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리아 트리덴타타
이미지
- 제공기관
-
- · 촬영연도 : 2021
- · 촬영기관 : 국립생태원
- · 소장기관 : 국립생태원 바로가기
- 공공누리 유형
-
국립생태원이(가) 보유한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1유형: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 저작물 정보
- 저작물 설명
-
과명 남가새과(Zygophyllaceae) 학명 Larrea tridentata (Sessé & Moc. ex DC.) Coville 기타 ● 국내 분포: 없음 ● 해외 분포: 미국, 멕시코 ● 생육 정보: 미국 모하비사막을 포함하는 켈리포니아와 텍사스 지역, 미국과 멕시코의 소노라 사막에서 자생하는 관목이다. 전형적인 사막식물로서 특히 소노라사막에 많이 분포하고 있다. 매우 생명력이 강하여 다른 식물들이 휴면에 들어갈 만큼 긴 가뭄에도 생장에 필요한 당(sugars)을 계속 만들어 낼 수 있다. 또, 식물 중심의 오래된 줄기가 죽으면 새로운 줄기가 주위에서 다시 돋아난다. 그렇게 생성된 줄기들은 원래 식물의 복제 식물로서 100년 이상 살 수 있다. 가끔 수천 년 동안 살아남은 개체도 종종 발견된다. ● 식물 정보: 잎의 크기가 작고 표면은 광택이 나는 레진(resins) 성분의 막으로 덮여 있어서, 뜨거운 태양과 건조한 바람에도 수분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비를 맞거나 물리적으로 흔들면, 잎과 어린 줄기의 레진 성분 때문에 특유의 향이 난다. 원래 초록색이던 잎은 환경이 건조할 때 색깔이 바랜다. 수분을 아끼기 위해 건조한 환경이 오래 지속되면 잎을 떨어뜨리는 습성이 있으나, 비가 오면 즉시 반응하여 새 잎과 줄기를 만들어낸다. 꽃은 봄에 노란색으로 피며, 비가 충분히 오면 봄이 아닌 다른 계절에도 꽃을 볼 수 있다. 개화하면 많은 곤충들을 불러들이며, 그 중 벌은 100종에 이른다. 특히 22종은 오직 이 식물의 꽃에만 의존하여 꽃가루와 꿀을 얻는다. 열매는 작고 둥글며 흰 털로 덮여있어서 멀리서 보면 마치 눈송이가 내린 것 같이 보인다. 열매 속은 마치 오렌지의 속처럼 구분되어 있으며, 5개로 나뉜 구역 안에 각각 7~9개의 종자를 가지고 있다. ● 학명 정보: ● 위협 요인: 대부분 방목과 불법 채취 때문에 자생지가 위협받고 있다. ● 동정 정보: ● 이용 정보: 소노라사막의 원주민이었던 파파고 인디언(Papago Indians, Tohono O odham)은 이 나무가 약국과도 같다고 하였으며 고사풍(stiff limbs), 염증(sores), 생리통, 뱀에 물린 상처 치료 등 여러 가지 목적으로 사용하였다. 이 식물의 약용 성분이 대부분의 동물과 곤충에게 불쾌하게 작용하는 것으로 보이며, 사막에 사는 작은 메뚜기와 대벌레 등 일부 종만이 잎을 먹고 살아간다.
저작물 설명과명 남가새과(Zygophyllaceae) 학명 Larrea tridentata (Sessé & Moc. ex DC.) Coville 기타 ● 국내 분포: 없음 ● 해외 분포: 미국, 멕시코 ● 생육 정보: 미국 모하비사막을 포함하는 켈리포니아와 텍사스 지역, 미국과 멕시코의 소노라 사막에서 자생하는 관목이다. 전형적인 사막식물로서 특히 소노라사막에 많이 분포하고 있다. 매우 생명력이 강하여 다른 식물들이 휴면에 들어갈 만큼 긴 가뭄에도 생장에 필요한 당(sugars)을 계속 만들어 낼 수 있다. 또, 식물 중심의 오래된 줄기가 죽으면 새로운 줄기가 주위에서 다시 돋아난다. 그렇게 생성된 줄기들은 원래 식물의 복제 식물로서 100년 이상 살 수 있다. 가끔 수천 년 동안 살아남은 개체도 종종 발견된다. ● 식물 정보: 잎의 크기가 작고 표면은 광택이 나는 레진(resins) 성분의 막으로 덮여 있어서, 뜨거운 태양과 건조한 바람에도 수분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비를 맞거나 물리적으로 흔들면, 잎과 어린 줄기의 레진 성분 때문에 특유의 향이 난다. 원래 초록색이던 잎은 환경이 건조할 때 색깔이 바랜다. 수분을 아끼기 위해 건조한 환경이 오래 지속되면 잎을 떨어뜨리는 습성이 있으나, 비가 오면 즉시 반응하여 새 잎과 줄기를 만들어낸다. 꽃은 봄에 노란색으로 피며, 비가 충분히 오면 봄이 아닌 다른 계절에도 꽃을 볼 수 있다. 개화하면 많은 곤충들을 불러들이며, 그 중 벌은 100종에 이른다. 특히 22종은 오직 이 식물의 꽃에만 의존하여 꽃가루와 꿀을 얻는다. 열매는 작고 둥글며 흰 털로 덮여있어서 멀리서 보면 마치 눈송이가 내린 것 같이 보인다. 열매 속은 마치 오렌지의 속처럼 구분되어 있으며, 5개로 나뉜 구역 안에 각각 7~9개의 종자를 가지고 있다. ● 학명 정보: ● 위협 요인: 대부분 방목과 불법 채취 때문에 자생지가 위협받고 있다. ● 동정 정보: ● 이용 정보: 소노라사막의 원주민이었던 파파고 인디언(Papago Indians, Tohono O odham)은 이 나무가 약국과도 같다고 하였으며 고사풍(stiff limbs), 염증(sores), 생리통, 뱀에 물린 상처 치료 등 여러 가지 목적으로 사용하였다. 이 식물의 약용 성분이 대부분의 동물과 곤충에게 불쾌하게 작용하는 것으로 보이며, 사막에 사는 작은 메뚜기와 대벌레 등 일부 종만이 잎을 먹고 살아간다.
- 다운로드
-
※ 고화질의 대용량(20~30MB/장)사진의 경우 다운로드에 다소 시간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출처표시 예시
- 예시
01 -
본 저작물은 OOO(기관명)에서 OO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유형번호]유형으로 개방한 저작물명(작성자:OOO)을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OOO(기관명), OOO(홈페이지 주소)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위 내용은 예시이므로 작성연도 및 해당 기관명과 홈페이지 주소, 작성자명 기입
- 예시
02 -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유형번호]유형에 따라 [기관명(사이트 URL), 작성자:OOO]의 공공저작물을 이용하였습니다.
- 예시
03 -
* 출처 -[기관명], [사이트명(사이트상세 URL)]
유의사항
1. 온·오프라인 상에 공유 및 이용 : 온·오프라인을 통하여 공유 및 이용 가능
2. 저작물 변경 : 2차적 저작물로 변경하여 이용 가능
3. 이 저작물은 영리 목적으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물 사용 조건>- 출처 표시 : 저작물의 출처를 표시하셔야 합니다.
공공기관이 후원 한다고 하거나 공공기관과 특수한 관계에 있는 것처럼 제 3자가 오인하게 하는 표시를 해서는 안됩니다.
< 알아야 할 사항 >I. 이용조건의 표시 및 변경
1. 이용자가 공공누리 저작물 활용 시 출처표시를 꼭 해 주셔야 합니다.
2. 공공누리 저작물의 이용조건은 변경될 수 있습니다.
다만 이용자가 이용조건 변경 전 사용하셨다면 해당저작물 한해 용도변경 없이 계속 이용할 수 있습니다.
II. 이용조건의 위반1. 이용자가 공공누리 이용조건을 위반할 경우 그 즉시 이용허락이 종료됩니다.
2. 이용자가 이용조건 위반 후 지속적으로 공공저작물을 이용할 경우 저작권 침해가 성립되므로 형사상, 민사상 책임을 부담 하실 수 있습니다.
원본신청안내 및 개인정보 수집동의
고품질 공공저작물 원본 신청
공공누리에서 제공하는 공공저작물 중 공공누리 1유형은 출처표시만 한다면 영리, 비영리 목적으로 모두 활용 가능하며 개작 등 2차 변형이 가능하도록 무료로 개방하고 있습니다. 다만, 원활한 저작물 제공과 관리를 위해 아래와 같이 원본 이용 신청을 받고 있습니다.
원본 신청 파일 수령 안내
한국문화정보원에서는 공공저작물 원본 파일을 방문수령 또는 저장장치 배송을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원본 신청 접수 완료 후 상세 수령 절차는 기입하신 이메일을 통해 안내 드립니다.
* 1일 이내 안내메일 발송(주말제외)
* 원본 저장 장치(USB, 외장하드 등)를 사전에 준비하셔야 하며 왕복 택배비는 신청자 부담입니다.
개인정보이용 동의 안내
한국문화정보원에서는 공공저작물 원본 관리 및 전달 등과 관련하여 귀하의 개인정보를 아래와 같이 수집하고자 합니다. 다음의 사항에 대해 충분히 읽어 보신 후, 동의 여부를 체크, 서명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개인정보 수집항목
- 기 업 : 기업명, 소속/부서
- 담 당 자 : 성명, 이메일 주소
- 일반 국민 : 성명, 이메일 주소
* 개인정보 수집목적
- 이용허가 및 저작권 이용관리
보유기간 : 수집된 정보는 3년간 보존하며, 수집된 정보는 수집 목적 이외의 다른 목적으로 사용되지 않습니다.
위의 개인정보 수집에 대한 동의를 거부할 권리가 있습니다. 그러나 동의를 거부할 경우 원활한 저작권 이용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원본신청안내 및 개인정보 수집동의
공공누리 이용 약관 및 개인 정보이용 동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