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어
제공기관
    등록년도
    ~
    저작물 유형
    저작물 구분
    설명 보기:각 기관에서 제공해주신 원문DB 공공저작물로 바로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각 기관에서 제공해주신 원문DB 공공저작물로 바로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설명 보기: 각 기관 사이트에서 연계한 저작물로 기관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각 기관 사이트에서 연계한 저작물로 기관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이용조건 이란

    1) 제1유형 : 출처표시
    - 출처표시
    -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

    2) 제2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출처표시
    - 비상업적 이용만 가능
    -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

    3) 제3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출처표시
    -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금지

    4)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 출처표시
    - 비상업적 이용만 가능
    -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금지

    5) 만료공공저작물 : 이용조건(출처표시 포함)이 없이 자유롭게 이용
    - 이용조건(출처표시 포함) 없음

    제주_제주도 시조 고량부 삼성사

    이미지

    제주_제주도 시조 고량부 삼성사_1번 사진
    /
    289 13
    공유하기
    관련태그
    #제주특별자치도 #기록사진 #제주시 #사당 #삼성신인
    제공기관
    • · 촬영연도 : 2021
    • · 촬영기관 : 제주특별자치도
    • · 소장기관 : 제주특별자치도 바로가기
    공공누리 유형

    제주특별자치도이(가) 보유한 본 저작물은 국민 누구나 이용조건(출처표시 포함)이 없이 자유롭게 이용 할 수 있습니다.

    저작물 정보
    저작물 설명

    탐라 발상지인 삼성혈의 삼성사(三姓祠)를 배경으로 사람들이 한 줄로 늘어서 있다. 삼성혈에 처음 제단과 담장을 두르고 나무를 심어 제사를 지내기 시작한 것은 중종21년(1526) 이수동 목사이다. 숙종 24년(1698) 유한명 목사 때는 삼을라묘가 세워졌고, 숙종 28년(1702년)에 삼성묘를 가락천 동쪽으로 이전했으나 훙수로 원래의 자리로 옮겼다. 영조 48년(1772) 양세현 목사 때는 외장(外塙)을 두르고 소나무를 증식하고 제전을 마련하여 건시대제를 봉행했다. 정조 9년(1785)에 양경천의 상소로 삼성사 사액이 내려졌으며 교리 고택겸이 어제제문을 받들고 와서 봉제하였다. 이후 전사청과 숭보당이 건립되어 재생교육을 실시하였으나 고종 8년(1881)사우철폐령으로 한때 철회되는 비운을 맞았으나 고종 26년부터 전사청과 삼성전 등이 다시 중건되어 해마다 봄, 가을에 제사를 지낸다. 1929년 조선총독부에서 발간한 <<생활상태조사>>(2, 제주도)에 실려 있는 사진이다.

    저작물 설명

    탐라 발상지인 삼성혈의 삼성사(三姓祠)를 배경으로 사람들이 한 줄로 늘어서 있다.

    삼성혈에 처음 제단과 담장을 두르고 나무를 심어 제사를 지내기 시작한 것은 중종21년(1526) 이수동 목사이다.

    숙종 24년(1698) 유한명 목사 때는 삼을라묘가 세워졌고, 숙종 28년(1702년)에 삼성묘를 가락천 동쪽으로 이전했으나

    훙수로 원래의 자리로 옮겼다. 영조 48년(1772) 양세현 목사 때는 외장(外塙)을 두르고 소나무를 증식하고

    제전을 마련하여 건시대제를 봉행했다. 정조 9년(1785)에 양경천의 상소로 삼성사 사액이 내려졌으며

    교리 고택겸이 어제제문을 받들고 와서 봉제하였다. 이후 전사청과 숭보당이 건립되어 재생교육을 실시하였으나

    고종 8년(1881)사우철폐령으로 한때 철회되는 비운을 맞았으나 고종 26년부터 전사청과 삼성전 등이 다시 중건되어

    해마다 봄, 가을에 제사를 지낸다. 1929년 조선총독부에서 발간한 <<생활상태조사>>(2, 제주도)에 실려 있는 사진이다.

    다운로드

    ※ 고화질의 대용량(20~30MB/장)사진의 경우 다운로드에 다소 시간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출처표시 예시

    예시
    01
    본 저작물은 OOO(기관명)에서 OO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유형번호]유형으로 개방한 저작물명(작성자:OOO)을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OOO(기관명), OOO(홈페이지 주소)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위 내용은 예시이므로 작성연도 및 해당 기관명과 홈페이지 주소, 작성자명 기입

    예시
    02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유형번호]유형에 따라 [기관명(사이트 URL), 작성자:OOO]의 공공저작물을 이용하였습니다.
    예시
    03
    * 출처 -[기관명], [사이트명(사이트상세 URL)]

    유의사항

    < 알아야 할 사항 >

    I. 이용조건의 표시 및 변경

    1. 이용자가 공공누리 저작물 활용 시 출처표시를 꼭 해 주셔야 합니다.

    2. 공공누리 저작물의 이용조건은 변경될 수 있습니다.

    다만 이용자가 이용조건 변경 전 사용하셨다면 해당저작물 한해 용도변경 없이 계속 이용할 수 있습니다.

    II. 이용조건의 위반

    1. 이용자가 공공누리 이용조건을 위반할 경우 그 즉시 이용허락이 종료됩니다.

    2. 이용자가 이용조건 위반 후 지속적으로 공공저작물을 이용할 경우 저작권 침해가 성립되므로 형사상, 민사상 책임을 부담 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