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어
제공기관
    등록년도
    ~
    저작물 유형
    저작물 구분
    설명 보기:각 기관에서 제공해주신 원문DB 공공저작물로 바로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각 기관에서 제공해주신 원문DB 공공저작물로 바로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설명 보기: 각 기관 사이트에서 연계한 저작물로 기관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각 기관 사이트에서 연계한 저작물로 기관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이용조건 이란

    1) 제1유형 : 출처표시
    - 출처표시
    -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

    2) 제2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출처표시
    - 비상업적 이용만 가능
    -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

    3) 제3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출처표시
    -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금지

    4)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 출처표시
    - 비상업적 이용만 가능
    -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금지

    5) 만료공공저작물 : 이용조건(출처표시 포함)이 없이 자유롭게 이용
    - 이용조건(출처표시 포함) 없음

    육군박물관_강위빙 추증교지

    이미지

    육군박물관_강위빙 추증교지_1번 사진
    육군박물관_강위빙 추증교지_2번 사진
    육군박물관_강위빙 추증교지_3번 사진
    육군박물관_강위빙 추증교지_4번 사진
    육군박물관_강위빙 추증교지_5번 사진
    육군박물관_강위빙 추증교지_6번 사진
    육군박물관_강위빙 추증교지_7번 사진
    육군박물관_강위빙 추증교지_8번 사진
    /
    70 28
    공유하기
    관련태그
    #육군사관학교 육군박물관 #고문서 #추증교지 #강위빙 추증교지
    제공기관
    • · 촬영연도 :
    • · 촬영기관 : 육군사관학교 육군박물관
    • · 소장기관 : 육군사관학교 육군박물관
    공공누리 유형

    육군사관학교 육군박물관이(가) 보유한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1유형: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저작물 정보
    저작물 설명

    이 문서는 통정대부(通政大夫) 승정원(承政院) 좌승지(左承旨) 겸 경연참찬관(經筵參贊官), 어모장군(禦侮將軍) 세자익위사(世子翊衛司) 익위(翊衛) 벼슬의 강위빙(姜渭聘, 1569~1637)을 자헌대부(資憲大夫) 이조판서(吏曺判書) 겸 의금부사(義禁府事) 오위도총부(五衛都摠付) 도총관(都摠官)으로 추증한다는 내용의 추증 교지이다. 문서의 발급일 좌측에 강화도에서 순절한 사람에 대하여 정2품 판서급의 벼슬[正卿]을 내린다는 추증의 사유를 기재하였다. 이와 같이 적는 형식을 소자방서(小字傍書)라고 하며, 문무 양반 중 동반(東班)인 문관의 경우 좌측에, 서반(西班)인 무관의 경우 우측에 기재하였다. 강위빙은 1636년 병자호란이 일어나자 강화도로 가서 봉림대군(鳳林大君), 인평대군(麟坪大君) 등을 배종, 호위하였다. 이듬해 강화성이 함락되자 적에게 포로가 되어 항복을 강요당했으나, “내 목은 끊을 수 있으나 너희들 앞에 무릎은 꿇을 수 없다” 하여 끝내 순절하였다. 1657년(효종 8)에 좌승지에 추증되고, 고향인 강화에 충신정문(忠臣旌門)이 세워졌으며 후에 강화의 충렬사에 제향되었다.

    저작물 설명
    이 문서는 통정대부(通政大夫) 승정원(承政院) 좌승지(左承旨) 겸 경연참찬관(經筵參贊官), 어모장군(禦侮將軍) 세자익위사(世子翊衛司) 익위(翊衛) 벼슬의 강위빙(姜渭聘, 1569~1637)을 자헌대부(資憲大夫) 이조판서(吏曺判書) 겸 의금부사(義禁府事) 오위도총부(五衛都摠付) 도총관(都摠官)으로 추증한다는 내용의 추증 교지이다. 문서의 발급일 좌측에 강화도에서 순절한 사람에 대하여 정2품 판서급의 벼슬[正卿]을 내린다는 추증의 사유를 기재하였다. 이와 같이 적는 형식을 소자방서(小字傍書)라고 하며, 문무 양반 중 동반(東班)인 문관의 경우 좌측에, 서반(西班)인 무관의 경우 우측에 기재하였다. 강위빙은 1636년 병자호란이 일어나자 강화도로 가서 봉림대군(鳳林大君), 인평대군(麟坪大君) 등을 배종, 호위하였다. 이듬해 강화성이 함락되자 적에게 포로가 되어 항복을 강요당했으나, “내 목은 끊을 수 있으나 너희들 앞에 무릎은 꿇을 수 없다” 하여 끝내 순절하였다. 1657년(효종 8)에 좌승지에 추증되고, 고향인 강화에 충신정문(忠臣旌門)이 세워졌으며 후에 강화의 충렬사에 제향되었다.
    다운로드

    ※ 고화질의 대용량(20~30MB/장)사진의 경우 다운로드에 다소 시간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출처표시 예시

    예시
    01
    본 저작물은 OOO(기관명)에서 OO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유형번호]유형으로 개방한 저작물명(작성자:OOO)을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OOO(기관명), OOO(홈페이지 주소)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위 내용은 예시이므로 작성연도 및 해당 기관명과 홈페이지 주소, 작성자명 기입

    예시
    02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유형번호]유형에 따라 [기관명(사이트 URL), 작성자:OOO]의 공공저작물을 이용하였습니다.
    예시
    03
    * 출처 -[기관명], [사이트명(사이트상세 URL)]

    유의사항

    <이용자가 가지는 권리 >

    1. 온·오프라인 상에 공유 및 이용 : 온·오프라인을 통하여 공유 및 이용 가능

    2. 저작물 변경 : 2차적 저작물로 변경하여 이용 가능

    3. 이 저작물은 영리 목적으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물 사용 조건>

    - 출처 표시 : 저작물의 출처를 표시하셔야 합니다.

    공공기관이 후원 한다고 하거나 공공기관과 특수한 관계에 있는 것처럼 제 3자가 오인하게 하는 표시를 해서는 안됩니다.

    < 알아야 할 사항 >

    I. 이용조건의 표시 및 변경

    1. 이용자가 공공누리 저작물 활용 시 출처표시를 꼭 해 주셔야 합니다.

    2. 공공누리 저작물의 이용조건은 변경될 수 있습니다.

    다만 이용자가 이용조건 변경 전 사용하셨다면 해당저작물 한해 용도변경 없이 계속 이용할 수 있습니다.

    II. 이용조건의 위반

    1. 이용자가 공공누리 이용조건을 위반할 경우 그 즉시 이용허락이 종료됩니다.

    2. 이용자가 이용조건 위반 후 지속적으로 공공저작물을 이용할 경우 저작권 침해가 성립되므로 형사상, 민사상 책임을 부담 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