손자 경상좌수사 이견(李汧, 1618~?)이 조부의 공훈을 기념하고 후세에 알리고자 그림을 그려 종손(宗孫)과 지손(支孫)의 집안에 보관하였는데, 세월이 흐르면서 남은 것이 한 건 밖에 없게 되자 1849년에 다시 추가로 3건을 제작하였다고 한다. 서울특별시 지정(유형) 문화재 제304호 지정품.
저작물 설명장양공(壯襄公) 이일(李鎰, 1538~1601)이 함경북도 병마절도사를 역임할 때 함경도 지역을 침략하던 여진족의 본거지인 시전 부락을 정벌하는 모습을 묘사한 그림이다. ‘장양공정토시전부호도(壯襄公征討時錢部胡圖)’라고 쓴 전서체의 제목과 그림, 좌목 등 3단으로 구성된 전형적인 계회도 형식이다. 그림에는 주위의 산길을 돌아 여진족을 포위하고 시전부락을 불태우는 조선군의 모습과, 중앙에 여진족의 항복을 받는 이일 장군의 모습이 그려져 있다. 좌목에는 대장인 함경북도 병마절도사 이일과 그 휘하의 조전장(助戰將) 서득운(徐得運) 등 11명의 지휘부, 이어 선봉장(先鋒將) 고령진 병마첨절제사(高嶺鎭 兵馬僉節制使) 유극량(劉克良)을 포함한 22명의 좌위(左衛) 소속 장수, 선봉장 함경북도 조방장(助防將) 이천(李薦)을 포함한 24명의 우위(右衛) 소속 장수의 이름이 기록되어 있다. 우위의 좌목에는 충무공(忠武公) 이순신(李舜臣, 1545~1598)과 원균(元均, 1540~1597)의 이름도 보인다. 좌목 좌측의 이재관의 기록에 따르면 원래 장양공 이일의 손자 경상좌수사 이견(李汧, 1618~?)이 조부의 공훈을 기념하고 후세에 알리고자 그림을 그려 종손(宗孫)과 지손(支孫)의 집안에 보관하였는데, 세월이 흐르면서 남은 것이 한 건 밖에 없게 되자 1849년에 다시 추가로 3건을 제작하였다고 한다. 서울특별시 지정(유형) 문화재 제304호 지정품.
- 다운로드
-
※ 고화질의 대용량(20~30MB/장)사진의 경우 다운로드에 다소 시간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출처표시 예시
- 예시
01 -
본 저작물은 OOO(기관명)에서 OO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유형번호]유형으로 개방한 저작물명(작성자:OOO)을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OOO(기관명), OOO(홈페이지 주소)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위 내용은 예시이므로 작성연도 및 해당 기관명과 홈페이지 주소, 작성자명 기입
- 예시
02 -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유형번호]유형에 따라 [기관명(사이트 URL), 작성자:OOO]의 공공저작물을 이용하였습니다.
- 예시
03 -
* 출처 -[기관명], [사이트명(사이트상세 URL)]
유의사항
1. 온·오프라인 상에 공유 및 이용 : 온·오프라인을 통하여 공유 및 이용 가능
2. 저작물 변경 : 2차적 저작물로 변경하여 이용 가능
3. 이 저작물은 영리 목적으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물 사용 조건>- 출처 표시 : 저작물의 출처를 표시하셔야 합니다.
공공기관이 후원 한다고 하거나 공공기관과 특수한 관계에 있는 것처럼 제 3자가 오인하게 하는 표시를 해서는 안됩니다.
< 알아야 할 사항 >I. 이용조건의 표시 및 변경
1. 이용자가 공공누리 저작물 활용 시 출처표시를 꼭 해 주셔야 합니다.
2. 공공누리 저작물의 이용조건은 변경될 수 있습니다.
다만 이용자가 이용조건 변경 전 사용하셨다면 해당저작물 한해 용도변경 없이 계속 이용할 수 있습니다.
II. 이용조건의 위반1. 이용자가 공공누리 이용조건을 위반할 경우 그 즉시 이용허락이 종료됩니다.
2. 이용자가 이용조건 위반 후 지속적으로 공공저작물을 이용할 경우 저작권 침해가 성립되므로 형사상, 민사상 책임을 부담 하실 수 있습니다.
원본신청안내 및 개인정보 수집동의
고품질 공공저작물 원본 신청
공공누리에서 제공하는 공공저작물 중 공공누리 1유형은 출처표시만 한다면 영리, 비영리 목적으로 모두 활용 가능하며 개작 등 2차 변형이 가능하도록 무료로 개방하고 있습니다. 다만, 원활한 저작물 제공과 관리를 위해 아래와 같이 원본 이용 신청을 받고 있습니다.
원본 신청 파일 수령 안내
한국문화정보원에서는 공공저작물 원본 파일을 방문수령 또는 저장장치 배송을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원본 신청 접수 완료 후 상세 수령 절차는 기입하신 이메일을 통해 안내 드립니다.
* 1일 이내 안내메일 발송(주말제외)
* 원본 저장 장치(USB, 외장하드 등)를 사전에 준비하셔야 하며 왕복 택배비는 신청자 부담입니다.
개인정보이용 동의 안내
한국문화정보원에서는 공공저작물 원본 관리 및 전달 등과 관련하여 귀하의 개인정보를 아래와 같이 수집하고자 합니다. 다음의 사항에 대해 충분히 읽어 보신 후, 동의 여부를 체크, 서명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개인정보 수집항목
- 기 업 : 기업명, 소속/부서
- 담 당 자 : 성명, 이메일 주소
- 일반 국민 : 성명, 이메일 주소
* 개인정보 수집목적
- 이용허가 및 저작권 이용관리
보유기간 : 수집된 정보는 3년간 보존하며, 수집된 정보는 수집 목적 이외의 다른 목적으로 사용되지 않습니다.
위의 개인정보 수집에 대한 동의를 거부할 권리가 있습니다. 그러나 동의를 거부할 경우 원활한 저작권 이용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원본신청안내 및 개인정보 수집동의
공공누리 이용 약관 및 개인 정보이용 동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