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어
제공기관
    등록년도
    ~
    저작물 유형
    저작물 구분
    설명 보기:각 기관에서 제공해주신 원문DB 공공저작물로 바로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각 기관에서 제공해주신 원문DB 공공저작물로 바로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설명 보기: 각 기관 사이트에서 연계한 저작물로 기관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각 기관 사이트에서 연계한 저작물로 기관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이용조건 이란

    1) 제1유형 : 출처표시
    - 출처표시
    -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

    2) 제2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출처표시
    - 비상업적 이용만 가능
    -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

    3) 제3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출처표시
    -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금지

    4)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 출처표시
    - 비상업적 이용만 가능
    -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금지

    5) 만료공공저작물 : 이용조건(출처표시 포함)이 없이 자유롭게 이용
    - 이용조건(출처표시 포함) 없음

    제주_추자교 준공식

    이미지

    제주_추자교 준공식_1번 사진
    /
    347 11
    공유하기
    관련태그
    #제주특별자치도 #기록사진 #제주시 #추자도 #제주도부속섬 #추자대교
    제공기관
    • · 촬영연도 : 2021
    • · 촬영기관 : 제주특별자치도
    • · 소장기관 : 제주특별자치도 바로가기
    공공누리 유형

    제주특별자치도이(가) 보유한 본 저작물은 국민 누구나 이용조건(출처표시 포함)이 없이 자유롭게 이용 할 수 있습니다.

    저작물 정보
    저작물 설명

    1972년 11월 13일 섬 속의 섬 추자도에 최대의 경사가 벌어졌다. 같은 섬이면서도 상 . 하 추자도를 오가기 위해선 배를 이용해야 하는 불편을 겪어야 했는데, 드디어 두 섬을 연결하는 추자교가 1년여의 공사 끝에 준공식을 가진 것이다. 이날 준공식에는 당시 이승택 도지사가 참석하여 준공테이프를 끊었고, 많은 상 . 하 추자 주민들이 모여 추자교 준공 을 축하했다. 당시 제주도에서 섬과 섬을 잇는 교량은 추자교가 처음이어서 더욱 관심을 끌기도 했다. 추자교는 이후 1993년 4월 11일 붕괴되고 말았다. 이날 오후 1시 25분께 다리보수 공사에 나섰던 트럭이 자재를 싣고 다리를 건너는 순간 하중을 견디지 못해 무너진 것이다. 이 사고로 트럭이 10여m 아래의 바다로 추락하여 트럭에 타고 있던 현장 공 사 직원 2명이 목숨을 잃었다. 한편 사고 발생 2년 후인 1995년 4월 27일에는 총 연장 212m, 폭 8m의 새 추자교가 개 통되었다.

    저작물 설명

    1972년 11월 13일 섬 속의 섬 추자도에 최대의 경사가 벌어졌다. 같은 섬이면서도 상 . 하 추자도를 오가기 위해선 배를

    이용해야 하는 불편을 겪어야 했는데, 드디어 두 섬을 연결하는 추자교가 1년여의 공사 끝에 준공식을 가진 것이다.

    이날 준공식에는 당시 이승택 도지사가 참석하여 준공테이프를 끊었고, 많은 상 . 하 추자 주민들이 모여 추자교 준공

    을 축하했다. 당시 제주도에서 섬과 섬을 잇는 교량은 추자교가 처음이어서 더욱 관심을 끌기도 했다. 추자교는 이후

    1993년 4월 11일 붕괴되고 말았다. 이날 오후 1시 25분께 다리보수 공사에 나섰던 트럭이 자재를 싣고 다리를 건너는

    순간 하중을 견디지 못해 무너진 것이다. 이 사고로 트럭이 10여m 아래의 바다로 추락하여 트럭에 타고 있던 현장 공

    사 직원 2명이 목숨을 잃었다. 한편 사고 발생 2년 후인 1995년 4월 27일에는 총 연장 212m, 폭 8m의 새 추자교가 개

    통되었다.

    다운로드

    ※ 고화질의 대용량(20~30MB/장)사진의 경우 다운로드에 다소 시간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출처표시 예시

    예시
    01
    본 저작물은 OOO(기관명)에서 OO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유형번호]유형으로 개방한 저작물명(작성자:OOO)을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OOO(기관명), OOO(홈페이지 주소)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위 내용은 예시이므로 작성연도 및 해당 기관명과 홈페이지 주소, 작성자명 기입

    예시
    02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유형번호]유형에 따라 [기관명(사이트 URL), 작성자:OOO]의 공공저작물을 이용하였습니다.
    예시
    03
    * 출처 -[기관명], [사이트명(사이트상세 URL)]

    유의사항

    < 알아야 할 사항 >

    I. 이용조건의 표시 및 변경

    1. 이용자가 공공누리 저작물 활용 시 출처표시를 꼭 해 주셔야 합니다.

    2. 공공누리 저작물의 이용조건은 변경될 수 있습니다.

    다만 이용자가 이용조건 변경 전 사용하셨다면 해당저작물 한해 용도변경 없이 계속 이용할 수 있습니다.

    II. 이용조건의 위반

    1. 이용자가 공공누리 이용조건을 위반할 경우 그 즉시 이용허락이 종료됩니다.

    2. 이용자가 이용조건 위반 후 지속적으로 공공저작물을 이용할 경우 저작권 침해가 성립되므로 형사상, 민사상 책임을 부담 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