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어
제공기관
    등록년도
    ~
    저작물 유형
    저작물 구분
    설명 보기:각 기관에서 제공해주신 원문DB 공공저작물로 바로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각 기관에서 제공해주신 원문DB 공공저작물로 바로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설명 보기: 각 기관 사이트에서 연계한 저작물로 기관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각 기관 사이트에서 연계한 저작물로 기관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이용조건 이란

    1) 제1유형 : 출처표시
    - 출처표시
    -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

    2) 제2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출처표시
    - 비상업적 이용만 가능
    -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

    3) 제3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출처표시
    -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금지

    4)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 출처표시
    - 비상업적 이용만 가능
    -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금지

    5) 만료공공저작물 : 이용조건(출처표시 포함)이 없이 자유롭게 이용
    - 이용조건(출처표시 포함) 없음

    영덕 괴시리 영은고택_33

    이미지

    영덕 괴시리 영은고택_33_1번 사진
    /
    39 8
    공유하기
    관련태그
    #문화재청 #영덕 괴시리 영은고택 #문화재자료 #목조문화재 #고가 #경상북도 #영덕군괴시리
    제공기관
    • · 촬영연도 : 2022
    • · 촬영기관 : 국가유산청
    • · 소장기관 : 국가유산청
    공공누리 유형

    국가유산청이(가) 보유한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1유형: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저작물 정보
    저작물 설명

    영은고택은 영양남시(英陽南氏) 집성촌 및 고가옥 밀집지역으로 널리 알려진 괴시(槐市, 濠池)마을내에 있으며 1871에 현 소유자의 5대조인 남공수(南公壽, 號.瀛隱, 1793~1875)가 건립하였다 한다. 건물은 정면4칸, 측면4칸반 규모의 口자형 홑처마 팔작지붕으로 정면 대문칸을 중심으로 우측엔 사랑방, 좌측에는 광과 방이 연결되고, 사랑방과 연결된 우익사는 2칸의 방으로 되어 있는데 감실을 두었다. 좌익사는 부엌과 안방으로 이어져 있고, 내부2칸 대청마루를 중심으로 좌측은 도장과 안방을, 우측에는 상방과 상방전면에 통마루를 두었다. 건물은 자연석기단과 자연석 주초위에 각주를 세웠으며, 상부가구는 전체적으로 3량가이다. 현재 기단, 벽체, 굴뚝등은 세멘트로 덧발라져 있고, 안방전면, 우익사 내외부 사랑전면등에 퇴마루를 두었으며 마을내 다른 가옥과 달리 전면 좌우측에 추녀를 달아 팔작지붕으로 만든 것이 특이하다.

    저작물 설명
    영은고택은 영양남시(英陽南氏) 집성촌 및 고가옥 밀집지역으로 널리 알려진 괴시(槐市, 濠池)마을내에 있으며 1871에 현 소유자의 5대조인 남공수(南公壽, 號.瀛隱, 1793~1875)가 건립하였다 한다. 건물은 정면4칸, 측면4칸반 규모의 口자형 홑처마 팔작지붕으로 정면 대문칸을 중심으로 우측엔 사랑방, 좌측에는 광과 방이 연결되고, 사랑방과 연결된 우익사는 2칸의 방으로 되어 있는데 감실을 두었다. 좌익사는 부엌과 안방으로 이어져 있고, 내부2칸 대청마루를 중심으로 좌측은 도장과 안방을, 우측에는 상방과 상방전면에 통마루를 두었다. 건물은 자연석기단과 자연석 주초위에 각주를 세웠으며, 상부가구는 전체적으로 3량가이다. 현재 기단, 벽체, 굴뚝등은 세멘트로 덧발라져 있고, 안방전면, 우익사 내외부 사랑전면등에 퇴마루를 두었으며 마을내 다른 가옥과 달리 전면 좌우측에 추녀를 달아 팔작지붕으로 만든 것이 특이하다.
    다운로드

    ※ 고화질의 대용량(20~30MB/장)사진의 경우 다운로드에 다소 시간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출처표시 예시

    예시
    01
    본 저작물은 OOO(기관명)에서 OO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유형번호]유형으로 개방한 저작물명(작성자:OOO)을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OOO(기관명), OOO(홈페이지 주소)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위 내용은 예시이므로 작성연도 및 해당 기관명과 홈페이지 주소, 작성자명 기입

    예시
    02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유형번호]유형에 따라 [기관명(사이트 URL), 작성자:OOO]의 공공저작물을 이용하였습니다.
    예시
    03
    * 출처 -[기관명], [사이트명(사이트상세 URL)]

    유의사항

    <이용자가 가지는 권리 >

    1. 온·오프라인 상에 공유 및 이용 : 온·오프라인을 통하여 공유 및 이용 가능

    2. 저작물 변경 : 2차적 저작물로 변경하여 이용 가능

    3. 이 저작물은 영리 목적으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물 사용 조건>

    - 출처 표시 : 저작물의 출처를 표시하셔야 합니다.

    공공기관이 후원 한다고 하거나 공공기관과 특수한 관계에 있는 것처럼 제 3자가 오인하게 하는 표시를 해서는 안됩니다.

    < 알아야 할 사항 >

    I. 이용조건의 표시 및 변경

    1. 이용자가 공공누리 저작물 활용 시 출처표시를 꼭 해 주셔야 합니다.

    2. 공공누리 저작물의 이용조건은 변경될 수 있습니다.

    다만 이용자가 이용조건 변경 전 사용하셨다면 해당저작물 한해 용도변경 없이 계속 이용할 수 있습니다.

    II. 이용조건의 위반

    1. 이용자가 공공누리 이용조건을 위반할 경우 그 즉시 이용허락이 종료됩니다.

    2. 이용자가 이용조건 위반 후 지속적으로 공공저작물을 이용할 경우 저작권 침해가 성립되므로 형사상, 민사상 책임을 부담 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