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어
제공기관
    등록년도
    ~
    저작물 유형
    저작물 구분
    설명 보기:각 기관에서 제공해주신 원문DB 공공저작물로 바로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각 기관에서 제공해주신 원문DB 공공저작물로 바로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설명 보기: 각 기관 사이트에서 연계한 저작물로 기관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각 기관 사이트에서 연계한 저작물로 기관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이용조건 이란

    1) 제1유형 : 출처표시
    - 출처표시
    -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

    2) 제2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출처표시
    - 비상업적 이용만 가능
    -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

    3) 제3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출처표시
    -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금지

    4)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 출처표시
    - 비상업적 이용만 가능
    -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금지

    5) 만료공공저작물 : 이용조건(출처표시 포함)이 없이 자유롭게 이용
    - 이용조건(출처표시 포함) 없음

    제주_솔잎 긁어 등짐 져 오던 날

    이미지

    제주_솔잎 긁어 등짐 져 오던 날_1번 사진
    /
    345 7
    공유하기
    관련태그
    #제주특별자치도 #기록사진 #1960년대 #땔감
    제공기관
    • · 촬영연도 : 2021
    • · 촬영기관 : 제주특별자치도
    • · 소장기관 : 제주특별자치도 바로가기
    공공누리 유형

    제주특별자치도이(가) 보유한 본 저작물은 국민 누구나 이용조건(출처표시 포함)이 없이 자유롭게 이용 할 수 있습니다.

    저작물 정보
    저작물 설명

    땔감으로 쓸 솔잎을 긁으러 가야했던 가난의 기억을 떠올리게 한다. 초겨울, 아이들은 갈쿠리 하나로 언 손을 불며 떨어진 솔잎을 긁어야 했다. 가는 나뭇가지를 밑바닥에 깔고 갈쿠리로 솔잎을 긁어모은 다음 발로 다져주며 솔잎을 모아 묶는다. 솔잎을 등에 질만큼 묶는 것을 제주말로는 ‘보달 친다’ 고 한다. 체크무늬 점퍼, 흰 고무신을 신고 솔잎을 등에 진 소녀의 얼굴이 상기돼 있다. 능숙하게 손을 호주머니에 넣고 내를 건너고 있는 모습으로 보아 집안에서 거뜬하게 농삿일에 한 몫을 담당하고 있는 소녀다. 육지부와 달리 제주에서는 머리에 이거나 안고 오는 경우가 없이 등에 져 날랐다. 내에서 수건을 빨던 아이가 사진 찍는 이를 의식한 듯 힐끗 돌아본다. 물에 자칫 빠질까 두려운 아이가 자기보다 어린 아기를 업고 징검다리를 건너고 있다. 구덕에 새참을 넣고 갔던 여인들이 이제 집으로 가는 시간이다. 1960년대 말, 분주한 어느 농촌의 일상을 엿보게 한다.

    저작물 설명

    땔감으로 쓸 솔잎을 긁으러 가야했던 가난의 기억을 떠올리게 한다.

    초겨울, 아이들은 갈쿠리 하나로 언 손을 불며 떨어진 솔잎을 긁어야 했다.

    가는 나뭇가지를 밑바닥에 깔고 갈쿠리로 솔잎을 긁어모은 다음 발로 다져주며 솔잎을 모아 묶는다.

    솔잎을 등에 질만큼 묶는 것을 제주말로는 ‘보달 친다’ 고 한다. 체크무늬 점퍼,

    흰 고무신을 신고 솔잎을 등에 진 소녀의 얼굴이 상기돼 있다.

    능숙하게 손을 호주머니에 넣고 내를 건너고 있는 모습으로 보아 집안에서 거뜬하게

    농삿일에 한 몫을 담당하고 있는 소녀다. 육지부와 달리 제주에서는 머리에 이거나 안고 오는 경우가 없이 등에 져

    날랐다. 내에서 수건을 빨던 아이가 사진 찍는 이를 의식한 듯 힐끗 돌아본다.

    물에 자칫 빠질까 두려운 아이가 자기보다 어린 아기를 업고 징검다리를 건너고 있다.

    구덕에 새참을 넣고 갔던 여인들이 이제 집으로 가는 시간이다.

    1960년대 말, 분주한 어느 농촌의 일상을 엿보게 한다.

    다운로드

    ※ 고화질의 대용량(20~30MB/장)사진의 경우 다운로드에 다소 시간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출처표시 예시

    예시
    01
    본 저작물은 OOO(기관명)에서 OO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유형번호]유형으로 개방한 저작물명(작성자:OOO)을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OOO(기관명), OOO(홈페이지 주소)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위 내용은 예시이므로 작성연도 및 해당 기관명과 홈페이지 주소, 작성자명 기입

    예시
    02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유형번호]유형에 따라 [기관명(사이트 URL), 작성자:OOO]의 공공저작물을 이용하였습니다.
    예시
    03
    * 출처 -[기관명], [사이트명(사이트상세 URL)]

    유의사항

    < 알아야 할 사항 >

    I. 이용조건의 표시 및 변경

    1. 이용자가 공공누리 저작물 활용 시 출처표시를 꼭 해 주셔야 합니다.

    2. 공공누리 저작물의 이용조건은 변경될 수 있습니다.

    다만 이용자가 이용조건 변경 전 사용하셨다면 해당저작물 한해 용도변경 없이 계속 이용할 수 있습니다.

    II. 이용조건의 위반

    1. 이용자가 공공누리 이용조건을 위반할 경우 그 즉시 이용허락이 종료됩니다.

    2. 이용자가 이용조건 위반 후 지속적으로 공공저작물을 이용할 경우 저작권 침해가 성립되므로 형사상, 민사상 책임을 부담 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