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어
제공기관
    등록년도
    ~
    저작물 유형
    저작물 구분
    설명 보기:각 기관에서 제공해주신 원문DB 공공저작물로 바로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각 기관에서 제공해주신 원문DB 공공저작물로 바로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설명 보기: 각 기관 사이트에서 연계한 저작물로 기관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각 기관 사이트에서 연계한 저작물로 기관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이용조건 이란

    1) 제1유형 : 출처표시
    - 출처표시
    -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

    2) 제2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출처표시
    - 비상업적 이용만 가능
    -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

    3) 제3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출처표시
    -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금지

    4)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 출처표시
    - 비상업적 이용만 가능
    -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금지

    5) 만료공공저작물 : 이용조건(출처표시 포함)이 없이 자유롭게 이용
    - 이용조건(출처표시 포함) 없음

    제주_해방 직후의 관덕정

    이미지

    제주_해방 직후의 관덕정_1번 사진
    /
    302 25
    공유하기
    관련태그
    #제주특별자치도 #기록사진 #제주시 #조선시대 누정 #제주목 관아 #광장 #보물 제322호
    제공기관
    • · 촬영연도 : 2021
    • · 촬영기관 : 제주특별자치도
    • · 소장기관 : 제주특별자치도 바로가기
    공공누리 유형

    제주특별자치도이(가) 보유한 본 저작물은 국민 누구나 이용조건(출처표시 포함)이 없이 자유롭게 이용 할 수 있습니다.

    저작물 정보
    저작물 설명

    제주시 삼도2동에 위치한 관덕정 모습으로 해방 직후 촬영된 것이다. 제주시 보물 제322호로 지정된 관덕정은 세종 30년(1448)제주목사 신숙청이 군사훈련청으로 창건한 것으로 제주도에 있는 전통적인 건물 중 가장 크다. 앞면 5칸, 옆면 4칸의 단층 팔작 지붕으로 사방이 뚫려 있다. 성종 11년(1480) 목사 양찬이 중수했고, 숙종 16년(1690) 이우항이 개축하고, 영조 29년(1753) 김몽규가 중창했다. 이후 철종 1년(1850)에 재건한 것을 1969년에 다시 보수했다. 1924년 관덕정 옆으로 도로를 낼 때 깊은 처마가 걸린다고 해서 일본인들에 의해 처마가 45cm 가량 절단되어 기둥간살이의 담벼락이 제 모습을 잃게 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지금의 건물은 문화재청이 2003년 12월에 27억 원의 예산을 들여 보수공사에 착수, 2006년 8월 18일에 준공한 것이다.

    저작물 설명

    제주시 삼도2동에 위치한 관덕정 모습으로 해방 직후 촬영된 것이다.

    제주시 보물 제322호로 지정된 관덕정은 세종 30년(1448)제주목사 신숙청이 군사훈련청으로 창건한 것으로

    제주도에 있는 전통적인 건물 중 가장 크다. 앞면 5칸, 옆면 4칸의 단층 팔작 지붕으로 사방이 뚫려 있다.

    성종 11년(1480) 목사 양찬이 중수했고, 숙종 16년(1690) 이우항이 개축하고, 영조 29년(1753) 김몽규가 중창했다.

    이후 철종 1년(1850)에 재건한 것을 1969년에 다시 보수했다. 1924년 관덕정 옆으로 도로를 낼 때

    깊은 처마가 걸린다고 해서 일본인들에 의해 처마가 45cm 가량 절단되어 기둥간살이의 담벼락이

    제 모습을 잃게 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지금의 건물은 문화재청이 2003년 12월에 27억 원의 예산을 들여 보수공사에 착수,

    2006년 8월 18일에 준공한 것이다.

    다운로드

    ※ 고화질의 대용량(20~30MB/장)사진의 경우 다운로드에 다소 시간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출처표시 예시

    예시
    01
    본 저작물은 OOO(기관명)에서 OO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유형번호]유형으로 개방한 저작물명(작성자:OOO)을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OOO(기관명), OOO(홈페이지 주소)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위 내용은 예시이므로 작성연도 및 해당 기관명과 홈페이지 주소, 작성자명 기입

    예시
    02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유형번호]유형에 따라 [기관명(사이트 URL), 작성자:OOO]의 공공저작물을 이용하였습니다.
    예시
    03
    * 출처 -[기관명], [사이트명(사이트상세 URL)]

    유의사항

    < 알아야 할 사항 >

    I. 이용조건의 표시 및 변경

    1. 이용자가 공공누리 저작물 활용 시 출처표시를 꼭 해 주셔야 합니다.

    2. 공공누리 저작물의 이용조건은 변경될 수 있습니다.

    다만 이용자가 이용조건 변경 전 사용하셨다면 해당저작물 한해 용도변경 없이 계속 이용할 수 있습니다.

    II. 이용조건의 위반

    1. 이용자가 공공누리 이용조건을 위반할 경우 그 즉시 이용허락이 종료됩니다.

    2. 이용자가 이용조건 위반 후 지속적으로 공공저작물을 이용할 경우 저작권 침해가 성립되므로 형사상, 민사상 책임을 부담 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