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평소
3D
- 제공기관
-
- · 촬영연도 : 2017
- · 촬영기관 : 국립국악원
- · 소장기관 : 국립국악원 바로가기
- 공공누리 유형
-
국립국악원이(가) 보유한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1유형: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 저작물 정보
- 93.47 MB
- 저작물 설명
-
태평소 자체를 활용하여 관광 기념품이나 전시와 관련된 복제품으로 제작하였다. 지공을 비롯하여 관대, 동팔랑까지 모든 부분은 실제 연주가 가능할 정도로 동일하게 만들었다. 궁중음악에서 농악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분야에 사용되는 태평소를 통해서 국악을 널리 알리고 우리나라 전통의 음악과 악기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태평소는 나무 관대에 깔때기 모양의 동팔랑(銅八郞)을 대서 만들고, 관대에 겹서를 꽂아 부는 관악기이다. 태평소는 호적(胡笛), 호적(號笛), 날라리, 쇄납, 새납 등의 별칭으로 불리기도 하며, 옛 시에서는 금구각(金口角)이나 소이나(蘇爾奈)라 표기되기도 했다. 이 중 가장 대표적인 이름인 태평소는 이 악기가 주로 궁중과 궁궐의 행사에 사용되어 국가의 안녕과 권위의 상징으로 전승되었음을, 호적(胡笛)은 악기가 변방의 이민족에서 유래하였음을 말해 준다. 우리나라에는 고려시대에 소개되어 불기 시작한 것으로 알려졌다. 최근 들어 농악에 점차 태평소의 역할이 증대되는 추세이다. 일제강점기에는 태평소로 독주 시나위를 연주하기 시작하여 태평소 음악의 새로운 갈래를 형성했다. 방태진, 한일섭 같은 연주자들은 태평소 시나위를 만들었는데, 이후 서용석, 박종선, 김동진에게 이어졌다. 태평소의 전면은 몸통부분인 관대와 서[舌], 동구(銅口), 동팔랑(銅八郞)으로 이루어져 있다. 관대는 대추나무나 중국 버드나무인 화류목의 속을 파내어 만드는데, 태평소의 가장 중요한 부분이다. 태평소 동팔랑은 아래쪽의 넓은 부분으로 놋쇠나 구리, 주석으로 만든 반구형의 구조물에 해당하며 공명을 좋게 한다. 태평소의 지공은 모두 8개인데 관대의 앞쪽에 7개의 구멍을 일정한 간격으로 뚫고 구멍 1개(제2공)는 뒤에 뚫는다. 태평소 동구는 겹서를 관대에 끼울 때 쓰는 금속제이고, 겹서는 갈대를 얇게 가공해 쓴다. 태평소는 겹서에 입김을 불어넣고 관대와 동팔랑을 통해 음정과 진폭을 조정해 소리를 낸다. 겹서를 가볍게 물고 관대는 왼손을 취구 가까운 쪽에, 오른손을 동팔랑 쪽으로 가게 해 잡는다.
저작물 설명태평소 자체를 활용하여 관광 기념품이나 전시와 관련된 복제품으로 제작하였다. 지공을 비롯하여 관대, 동팔랑까지 모든 부분은 실제 연주가 가능할 정도로 동일하게 만들었다. 궁중음악에서 농악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분야에 사용되는 태평소를 통해서 국악을 널리 알리고 우리나라 전통의 음악과 악기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태평소는 나무 관대에 깔때기 모양의 동팔랑(銅八郞)을 대서 만들고, 관대에 겹서를 꽂아 부는 관악기이다. 태평소는 호적(胡笛), 호적(號笛), 날라리, 쇄납, 새납 등의 별칭으로 불리기도 하며, 옛 시에서는 금구각(金口角)이나 소이나(蘇爾奈)라 표기되기도 했다. 이 중 가장 대표적인 이름인 태평소는 이 악기가 주로 궁중과 궁궐의 행사에 사용되어 국가의 안녕과 권위의 상징으로 전승되었음을, 호적(胡笛)은 악기가 변방의 이민족에서 유래하였음을 말해 준다. 우리나라에는 고려시대에 소개되어 불기 시작한 것으로 알려졌다. 최근 들어 농악에 점차 태평소의 역할이 증대되는 추세이다. 일제강점기에는 태평소로 독주 시나위를 연주하기 시작하여 태평소 음악의 새로운 갈래를 형성했다. 방태진, 한일섭 같은 연주자들은 태평소 시나위를 만들었는데, 이후 서용석, 박종선, 김동진에게 이어졌다. 태평소의 전면은 몸통부분인 관대와 서[舌], 동구(銅口), 동팔랑(銅八郞)으로 이루어져 있다. 관대는 대추나무나 중국 버드나무인 화류목의 속을 파내어 만드는데, 태평소의 가장 중요한 부분이다. 태평소 동팔랑은 아래쪽의 넓은 부분으로 놋쇠나 구리, 주석으로 만든 반구형의 구조물에 해당하며 공명을 좋게 한다. 태평소의 지공은 모두 8개인데 관대의 앞쪽에 7개의 구멍을 일정한 간격으로 뚫고 구멍 1개(제2공)는 뒤에 뚫는다. 태평소 동구는 겹서를 관대에 끼울 때 쓰는 금속제이고, 겹서는 갈대를 얇게 가공해 쓴다. 태평소는 겹서에 입김을 불어넣고 관대와 동팔랑을 통해 음정과 진폭을 조정해 소리를 낸다. 겹서를 가볍게 물고 관대는 왼손을 취구 가까운 쪽에, 오른손을 동팔랑 쪽으로 가게 해 잡는다.
- 다운로드
-
※ 3D 뷰어는 익스플로러에서는 재생되지 않습니다. 컴퓨터 사양에 따라 3D 뷰어 이용 및 고화질 대용량(20~30MB/장)사진 다운로드에 다소 시간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출처표시 예시
- 예시
01 -
본 저작물은 OOO(기관명)에서 OO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유형번호]유형으로 개방한 저작물명(작성자:OOO)을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OOO(기관명), OOO(홈페이지 주소)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위 내용은 예시이므로 작성연도 및 해당 기관명과 홈페이지 주소, 작성자명 기입
- 예시
02 -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유형번호]유형에 따라 [기관명(사이트 URL), 작성자:OOO]의 공공저작물을 이용하였습니다.
- 예시
03 -
* 출처 -[기관명], [사이트명(사이트상세 URL)]
유의사항
1. 온·오프라인 상에 공유 및 이용 : 온·오프라인을 통하여 공유 및 이용 가능
2. 저작물 변경 : 2차적 저작물로 변경하여 이용 가능
3. 이 저작물은 영리 목적으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물 사용 조건>- 출처 표시 : 저작물의 출처를 표시하셔야 합니다.
공공기관이 후원 한다고 하거나 공공기관과 특수한 관계에 있는 것처럼 제 3자가 오인하게 하는 표시를 해서는 안됩니다.
< 알아야 할 사항 >I. 이용조건의 표시 및 변경
1. 이용자가 공공누리 저작물 활용 시 출처표시를 꼭 해 주셔야 합니다.
2. 공공누리 저작물의 이용조건은 변경될 수 있습니다.
다만 이용자가 이용조건 변경 전 사용하셨다면 해당저작물 한해 용도변경 없이 계속 이용할 수 있습니다.
II. 이용조건의 위반1. 이용자가 공공누리 이용조건을 위반할 경우 그 즉시 이용허락이 종료됩니다.
2. 이용자가 이용조건 위반 후 지속적으로 공공저작물을 이용할 경우 저작권 침해가 성립되므로 형사상, 민사상 책임을 부담 하실 수 있습니다.
원본신청안내 및 개인정보 수집동의
고품질 공공저작물 원본 신청
공공누리에서 제공하는 공공저작물 중 공공누리 1유형은 출처표시만 한다면 영리, 비영리 목적으로 모두 활용 가능하며 개작 등 2차 변형이 가능하도록 무료로 개방하고 있습니다. 다만, 원활한 저작물 제공과 관리를 위해 아래와 같이 원본 이용 신청을 받고 있습니다.
원본 신청 파일 수령 안내
한국문화정보원에서는 공공저작물 원본 파일을 방문수령 또는 저장장치 배송을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원본 신청 접수 완료 후 상세 수령 절차는 기입하신 이메일을 통해 안내 드립니다.
* 1일 이내 안내메일 발송(주말제외)
* 원본 저장 장치(USB, 외장하드 등)를 사전에 준비하셔야 하며 왕복 택배비는 신청자 부담입니다.
개인정보이용 동의 안내
한국문화정보원에서는 공공저작물 원본 관리 및 전달 등과 관련하여 귀하의 개인정보를 아래와 같이 수집하고자 합니다. 다음의 사항에 대해 충분히 읽어 보신 후, 동의 여부를 체크, 서명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개인정보 수집항목
- 기 업 : 기업명, 소속/부서
- 담 당 자 : 성명, 이메일 주소
- 일반 국민 : 성명, 이메일 주소
* 개인정보 수집목적
- 이용허가 및 저작권 이용관리
보유기간 : 수집된 정보는 3년간 보존하며, 수집된 정보는 수집 목적 이외의 다른 목적으로 사용되지 않습니다.
위의 개인정보 수집에 대한 동의를 거부할 권리가 있습니다. 그러나 동의를 거부할 경우 원활한 저작권 이용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원본신청안내 및 개인정보 수집동의
공공누리 이용 약관 및 개인 정보이용 동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