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어
제공기관
    등록년도
    ~
    저작물 유형
    저작물 구분
    설명 보기:각 기관에서 제공해주신 원문DB 공공저작물로 바로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각 기관에서 제공해주신 원문DB 공공저작물로 바로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설명 보기: 각 기관 사이트에서 연계한 저작물로 기관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각 기관 사이트에서 연계한 저작물로 기관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이용조건 이란

    1) 제1유형 : 출처표시
    - 출처표시
    -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

    2) 제2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출처표시
    - 비상업적 이용만 가능
    -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

    3) 제3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출처표시
    -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금지

    4)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 출처표시
    - 비상업적 이용만 가능
    -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금지

    5) 만료공공저작물 : 이용조건(출처표시 포함)이 없이 자유롭게 이용
    - 이용조건(출처표시 포함) 없음

    [생태달력] 국립생태원 봄 소식 - 새끼노루귀

    이미지

    [생태달력] 국립생태원 봄 소식 - 새끼노루귀_1번 사진
    /
    387 12
    공유하기
    관련태그
    #국립생태원 #식물 #봄
    제공기관
    • · 촬영연도 : 2021
    • · 촬영기관 : 국립생태원
    • · 소장기관 : 국립생태원 바로가기
    공공누리 유형

    국립생태원이(가) 보유한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1유형: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저작물 정보
    저작물 설명

    새끼노루귀 - 학명 : Hepatica insularis Nakai - 과명 : 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 - 분포지 : 남부 특징 한국고유생물자원으로 제주도, 거제도, 진도, 보길도 등 주로 남부지방 섬에 분포하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잎은 심장 모양으로 3갈래로 갈라지며 뿌리에서 뭉쳐나고 양면에 털이 있다. 겉면은 짙은 녹색 바탕에 흰색 무늬가 있는 것이 특징이다. 갈라진 잎은 끝이 둥글거나 둔하다. 꽃은 4월 무렵에 잎과 같이 흰색 또는 분홍색으로 피는데 길이 약 7cm의 꽃대 끝에 1송이씩 달린다. 열매는 수과로 긴 달걀형 또는 양 끝이 뾰족한 원기둥 모양으로 털이 난다. 뿌리가 달린 식물 전체를 진통제 등 약용으로 쓴다.봄철 새잎이 약간 말려서 나오는 모양이 노루의 귀처럼 생겼다고 하여 ‘노루귀’라고 불린다. 학명인 ‘Hepatica’는 간장(肝腸)이란 뜻의 라틴어로 잎 모양이 간을 닮았다고 하여 유래되었다. 국립생태원 관람 포인트 : 한반도숲(동백나무군락지) 가장자리

    저작물 설명
    새끼노루귀 - 학명 : Hepatica insularis Nakai - 과명 : 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 - 분포지 : 남부 특징 한국고유생물자원으로 제주도, 거제도, 진도, 보길도 등 주로 남부지방 섬에 분포하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잎은 심장 모양으로 3갈래로 갈라지며 뿌리에서 뭉쳐나고 양면에 털이 있다. 겉면은 짙은 녹색 바탕에 흰색 무늬가 있는 것이 특징이다. 갈라진 잎은 끝이 둥글거나 둔하다. 꽃은 4월 무렵에 잎과 같이 흰색 또는 분홍색으로 피는데 길이 약 7cm의 꽃대 끝에 1송이씩 달린다. 열매는 수과로 긴 달걀형 또는 양 끝이 뾰족한 원기둥 모양으로 털이 난다. 뿌리가 달린 식물 전체를 진통제 등 약용으로 쓴다.봄철 새잎이 약간 말려서 나오는 모양이 노루의 귀처럼 생겼다고 하여 ‘노루귀’라고 불린다. 학명인 ‘Hepatica’는 간장(肝腸)이란 뜻의 라틴어로 잎 모양이 간을 닮았다고 하여 유래되었다. 국립생태원 관람 포인트 : 한반도숲(동백나무군락지) 가장자리
    다운로드

    ※ 고화질의 대용량(20~30MB/장)사진의 경우 다운로드에 다소 시간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출처표시 예시

    예시
    01
    본 저작물은 OOO(기관명)에서 OO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유형번호]유형으로 개방한 저작물명(작성자:OOO)을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OOO(기관명), OOO(홈페이지 주소)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위 내용은 예시이므로 작성연도 및 해당 기관명과 홈페이지 주소, 작성자명 기입

    예시
    02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유형번호]유형에 따라 [기관명(사이트 URL), 작성자:OOO]의 공공저작물을 이용하였습니다.
    예시
    03
    * 출처 -[기관명], [사이트명(사이트상세 URL)]

    유의사항

    <이용자가 가지는 권리 >

    1. 온·오프라인 상에 공유 및 이용 : 온·오프라인을 통하여 공유 및 이용 가능

    2. 저작물 변경 : 2차적 저작물로 변경하여 이용 가능

    3. 이 저작물은 영리 목적으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물 사용 조건>

    - 출처 표시 : 저작물의 출처를 표시하셔야 합니다.

    공공기관이 후원 한다고 하거나 공공기관과 특수한 관계에 있는 것처럼 제 3자가 오인하게 하는 표시를 해서는 안됩니다.

    < 알아야 할 사항 >

    I. 이용조건의 표시 및 변경

    1. 이용자가 공공누리 저작물 활용 시 출처표시를 꼭 해 주셔야 합니다.

    2. 공공누리 저작물의 이용조건은 변경될 수 있습니다.

    다만 이용자가 이용조건 변경 전 사용하셨다면 해당저작물 한해 용도변경 없이 계속 이용할 수 있습니다.

    II. 이용조건의 위반

    1. 이용자가 공공누리 이용조건을 위반할 경우 그 즉시 이용허락이 종료됩니다.

    2. 이용자가 이용조건 위반 후 지속적으로 공공저작물을 이용할 경우 저작권 침해가 성립되므로 형사상, 민사상 책임을 부담 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