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어
제공기관
    등록년도
    ~
    저작물 유형
    저작물 구분
    설명 보기:각 기관에서 제공해주신 원문DB 공공저작물로 바로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각 기관에서 제공해주신 원문DB 공공저작물로 바로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설명 보기: 각 기관 사이트에서 연계한 저작물로 기관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각 기관 사이트에서 연계한 저작물로 기관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이용조건 이란

    1) 제1유형 : 출처표시
    - 출처표시
    -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

    2) 제2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출처표시
    - 비상업적 이용만 가능
    -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

    3) 제3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출처표시
    -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금지

    4)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 출처표시
    - 비상업적 이용만 가능
    -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금지

    5) 만료공공저작물 : 이용조건(출처표시 포함)이 없이 자유롭게 이용
    - 이용조건(출처표시 포함) 없음

    제주_복원 전의 한림읍 명월교와 명월대

    이미지

    제주_복원 전의 한림읍 명월교와 명월대_1번 사진
    /
    234 11
    공유하기
    관련태그
    #제주특별자치도 #기록사진 #제주시 #한림읍 #조선시대 #유림 #풍류 #제주특별자치도 기념물 제7호
    제공기관
    • · 촬영연도 : 2021
    • · 촬영기관 : 제주특별자치도
    • · 소장기관 : 제주특별자치도 바로가기
    공공누리 유형

    제주특별자치도이(가) 보유한 본 저작물은 국민 누구나 이용조건(출처표시 포함)이 없이 자유롭게 이용 할 수 있습니다.

    저작물 정보
    저작물 설명

    한림읍 명월리 하천변에 위치한 명월대(明月臺)는 옛 선비들이 보여 사회(詩會)를 열며 풍류를 즐기던 곳이다. 그 주변으로는 명월천이 흐르고, 수백 년 묵은 팽나무 60여 그루가 군락을 이루고 있다. 팽나무 군락에 뒤덮여 있는 명월교(明月橋)는 복원전의 모습이다. 지금의 명월대는 1931년 명월청년회가 정비 사업을 추진, 축대와 비석을 건립해 놓은 것이다. 축대는 3단 높이로 쌓았는데 제일 아래는 사각형, 다음은 육각형, 맨 위는 원형이다. 이때 함께 세운 명월대비(明月臺碑)는 당시 호남명필로 알려진 홍종시의 글씨다. 인접한 홍예교가 명월교로, 제주향교 도훈장을 지낸 뒤 이 마을 향교훈장을 지낸 오인호와 그의 아들 오진규의 학덕을 기리기 위해 제자들이 세웠다고 한다. 팽나무 군락의 지형을 고려해 명월교를 일부러 낮게 만들었다고 전해지는데, 제주도 기념물 제7호(1971. 8. 26. )로 지정, 보호하고 있다.

    저작물 설명

    한림읍 명월리 하천변에 위치한 명월대(明月臺)는 옛 선비들이 보여 사회(詩會)를 열며 풍류를 즐기던 곳이다.

    그 주변으로는 명월천이 흐르고, 수백 년 묵은 팽나무 60여 그루가 군락을 이루고 있다.

    팽나무 군락에 뒤덮여 있는 명월교(明月橋)는 복원전의 모습이다.

    지금의 명월대는 1931년 명월청년회가 정비 사업을 추진, 축대와 비석을 건립해 놓은 것이다.

    축대는 3단 높이로 쌓았는데 제일 아래는 사각형, 다음은 육각형, 맨 위는 원형이다.

    이때 함께 세운 명월대비(明月臺碑)는 당시 호남명필로 알려진 홍종시의 글씨다.

    인접한 홍예교가 명월교로, 제주향교 도훈장을 지낸 뒤 이 마을 향교훈장을 지낸 오인호와

    그의 아들 오진규의 학덕을 기리기 위해 제자들이 세웠다고 한다.

    팽나무 군락의 지형을 고려해 명월교를 일부러 낮게 만들었다고 전해지는데,

    제주도 기념물 제7호(1971. 8. 26. )로 지정, 보호하고 있다.

    다운로드

    ※ 고화질의 대용량(20~30MB/장)사진의 경우 다운로드에 다소 시간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출처표시 예시

    예시
    01
    본 저작물은 OOO(기관명)에서 OO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유형번호]유형으로 개방한 저작물명(작성자:OOO)을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OOO(기관명), OOO(홈페이지 주소)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위 내용은 예시이므로 작성연도 및 해당 기관명과 홈페이지 주소, 작성자명 기입

    예시
    02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유형번호]유형에 따라 [기관명(사이트 URL), 작성자:OOO]의 공공저작물을 이용하였습니다.
    예시
    03
    * 출처 -[기관명], [사이트명(사이트상세 URL)]

    유의사항

    < 알아야 할 사항 >

    I. 이용조건의 표시 및 변경

    1. 이용자가 공공누리 저작물 활용 시 출처표시를 꼭 해 주셔야 합니다.

    2. 공공누리 저작물의 이용조건은 변경될 수 있습니다.

    다만 이용자가 이용조건 변경 전 사용하셨다면 해당저작물 한해 용도변경 없이 계속 이용할 수 있습니다.

    II. 이용조건의 위반

    1. 이용자가 공공누리 이용조건을 위반할 경우 그 즉시 이용허락이 종료됩니다.

    2. 이용자가 이용조건 위반 후 지속적으로 공공저작물을 이용할 경우 저작권 침해가 성립되므로 형사상, 민사상 책임을 부담 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