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향
3D
- 제공기관
-
- · 촬영연도 : 2017
- · 촬영기관 : 국립국악원
- · 소장기관 : 국립국악원 바로가기
- 공공누리 유형
-
국립국악원이(가) 보유한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1유형: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 저작물 정보
- 910.95 MB
- 저작물 설명
-
방향을 활용하여 관광기념품이나 전시와 관련된 복제품으로 제작하고자 한다. 금속으로 제작된 철편을 중심으로 전체적인 모습을 그대로 반영하였다. 두드리면 직접 소리를 낼 수 있는데 제례에 사용된 여러 가지 악기의 종류를 이해하고 국악기에 대한 관심을 높이는 계기를 제공한다방향(方響)은 철향(鐵響)이라고도 하며, 16개의 철편(鐵片)을 틀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8개씩 매어 놓고 망치 모양의 각퇴(角槌)로 쳐서 소리를 낸다. 현재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중국 양(梁)나라 때에 만들어졌다고 한다. 당, 송, 원에서는 주로 연악에 쓰였고, 명?청시대에는 아악에 쓰였다 하지만 지금은 없어졌다. 우리나라는 11세기 고려 문종 때 이 악기로 당악을 연주한 이래 줄곧 당악과 고취(鼓吹)에 편성되어 쓰였다. 철편은 강한 쇠붙이로 만들며 크기는 16개 모두가 같은데, 두껍고 얇음에 따라 음정이 다르다. 하단은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상단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차례로 음이 높아지도록 배열되어 있다. 철편의 위쪽에 구멍을 뚫어 삼갑진사(三甲眞絲)로 꿰어 고정시켰다. 새끼호랑이가 엎드린 모양을 조각한 양쪽 받침대에 설주를 꽂고, 나무들의 맨 위쪽은 봉황의 머리로 장식한다. 철편의 모양이 임진왜란 전에는 위쪽이 둥근 직사각형이었으나 임진왜란 후 각이 진 직사각형으로 변하였다. 현재 음역이 너무 높고, 음색이 고르지 못하며, 탁하여 거의 쓰이지 않고 있으나, <종묘제례(宗廟祭禮)> 때 편성된다.
저작물 설명방향을 활용하여 관광기념품이나 전시와 관련된 복제품으로 제작하고자 한다. 금속으로 제작된 철편을 중심으로 전체적인 모습을 그대로 반영하였다. 두드리면 직접 소리를 낼 수 있는데 제례에 사용된 여러 가지 악기의 종류를 이해하고 국악기에 대한 관심을 높이는 계기를 제공한다방향(方響)은 철향(鐵響)이라고도 하며, 16개의 철편(鐵片)을 틀의 상단과 하단에 각각 8개씩 매어 놓고 망치 모양의 각퇴(角槌)로 쳐서 소리를 낸다. 현재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중국 양(梁)나라 때에 만들어졌다고 한다. 당, 송, 원에서는 주로 연악에 쓰였고, 명?청시대에는 아악에 쓰였다 하지만 지금은 없어졌다. 우리나라는 11세기 고려 문종 때 이 악기로 당악을 연주한 이래 줄곧 당악과 고취(鼓吹)에 편성되어 쓰였다. 철편은 강한 쇠붙이로 만들며 크기는 16개 모두가 같은데, 두껍고 얇음에 따라 음정이 다르다. 하단은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상단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차례로 음이 높아지도록 배열되어 있다. 철편의 위쪽에 구멍을 뚫어 삼갑진사(三甲眞絲)로 꿰어 고정시켰다. 새끼호랑이가 엎드린 모양을 조각한 양쪽 받침대에 설주를 꽂고, 나무들의 맨 위쪽은 봉황의 머리로 장식한다. 철편의 모양이 임진왜란 전에는 위쪽이 둥근 직사각형이었으나 임진왜란 후 각이 진 직사각형으로 변하였다. 현재 음역이 너무 높고, 음색이 고르지 못하며, 탁하여 거의 쓰이지 않고 있으나, <종묘제례(宗廟祭禮)> 때 편성된다.
- 다운로드
-
※ 3D 뷰어는 익스플로러에서는 재생되지 않습니다. 컴퓨터 사양에 따라 3D 뷰어 이용 및 고화질 대용량(20~30MB/장)사진 다운로드에 다소 시간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출처표시 예시
- 예시
01 -
본 저작물은 OOO(기관명)에서 OO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유형번호]유형으로 개방한 저작물명(작성자:OOO)을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OOO(기관명), OOO(홈페이지 주소)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위 내용은 예시이므로 작성연도 및 해당 기관명과 홈페이지 주소, 작성자명 기입
- 예시
02 -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유형번호]유형에 따라 [기관명(사이트 URL), 작성자:OOO]의 공공저작물을 이용하였습니다.
- 예시
03 -
* 출처 -[기관명], [사이트명(사이트상세 URL)]
유의사항
1. 온·오프라인 상에 공유 및 이용 : 온·오프라인을 통하여 공유 및 이용 가능
2. 저작물 변경 : 2차적 저작물로 변경하여 이용 가능
3. 이 저작물은 영리 목적으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물 사용 조건>- 출처 표시 : 저작물의 출처를 표시하셔야 합니다.
공공기관이 후원 한다고 하거나 공공기관과 특수한 관계에 있는 것처럼 제 3자가 오인하게 하는 표시를 해서는 안됩니다.
< 알아야 할 사항 >I. 이용조건의 표시 및 변경
1. 이용자가 공공누리 저작물 활용 시 출처표시를 꼭 해 주셔야 합니다.
2. 공공누리 저작물의 이용조건은 변경될 수 있습니다.
다만 이용자가 이용조건 변경 전 사용하셨다면 해당저작물 한해 용도변경 없이 계속 이용할 수 있습니다.
II. 이용조건의 위반1. 이용자가 공공누리 이용조건을 위반할 경우 그 즉시 이용허락이 종료됩니다.
2. 이용자가 이용조건 위반 후 지속적으로 공공저작물을 이용할 경우 저작권 침해가 성립되므로 형사상, 민사상 책임을 부담 하실 수 있습니다.
원본신청안내 및 개인정보 수집동의
고품질 공공저작물 원본 신청
공공누리에서 제공하는 공공저작물 중 공공누리 1유형은 출처표시만 한다면 영리, 비영리 목적으로 모두 활용 가능하며 개작 등 2차 변형이 가능하도록 무료로 개방하고 있습니다. 다만, 원활한 저작물 제공과 관리를 위해 아래와 같이 원본 이용 신청을 받고 있습니다.
원본 신청 파일 수령 안내
한국문화정보원에서는 공공저작물 원본 파일을 방문수령 또는 저장장치 배송을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원본 신청 접수 완료 후 상세 수령 절차는 기입하신 이메일을 통해 안내 드립니다.
* 1일 이내 안내메일 발송(주말제외)
* 원본 저장 장치(USB, 외장하드 등)를 사전에 준비하셔야 하며 왕복 택배비는 신청자 부담입니다.
개인정보이용 동의 안내
한국문화정보원에서는 공공저작물 원본 관리 및 전달 등과 관련하여 귀하의 개인정보를 아래와 같이 수집하고자 합니다. 다음의 사항에 대해 충분히 읽어 보신 후, 동의 여부를 체크, 서명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개인정보 수집항목
- 기 업 : 기업명, 소속/부서
- 담 당 자 : 성명, 이메일 주소
- 일반 국민 : 성명, 이메일 주소
* 개인정보 수집목적
- 이용허가 및 저작권 이용관리
보유기간 : 수집된 정보는 3년간 보존하며, 수집된 정보는 수집 목적 이외의 다른 목적으로 사용되지 않습니다.
위의 개인정보 수집에 대한 동의를 거부할 권리가 있습니다. 그러나 동의를 거부할 경우 원활한 저작권 이용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원본신청안내 및 개인정보 수집동의
공공누리 이용 약관 및 개인 정보이용 동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