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어
제공기관
    등록년도
    ~
    저작물 유형
    저작물 구분
    설명 보기:각 기관에서 제공해주신 원문DB 공공저작물로 바로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각 기관에서 제공해주신 원문DB 공공저작물로 바로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설명 보기: 각 기관 사이트에서 연계한 저작물로 기관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각 기관 사이트에서 연계한 저작물로 기관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이용조건 이란

    1) 제1유형 : 출처표시
    - 출처표시
    -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

    2) 제2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출처표시
    - 비상업적 이용만 가능
    -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가능

    3) 제3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출처표시
    - 상업적, 비상업적 이용가능
    -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금지

    4) 제4유형 :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 출처표시
    - 비상업적 이용만 가능
    - 변형 등 2차적 저작물 작성 금지

    5) 만료공공저작물 : 이용조건(출처표시 포함)이 없이 자유롭게 이용
    - 이용조건(출처표시 포함) 없음

    진천1. 모찌는소리

    오디오

    소리

    진천1. 모찌는소리

    1142 11
    공유하기
    공공누리 유형

    서울우리소리박물관이(가) 보유한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1유형: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관련태그
    #농요 #노동요 #서울우리소리박물관 #용몽리농요보존회 #뭉치세 #모찌기 #wav
    제공기관
    • · 촬영연도 : 2020
    • · 촬영기관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용몽리농요보존회
    • · 소장기관 : 서울우리소리박물관 바로가기
    저작물 설명

    진천 용몽리 농요 개요 진천 용몽리 농요는 충북 진천군 덕산면 일대에서 벼농사를 지으면서 하던 소리다. 대월들, 목골들, 옥골들을 포함한 자연부락을 중심으로 전승되어왔다. 용몽리 농요는 ‘모찌는소리’, ‘모심는소리’, ‘논매는소리’(초벌매기)와 ‘논뜯는소리’(두벌매기)로 구성되어 있다. 1999년 충북민속경연대회에서 대상을 수상했고, 2000년에는 전국민속예술경연대회에서 문화관광부장관상을 받았다. 2000년부터 해마다 현장 발표회를 하고 있다. 2003년 3월에 충청북도 무형문화재 제11호로 지정되었다. 소리 이정수. 이광섭. 박중수. 설명 모내기를 하기 위하여 모판에서 모를 뽑아 묶어내면서 하는 소리. 가사 후렴 : 뭉치세 뭉치세 여이하 이 모판 뭉치세 뭉치세 뭉치세 여이하 이 모판 뭉치세 정월달에 농사일은 농기구 손질이 제일이오 이월달에 농사일은 종자선정이 제일이오 삼월달에 농사일은 보리밭관리가 제일이오 사월달에 농사일은 모자리관리가 제일이오 오월달에 농사일은 모심고 보리타작이 제일이오 유월달에 농사일은 논매고 논뜯는 일이 제일이오 칠월달에 농사일은 백중놀이가 제일이오 팔월달에 농사일은 밭거두는 일이 제일이오 구월달에 농사일은 벼베고 보리심는 일이 제일이오 시월달에 농사일은 벼타작하는 일이 제일이오 동지달에 농사일은 초가집 잇는 일이 제일이오 섣달에 농사일은 묵은 해를 다보내고 양친부모님 모셔다가 천년만년 살고지고 시화연풍 국태민안 올 일년을 다보내세 뭉치세 뭉치세 여이하 이 모판 뭉치세 일러두기 *가사적기 - 학계의 관행은대체로 노래의 운율을 표시하기 위해띄어쓰기를 안 하는 것이 보통입니다. 그러나, 본 작업에는노래 가사의 뜻이 전달되도록,어법에 맞춰 띄어쓰기를 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여 가사작업을 검수하였습니다. - 가사에 운율을 표시하는 것은 옛 방식으로 본 작업에서는 음원자료가 있으므로 굳이 띄어쓰기를 무시하지 않고 실제 연행자가 부른 뜻이 통하도록 최대한 띄어쓰기를 적용했습니다. *노래제목 - 노래제목의 경우 지역에서 통용되는 제목과 원제목이 상충할 경우 가능한 원제목을 표기하고 설명에 지역에서 쓰이는 표기했습니다. 검수 - 본 작업은 서울우리소리박물관의 가이드에 따라, 검수를 진행하여 작성되었습니다.

    저작물 설명

     

     

    진천 용몽리 농요 개요

     

    진천 용몽리 농요는 충북 진천군 덕산면 일대에서 벼농사를 지으면서 하던 소리다. 대월들, 목골들, 옥골들을 포함한 자연부락을 중심으로 전승되어왔다. 용몽리 농요는 ‘모찌는소리’, ‘모심는소리’, ‘논매는소리’(초벌매기)와 ‘논뜯는소리’(두벌매기)로 구성되어 있다. 1999년 충북민속경연대회에서 대상을 수상했고, 2000년에는 전국민속예술경연대회에서 문화관광부장관상을 받았다. 2000년부터 해마다 현장 발표회를 하고 있다. 2003년 3월에 충청북도 무형문화재 제11호로 지정되었다.

     

    소리

    이정수. 이광섭. 박중수.

     

    설명

    모내기를 하기 위하여 모판에서 모를 뽑아 묶어내면서 하는 소리.

     

    가사

    후렴 : 뭉치세 뭉치세 여이하 이 모판 뭉치세

     

    뭉치세 뭉치세 여이하 이 모판 뭉치세

    정월달에 농사일은 농기구 손질이 제일이오

    이월달에 농사일은 종자선정이 제일이오

    삼월달에 농사일은 보리밭관리가 제일이오

    사월달에 농사일은 모자리관리가 제일이오

    오월달에 농사일은 모심고 보리타작이 제일이오

    유월달에 농사일은 논매고 논뜯는 일이 제일이오

    칠월달에 농사일은 백중놀이가 제일이오

    팔월달에 농사일은 밭거두는 일이 제일이오

     

    구월달에 농사일은 벼베고 보리심는 일이 제일이오

    시월달에 농사일은 벼타작하는 일이 제일이오

    동지달에 농사일은 초가집 잇는 일이 제일이오

    섣달에 농사일은 묵은 해를 다보내고 양친부모님 모셔다가 천년만년 살고지고

    시화연풍 국태민안 올 일년을 다보내세

    뭉치세 뭉치세 여이하 이 모판 뭉치세

     

     

     

     

     

     

     

     

     

     

     

     

    일러두기
     
    *가사적기
    - 학계의 관행은 대체로 노래의 운율을 표시하기 위해 띄어쓰기를 안 하는 것이 보통입니다.
      그러나, 본 작업에는 노래 가사의 뜻이 전달되도록, 어법에 맞춰 띄어쓰기를 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여 가사작업을 검수하였습니다.  
    - 가사에 운율을 표시하는 것은 옛 방식으로 본 작업에서는 음원자료가 있으므로 굳이 띄어쓰기를 무시하지 않고 실제 연행자가 부른 뜻이 통하도록 최대한 띄어쓰기를 적용했습니다.
     
    *노래제목
    - 노래제목의 경우 지역에서 통용되는 제목과 원제목이 상충할 경우 가능한 원제목을 표기하고 설명에 지역에서 쓰이는 표기했습니다. 
     
     
    검수 - 본 작업은 서울우리소리박물관의 가이드에 따라, 검수를 진행하여 작성되었습니다.
    다운로드

    ※ 고품질의 대용량(1G) 오디오 다운로드의 경우 다소 시간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출처표시 예시

    예시
    01
    본 저작물은 OOO(기관명)에서 OO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유형번호]유형으로 개방한 저작물명(작성자:OOO)을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OOO(기관명), OOO(홈페이지 주소)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위 내용은 예시이므로 작성연도 및 해당 기관명과 홈페이지 주소, 작성자명 기입

    예시
    02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유형번호]유형에 따라 [기관명(사이트 URL), 작성자:OOO]의 공공저작물을 이용하였습니다.
    예시
    03
    * 출처 -[기관명], [사이트명(사이트상세 URL)]

    유의사항

    <이용자가 가지는 권리 >

    1. 온·오프라인 상에 공유 및 이용 : 온·오프라인을 통하여 공유 및 이용 가능

    2. 저작물 변경 : 2차적 저작물로 변경하여 이용 가능

    3. 이 저작물은 영리 목적으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물 사용 조건>

    - 출처 표시 : 저작물의 출처를 표시하셔야 합니다.

    공공기관이 후원 한다고 하거나 공공기관과 특수한 관계에 있는 것처럼 제 3자가 오인하게 하는 표시를 해서는 안됩니다.

    < 알아야 할 사항 >

    I. 이용조건의 표시 및 변경

    1. 이용자가 공공누리 저작물 활용 시 출처표시를 꼭 해 주셔야 합니다.

    2. 공공누리 저작물의 이용조건은 변경될 수 있습니다.

    다만 이용자가 이용조건 변경 전 사용하셨다면 해당저작물 한해 용도변경 없이 계속 이용할 수 있습니다.

    II. 이용조건의 위반

    1. 이용자가 공공누리 이용조건을 위반할 경우 그 즉시 이용허락이 종료됩니다.

    2. 이용자가 이용조건 위반 후 지속적으로 공공저작물을 이용할 경우 저작권 침해가 성립되므로 형사상, 민사상 책임을 부담 하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