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어
제공기관
    등록년도
    ~
    저작물 유형
    저작물 구분
    설명 보기:각 기관에서 제공해주신 원문DB 공공저작물로 바로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각 기관에서 제공해주신 원문DB 공공저작물로 바로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설명 보기: 각 기관 사이트에서 연계한 저작물로 기관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각 기관 사이트에서 연계한 저작물로 기관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이용조건 이란

    1) 제1유형 : 출처표시
    - 출처표시
    -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

    2) 제2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출처표시
    - 비상업적 이용만 가능
    -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

    3) 제3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출처표시
    -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금지

    4)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 출처표시
    - 비상업적 이용만 가능
    -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금지

    5) 만료공공저작물 : 이용조건(출처표시 포함)이 없이 자유롭게 이용
    - 이용조건(출처표시 포함) 없음

    육군박물관_동래부순절도

    이미지

    육군박물관_동래부순절도_1번 사진
    육군박물관_동래부순절도_2번 사진
    육군박물관_동래부순절도_3번 사진
    육군박물관_동래부순절도_4번 사진
    육군박물관_동래부순절도_5번 사진
    육군박물관_동래부순절도_6번 사진
    육군박물관_동래부순절도_7번 사진
    육군박물관_동래부순절도_8번 사진
    육군박물관_동래부순절도_9번 사진
    육군박물관_동래부순절도_10번 사진
    육군박물관_동래부순절도_11번 사진
    육군박물관_동래부순절도_12번 사진
    육군박물관_동래부순절도_13번 사진
    육군박물관_동래부순절도_14번 사진
    육군박물관_동래부순절도_15번 사진
    육군박물관_동래부순절도_16번 사진
    육군박물관_동래부순절도_17번 사진
    육군박물관_동래부순절도_18번 사진
    육군박물관_동래부순절도_19번 사진
    육군박물관_동래부순절도_20번 사진
    육군박물관_동래부순절도_21번 사진
    육군박물관_동래부순절도_22번 사진
    육군박물관_동래부순절도_23번 사진
    육군박물관_동래부순절도_24번 사진
    육군박물관_동래부순절도_25번 사진
    육군박물관_동래부순절도_26번 사진
    /
    486 896
    공유하기
    관련태그
    #육군사관학교 육군박물관 #회화 #기록화 #동래부순절도
    제공기관
    • · 촬영연도 :
    • · 촬영기관 : 육군사관학교 육군박물관
    • · 소장기관 : 육군사관학교 육군박물관
    공공누리 유형

    육군사관학교 육군박물관이(가) 보유한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1유형: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저작물 정보
    저작물 설명

    1592년 4월 15일 부산진에 이어 동래성에 침입한 일본군에 맞서 싸운 동래부사 송상현(宋象賢, 1551~1592) 및 군민들의 항전과 순절을 기록한 그림이다. 화원 변박(卞璞)이 제작한 것으로, 민정중의 「임진유문(壬辰遺聞)」과 송시열의 「동래남문비(東萊南門碑)」의 기록에 따라 여러 시점의 사건들을 선후 관계를 무시한 채 한 화면에 담아내고 있다. 화면 우상단에는 전날 저녁 무렵 경상좌병사(慶尙左兵使) 이각(李珏)이 말을 타고 성벽 밖으로 달아나는 모습이 그려져 있다. 화면 상단에서 중앙에 걸쳐 동래성이, 하단에는 일본군의 막사가 있으며 각 진영에 내걸린 황색의 수자기(帥字旗)와 적색의 일본기가 시각적 대조를 이룬다. 성벽 문루에는 부사 송상현이 일본군과 대치하고 있으며 그 아래에는 “길을 빌려달라[假我途]”는 목패에 대한 답으로 “(싸우다 죽는 것은 쉽지만) 길을 빌려주기는 어렵다[(戰死易)假途難]”는 목패가 던져져 있다. 무너진 성벽을 통로로 장창과 쌍칼을 든 일본군이 몰려들고 있으며 성 안에서는 백성 김상(金祥)과 여인 두 사람이 지붕에 올라 일본군에게 기와를 던지고 있다. 중앙의 전각 아래에는 붉은 관복 차림의 부사 송상현이 북쪽의 임금이 있는 곳을 향해 절을 올리고 장렬히 순절하는 모습이 그려져 있다. 이 그림은 「부산진순절도(釜山鎭殉節圖)」와 함께 임진왜란의 전투 장면을 묘사한 대표적 회화 유물로서, 외세의 침략에 맞서 싸운 민족적, 군사적 의미가 탁월한 작품이다. 국가지정문화재(보물) 제392호 지정품.

    저작물 설명
    1592년 4월 15일 부산진에 이어 동래성에 침입한 일본군에 맞서 싸운 동래부사 송상현(宋象賢, 1551~1592) 및 군민들의 항전과 순절을 기록한 그림이다. 화원 변박(卞璞)이 제작한 것으로, 민정중의 「임진유문(壬辰遺聞)」과 송시열의 「동래남문비(東萊南門碑)」의 기록에 따라 여러 시점의 사건들을 선후 관계를 무시한 채 한 화면에 담아내고 있다. 화면 우상단에는 전날 저녁 무렵 경상좌병사(慶尙左兵使) 이각(李珏)이 말을 타고 성벽 밖으로 달아나는 모습이 그려져 있다. 화면 상단에서 중앙에 걸쳐 동래성이, 하단에는 일본군의 막사가 있으며 각 진영에 내걸린 황색의 수자기(帥字旗)와 적색의 일본기가 시각적 대조를 이룬다. 성벽 문루에는 부사 송상현이 일본군과 대치하고 있으며 그 아래에는 “길을 빌려달라[假我途]”는 목패에 대한 답으로 “(싸우다 죽는 것은 쉽지만) 길을 빌려주기는 어렵다[(戰死易)假途難]”는 목패가 던져져 있다. 무너진 성벽을 통로로 장창과 쌍칼을 든 일본군이 몰려들고 있으며 성 안에서는 백성 김상(金祥)과 여인 두 사람이 지붕에 올라 일본군에게 기와를 던지고 있다. 중앙의 전각 아래에는 붉은 관복 차림의 부사 송상현이 북쪽의 임금이 있는 곳을 향해 절을 올리고 장렬히 순절하는 모습이 그려져 있다. 이 그림은 「부산진순절도(釜山鎭殉節圖)」와 함께 임진왜란의 전투 장면을 묘사한 대표적 회화 유물로서, 외세의 침략에 맞서 싸운 민족적, 군사적 의미가 탁월한 작품이다. 국가지정문화재(보물) 제392호 지정품.
    다운로드

    ※ 고화질의 대용량(20~30MB/장)사진의 경우 다운로드에 다소 시간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출처표시 예시

    예시
    01
    본 저작물은 OOO(기관명)에서 OO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유형번호]유형으로 개방한 저작물명(작성자:OOO)을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OOO(기관명), OOO(홈페이지 주소)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위 내용은 예시이므로 작성연도 및 해당 기관명과 홈페이지 주소, 작성자명 기입

    예시
    02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유형번호]유형에 따라 [기관명(사이트 URL), 작성자:OOO]의 공공저작물을 이용하였습니다.
    예시
    03
    * 출처 -[기관명], [사이트명(사이트상세 URL)]

    유의사항

    <이용자가 가지는 권리 >

    1. 온·오프라인 상에 공유 및 이용 : 온·오프라인을 통하여 공유 및 이용 가능

    2. 저작물 변경 : 2차적 저작물로 변경하여 이용 가능

    3. 이 저작물은 영리 목적으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물 사용 조건>

    - 출처 표시 : 저작물의 출처를 표시하셔야 합니다.

    공공기관이 후원 한다고 하거나 공공기관과 특수한 관계에 있는 것처럼 제 3자가 오인하게 하는 표시를 해서는 안됩니다.

    < 알아야 할 사항 >

    I. 이용조건의 표시 및 변경

    1. 이용자가 공공누리 저작물 활용 시 출처표시를 꼭 해 주셔야 합니다.

    2. 공공누리 저작물의 이용조건은 변경될 수 있습니다.

    다만 이용자가 이용조건 변경 전 사용하셨다면 해당저작물 한해 용도변경 없이 계속 이용할 수 있습니다.

    II. 이용조건의 위반

    1. 이용자가 공공누리 이용조건을 위반할 경우 그 즉시 이용허락이 종료됩니다.

    2. 이용자가 이용조건 위반 후 지속적으로 공공저작물을 이용할 경우 저작권 침해가 성립되므로 형사상, 민사상 책임을 부담 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