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어
제공기관
    등록년도
    ~
    저작물 유형
    저작물 구분
    설명 보기:각 기관에서 제공해주신 원문DB 공공저작물로 바로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각 기관에서 제공해주신 원문DB 공공저작물로 바로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설명 보기: 각 기관 사이트에서 연계한 저작물로 기관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각 기관 사이트에서 연계한 저작물로 기관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이용조건 이란

    1) 제1유형 : 출처표시
    - 출처표시
    -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

    2) 제2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출처표시
    - 비상업적 이용만 가능
    -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

    3) 제3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출처표시
    -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금지

    4)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 출처표시
    - 비상업적 이용만 가능
    -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금지

    5) 만료공공저작물 : 이용조건(출처표시 포함)이 없이 자유롭게 이용
    - 이용조건(출처표시 포함) 없음

    재주_수눌음 고구마 심기

    이미지

    재주_수눌음 고구마 심기_1번 사진
    /
    244 9
    공유하기
    관련태그
    #제주특별자치도 #기록사진 #제주도고구마 #수눌음
    제공기관
    • · 촬영연도 : 2021
    • · 촬영기관 : 제주특별자치도
    • · 소장기관 : 제주특별자치도 바로가기
    공공누리 유형

    제주특별자치도이(가) 보유한 본 저작물은 국민 누구나 이용조건(출처표시 포함)이 없이 자유롭게 이용 할 수 있습니다.

    저작물 정보
    저작물 설명

    중산간 지역 드넓은 농경지에서 많은 사람들이 ‘수눌음’ 으로 고구마 심기가 한창이다. 제주지역에서 고구마는 장마가 오기 전인 6월에 심는다. 고구마 모종에서 줄기만을 잘라서 밭 군데군데 흩뿌려 놓으면 일하는 사람들이 줄을 맞춰 고구마를 이랑에 묻는다. 이렇게 심은 고구마는 10월 말에서 11월 초 사이에 서리가 내리기 전에 수확을 한다. 고구마는 1960년대 들면서 적극적인 증산정책으로 제주도 농가의 주 작물로 등장했다. 또 1960년대 중반 이후 도내 농업분야 연구기관들이 들어서면서 고구마와 유채재배를 적극 장려했다. 고구마 생산은 1975년에서 1979년 사이에 최대 호황을 누렸다. 1978년에는 33만6687t으로 사상 최대의 생산량을 기록했다. 그러나 1980년대 들면서 감귤농업에 밀려 급격히 쇠퇴하기 시작하더니, 1990년대 들어서는 감자와 마늘에 밀리면서 명맥만 유지하고 있다.

    저작물 설명

    중산간 지역 드넓은 농경지에서 많은 사람들이 ‘수눌음’ 으로 고구마 심기가 한창이다.

    제주지역에서 고구마는 장마가 오기 전인 6월에 심는다.

    고구마 모종에서 줄기만을 잘라서 밭 군데군데 흩뿌려 놓으면 일하는 사람들이 줄을 맞춰 고구마를 이랑에 묻는다.

    이렇게 심은 고구마는 10월 말에서 11월 초 사이에 서리가 내리기 전에 수확을 한다.

    고구마는 1960년대 들면서 적극적인 증산정책으로 제주도 농가의 주 작물로 등장했다.

    또 1960년대 중반 이후 도내 농업분야 연구기관들이 들어서면서 고구마와 유채재배를 적극 장려했다.

    고구마 생산은 1975년에서 1979년 사이에 최대 호황을 누렸다.

    1978년에는 33만6687t으로 사상 최대의 생산량을 기록했다.

    그러나 1980년대 들면서 감귤농업에 밀려 급격히 쇠퇴하기 시작하더니,

    1990년대 들어서는 감자와 마늘에 밀리면서 명맥만 유지하고 있다.

    다운로드

    ※ 고화질의 대용량(20~30MB/장)사진의 경우 다운로드에 다소 시간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출처표시 예시

    예시
    01
    본 저작물은 OOO(기관명)에서 OO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유형번호]유형으로 개방한 저작물명(작성자:OOO)을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OOO(기관명), OOO(홈페이지 주소)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위 내용은 예시이므로 작성연도 및 해당 기관명과 홈페이지 주소, 작성자명 기입

    예시
    02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유형번호]유형에 따라 [기관명(사이트 URL), 작성자:OOO]의 공공저작물을 이용하였습니다.
    예시
    03
    * 출처 -[기관명], [사이트명(사이트상세 URL)]

    유의사항

    < 알아야 할 사항 >

    I. 이용조건의 표시 및 변경

    1. 이용자가 공공누리 저작물 활용 시 출처표시를 꼭 해 주셔야 합니다.

    2. 공공누리 저작물의 이용조건은 변경될 수 있습니다.

    다만 이용자가 이용조건 변경 전 사용하셨다면 해당저작물 한해 용도변경 없이 계속 이용할 수 있습니다.

    II. 이용조건의 위반

    1. 이용자가 공공누리 이용조건을 위반할 경우 그 즉시 이용허락이 종료됩니다.

    2. 이용자가 이용조건 위반 후 지속적으로 공공저작물을 이용할 경우 저작권 침해가 성립되므로 형사상, 민사상 책임을 부담 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