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어
제공기관
    등록년도
    ~
    저작물 유형
    저작물 구분
    설명 보기:각 기관에서 제공해주신 원문DB 공공저작물로 바로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각 기관에서 제공해주신 원문DB 공공저작물로 바로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설명 보기: 각 기관 사이트에서 연계한 저작물로 기관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각 기관 사이트에서 연계한 저작물로 기관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이용조건 이란

    1) 제1유형 : 출처표시
    - 출처표시
    -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

    2) 제2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출처표시
    - 비상업적 이용만 가능
    -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

    3) 제3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출처표시
    -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금지

    4)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 출처표시
    - 비상업적 이용만 가능
    -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금지

    5) 만료공공저작물 : 이용조건(출처표시 포함)이 없이 자유롭게 이용
    - 이용조건(출처표시 포함) 없음

    사라세니아미노르

    이미지

    사라세니아미노르_1번 사진
    사라세니아미노르_2번 사진
    사라세니아미노르_3번 사진
    /
    419 19
    공유하기
    관련태그
    #국립생태원 #에코리움 #주요동식물 #식물군
    제공기관
    • · 촬영연도 : 2021
    • · 촬영기관 : 국립생태원
    • · 소장기관 : 국립생태원 바로가기
    공공누리 유형

    국립생태원이(가) 보유한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1유형: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저작물 정보
    저작물 설명

    과명 Sarraceniaceae 학명 Sarracenia minor Walter 기타 IUCN red list 관심대상(least concern) ● 국내 분포: 없음 ● 해외 분포: 북미 지역 ● 생육 정보: 이 식물은 겨울철 별도의 보온장치 없는 습지 정원에서 재배하거나, 온실에서는 피트모스를 채운 화분에 2~3cm 정도 우수로 저면관수한 상태에서 생육시킨다. 휴면기가 되면 오래된 잎은 제거하고, 토양을 약간 적신 상태로 월동시키며, 선명한 색을 얻기 위해서는 햇빛이 많이 필요하다. 특히 뚜껑의 부분이은 햇빛을 많이 받으면, 구리빛이 도는 붉은 색이 더 진해지게 된다. ● 식물 정보: Sarracenia속은 분류학적으로 단지 8종만 알려져 있지만, 다양한 변종과 품종이 존재한다. 이 속의 식물들은 대부분 미국의 동남부 지역에 분포하며, 통으로 된 함정을 통해 벌레를 잡는데 기르기 쉽고, 특이한 생태 습성 때문에 사람들에게 인기가 많다. Sarracenia minor는 hooded pitcher plant(복면을 쓴, 덮개가 있는 항아리 식물)라고 불리며, 미국의 노스 캐롤라이나 남서부 지역과 플로리다의 해안을 따라 넓게 자생하는데 최근에는 플로리다 주 남부의 오키초비호 습지에서 비교적 큰 개체가 있는 군락이 발견된 바 있다. 이 식물은 일반적으로 줄기가 약 30cm 정도로 자라며, 부드러운 편이고, 전체적으로 녹색을 띄지만, 뚜껑의 부분은 구리빛을 띈 붉은 색을 나타내기도 한다. 꽃은 봄에 피는데 부드러운 버터와 같은 노란색을 띄며, 다른 Sarracenia속 식물과 비교해 크기는 중간이지만 색깔 등이 매우 독특한 편이다. 이 식물은 돔 모양의 뚜껑이 달려 있어 정면에서 보면 웃는 모습처럼 보이기도 하는데 야생에서는 주로 다양한 종류의 날아다니는 곤충을 먹이로 삼지만 개미들에게는 매력적인 식물로 알려져 있다. 포충낭의 입구 부분은 꿀샘이 많이 있어 벌레를 유인하는 역할을 하며, 줄기 내부에는 타일처럼 미끄러지기 쉬운 벽으로 되어 있다. 특히 이 식물의 뚜껑은 많은 창이 있는 것처럼 보이는데 이는 함정에 빠진 벌레가 출구를 찾지 못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뚜껑의 안쪽은 왁스층이 존재하여 발을 고정시키기 힘들게 되어 있고, 좁은 줄기의 아래쪽은 소화효소가 있어 벌레를 녹인 뒤 영양분을 흡수하는 방식으로 살아간다. ● 학명 정보: 이 식물의 속명은 유럽에 최초로 이 식물을 소개한 17세기 프랑스의 식물학자이자 물리학자인 Dr. Sarrazin에서 유래되었으며 종명인 minor는 작다는 의미를 가진다. ● 위협 요인: 야생에서는 무분별한 채취, 수위의 변화 등으로 개체수가 감소하는 추세였지만 최근에는 주변의 경쟁식물 제거, 산성 환경과 수위 유지 등 활발한 자생지 복원사업을 통해 점차 회복되고 있다. ● 동정 정보: ● 이용 정보: 올리브 열매는 음식을 위한 향신료로서 일찍부터 지중해 지역에서 널리 이용되어 왔으며, 과피에서 추출된 오일은 진통제, 살균제, 해열제 등에 사용되고 종자로부터 얻어진 마르지 않은 오일은 비누를 만들거나, 연료, 윤활유 등으로 사용된다. 특히 오일은 머리카락을 튼튼히 하고, 비듬을 없애는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저작물 설명
    과명 Sarraceniaceae 학명 Sarracenia minor Walter 기타 IUCN red list 관심대상(least concern) ● 국내 분포: 없음 ● 해외 분포: 북미 지역 ● 생육 정보: 이 식물은 겨울철 별도의 보온장치 없는 습지 정원에서 재배하거나, 온실에서는 피트모스를 채운 화분에 2~3cm 정도 우수로 저면관수한 상태에서 생육시킨다. 휴면기가 되면 오래된 잎은 제거하고, 토양을 약간 적신 상태로 월동시키며, 선명한 색을 얻기 위해서는 햇빛이 많이 필요하다. 특히 뚜껑의 부분이은 햇빛을 많이 받으면, 구리빛이 도는 붉은 색이 더 진해지게 된다. ● 식물 정보: Sarracenia속은 분류학적으로 단지 8종만 알려져 있지만, 다양한 변종과 품종이 존재한다. 이 속의 식물들은 대부분 미국의 동남부 지역에 분포하며, 통으로 된 함정을 통해 벌레를 잡는데 기르기 쉽고, 특이한 생태 습성 때문에 사람들에게 인기가 많다. Sarracenia minor는 hooded pitcher plant(복면을 쓴, 덮개가 있는 항아리 식물)라고 불리며, 미국의 노스 캐롤라이나 남서부 지역과 플로리다의 해안을 따라 넓게 자생하는데 최근에는 플로리다 주 남부의 오키초비호 습지에서 비교적 큰 개체가 있는 군락이 발견된 바 있다. 이 식물은 일반적으로 줄기가 약 30cm 정도로 자라며, 부드러운 편이고, 전체적으로 녹색을 띄지만, 뚜껑의 부분은 구리빛을 띈 붉은 색을 나타내기도 한다. 꽃은 봄에 피는데 부드러운 버터와 같은 노란색을 띄며, 다른 Sarracenia속 식물과 비교해 크기는 중간이지만 색깔 등이 매우 독특한 편이다. 이 식물은 돔 모양의 뚜껑이 달려 있어 정면에서 보면 웃는 모습처럼 보이기도 하는데 야생에서는 주로 다양한 종류의 날아다니는 곤충을 먹이로 삼지만 개미들에게는 매력적인 식물로 알려져 있다. 포충낭의 입구 부분은 꿀샘이 많이 있어 벌레를 유인하는 역할을 하며, 줄기 내부에는 타일처럼 미끄러지기 쉬운 벽으로 되어 있다. 특히 이 식물의 뚜껑은 많은 창이 있는 것처럼 보이는데 이는 함정에 빠진 벌레가 출구를 찾지 못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뚜껑의 안쪽은 왁스층이 존재하여 발을 고정시키기 힘들게 되어 있고, 좁은 줄기의 아래쪽은 소화효소가 있어 벌레를 녹인 뒤 영양분을 흡수하는 방식으로 살아간다. ● 학명 정보: 이 식물의 속명은 유럽에 최초로 이 식물을 소개한 17세기 프랑스의 식물학자이자 물리학자인 Dr. Sarrazin에서 유래되었으며 종명인 minor는 작다는 의미를 가진다. ● 위협 요인: 야생에서는 무분별한 채취, 수위의 변화 등으로 개체수가 감소하는 추세였지만 최근에는 주변의 경쟁식물 제거, 산성 환경과 수위 유지 등 활발한 자생지 복원사업을 통해 점차 회복되고 있다. ● 동정 정보: ● 이용 정보: 올리브 열매는 음식을 위한 향신료로서 일찍부터 지중해 지역에서 널리 이용되어 왔으며, 과피에서 추출된 오일은 진통제, 살균제, 해열제 등에 사용되고 종자로부터 얻어진 마르지 않은 오일은 비누를 만들거나, 연료, 윤활유 등으로 사용된다. 특히 오일은 머리카락을 튼튼히 하고, 비듬을 없애는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다운로드

    ※ 고화질의 대용량(20~30MB/장)사진의 경우 다운로드에 다소 시간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출처표시 예시

    예시
    01
    본 저작물은 OOO(기관명)에서 OO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유형번호]유형으로 개방한 저작물명(작성자:OOO)을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OOO(기관명), OOO(홈페이지 주소)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위 내용은 예시이므로 작성연도 및 해당 기관명과 홈페이지 주소, 작성자명 기입

    예시
    02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유형번호]유형에 따라 [기관명(사이트 URL), 작성자:OOO]의 공공저작물을 이용하였습니다.
    예시
    03
    * 출처 -[기관명], [사이트명(사이트상세 URL)]

    유의사항

    <이용자가 가지는 권리 >

    1. 온·오프라인 상에 공유 및 이용 : 온·오프라인을 통하여 공유 및 이용 가능

    2. 저작물 변경 : 2차적 저작물로 변경하여 이용 가능

    3. 이 저작물은 영리 목적으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물 사용 조건>

    - 출처 표시 : 저작물의 출처를 표시하셔야 합니다.

    공공기관이 후원 한다고 하거나 공공기관과 특수한 관계에 있는 것처럼 제 3자가 오인하게 하는 표시를 해서는 안됩니다.

    < 알아야 할 사항 >

    I. 이용조건의 표시 및 변경

    1. 이용자가 공공누리 저작물 활용 시 출처표시를 꼭 해 주셔야 합니다.

    2. 공공누리 저작물의 이용조건은 변경될 수 있습니다.

    다만 이용자가 이용조건 변경 전 사용하셨다면 해당저작물 한해 용도변경 없이 계속 이용할 수 있습니다.

    II. 이용조건의 위반

    1. 이용자가 공공누리 이용조건을 위반할 경우 그 즉시 이용허락이 종료됩니다.

    2. 이용자가 이용조건 위반 후 지속적으로 공공저작물을 이용할 경우 저작권 침해가 성립되므로 형사상, 민사상 책임을 부담 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