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어
제공기관
    등록년도
    ~
    저작물 유형
    저작물 구분
    설명 보기:각 기관에서 제공해주신 원문DB 공공저작물로 바로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각 기관에서 제공해주신 원문DB 공공저작물로 바로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설명 보기: 각 기관 사이트에서 연계한 저작물로 기관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각 기관 사이트에서 연계한 저작물로 기관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이용조건 이란

    1) 제1유형 : 출처표시
    - 출처표시
    -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

    2) 제2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출처표시
    - 비상업적 이용만 가능
    -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

    3) 제3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출처표시
    -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금지

    4)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 출처표시
    - 비상업적 이용만 가능
    -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금지

    5) 만료공공저작물 : 이용조건(출처표시 포함)이 없이 자유롭게 이용
    - 이용조건(출처표시 포함) 없음

    육군박물관_권응심 고신교지

    이미지

    육군박물관_권응심 고신교지_1번 사진
    육군박물관_권응심 고신교지_2번 사진
    육군박물관_권응심 고신교지_3번 사진
    육군박물관_권응심 고신교지_4번 사진
    육군박물관_권응심 고신교지_5번 사진
    육군박물관_권응심 고신교지_6번 사진
    육군박물관_권응심 고신교지_7번 사진
    /
    62 45
    공유하기
    관련태그
    #육군사관학교 육군박물관 #고문서 #고신 교지 #권응심 고신교지
    제공기관
    • · 촬영연도 :
    • · 촬영기관 : 육군사관학교 육군박물관
    • · 소장기관 : 육군사관학교 육군박물관
    공공누리 유형

    육군사관학교 육군박물관이(가) 보유한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1유형: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저작물 정보
    저작물 설명

    이 문서는 정유재란이 일어난 해인 1597년에 권응심(權應心)을 진위장군(振威將軍) 수(守) 경상좌도(慶尙左道) 병마우후(兵馬虞候)에 임명하는 고신교지(告身敎旨)이다. 고신교지란 4품 이상 품계 또는 관직을 임명하는 국왕문서를 말한다. 권응심은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종형 권응수(權應銖)와 함께 의병을 일으켜 영천성을 탈환하였다. 그 공로를 인정받아 수문장에 제수되었고, 문경과 안동의 일본군을 격퇴하기도 하였다. 정유재란이 일어나자 왕명으로 경상좌도 병마우후에 임명되어 명나라 장수 양호(楊鎬)와 함께 울산 도산의 일본군과 전투를 벌이던 중 유탄에 맞아 전사하였다. 선무원종공신 1등에 책록되었으며, 1814년(순조 14)에 가선대부 병조참판 겸 동지의금부사 훈련원 도정에 추증되고 1817년(순조 17) 구천서원에 추배되었다.

    저작물 설명
    이 문서는 정유재란이 일어난 해인 1597년에 권응심(權應心)을 진위장군(振威將軍) 수(守) 경상좌도(慶尙左道) 병마우후(兵馬虞候)에 임명하는 고신교지(告身敎旨)이다. 고신교지란 4품 이상 품계 또는 관직을 임명하는 국왕문서를 말한다. 권응심은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종형 권응수(權應銖)와 함께 의병을 일으켜 영천성을 탈환하였다. 그 공로를 인정받아 수문장에 제수되었고, 문경과 안동의 일본군을 격퇴하기도 하였다. 정유재란이 일어나자 왕명으로 경상좌도 병마우후에 임명되어 명나라 장수 양호(楊鎬)와 함께 울산 도산의 일본군과 전투를 벌이던 중 유탄에 맞아 전사하였다. 선무원종공신 1등에 책록되었으며, 1814년(순조 14)에 가선대부 병조참판 겸 동지의금부사 훈련원 도정에 추증되고 1817년(순조 17) 구천서원에 추배되었다.
    다운로드

    ※ 고화질의 대용량(20~30MB/장)사진의 경우 다운로드에 다소 시간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출처표시 예시

    예시
    01
    본 저작물은 OOO(기관명)에서 OO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유형번호]유형으로 개방한 저작물명(작성자:OOO)을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OOO(기관명), OOO(홈페이지 주소)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위 내용은 예시이므로 작성연도 및 해당 기관명과 홈페이지 주소, 작성자명 기입

    예시
    02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유형번호]유형에 따라 [기관명(사이트 URL), 작성자:OOO]의 공공저작물을 이용하였습니다.
    예시
    03
    * 출처 -[기관명], [사이트명(사이트상세 URL)]

    유의사항

    <이용자가 가지는 권리 >

    1. 온·오프라인 상에 공유 및 이용 : 온·오프라인을 통하여 공유 및 이용 가능

    2. 저작물 변경 : 2차적 저작물로 변경하여 이용 가능

    3. 이 저작물은 영리 목적으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물 사용 조건>

    - 출처 표시 : 저작물의 출처를 표시하셔야 합니다.

    공공기관이 후원 한다고 하거나 공공기관과 특수한 관계에 있는 것처럼 제 3자가 오인하게 하는 표시를 해서는 안됩니다.

    < 알아야 할 사항 >

    I. 이용조건의 표시 및 변경

    1. 이용자가 공공누리 저작물 활용 시 출처표시를 꼭 해 주셔야 합니다.

    2. 공공누리 저작물의 이용조건은 변경될 수 있습니다.

    다만 이용자가 이용조건 변경 전 사용하셨다면 해당저작물 한해 용도변경 없이 계속 이용할 수 있습니다.

    II. 이용조건의 위반

    1. 이용자가 공공누리 이용조건을 위반할 경우 그 즉시 이용허락이 종료됩니다.

    2. 이용자가 이용조건 위반 후 지속적으로 공공저작물을 이용할 경우 저작권 침해가 성립되므로 형사상, 민사상 책임을 부담 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