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군박물관_윤동신 명 각궁
3D
- 관련태그
- #육군사관학교 육군박물관 #궁시류 #궁시류 #윤동신 명 각궁
- 제공기관
-
- · 촬영연도 :
- · 촬영기관 : 육군사관학교 육군박물관
- · 소장기관 : 육군사관학교 육군박물관
- 공공누리 유형
-
육군사관학교 육군박물관이(가) 보유한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1유형: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 저작물 설명
-
1866년 병인양요 때 강화도에서 프랑스군에 의해 노획되었다가 경매를 통해 되찾은 전통 각궁이다. 활 안쪽에 ‘정미춘(丁未春) 강도장(江都藏)’이 쓰여 있고, ‘윤동신(尹東臣)’이 음각되었으며, 1866년의 연도와 프랑스어 문구가 적힌 종이가 부착되었다. 조선 후기의 사료를 통해 윤동신의 행적을 일부 살펴볼 수 있다. 1788년 9월 3일 임금이 융무당(隆武堂), 중일청(中日廳)에서 시사(試射, 활쏘기를 시험함)할 때 소포(小布, 무명 등으로 만든 과녁) 입격자 중 궁인(弓人) 윤동신(尹東臣)이 1발을 맞추어 전죽(箭竹) 100개를 하사 받았고, 유엽전(柳葉箭) 입격자 중 역시 궁인 윤동신이 변(邊)에 1발을 맞추어 상현궁(上弦弓) 1장을 수여했다(『일성록』 정조 12년 9월 3일 기사). 1792년 2월 21일 춘당대(春塘臺)에서 시사할 때에 유엽전(柳葉箭) 입격자 중 궁인 윤동신이 관(貫)에 1발, 변(邊)에 2발을 맞혀 곧바로 전시(殿試)에 응시할 자격을 주었다(같은 책, 정조 16년 2월 21일 기사). 또한 윤동신은 신축년(辛丑年)에 내궁방(內弓房, 활과 화살을 만든 왕실 관아)에 입속(入屬)한 궁인 신분으로 20년 이상 복역하며 수천 장의 활을 만들어 바치기도 하였다(『승정원일기』 순조 즉위년 12월 2일 기사). 이러한 기록에 보이는 윤동신이 이 활에 이름이 쓰여진 인물일 것으로 판단되며 활에 쓰여진 정미년은 1787년으로 추정된다
저작물 설명1866년 병인양요 때 강화도에서 프랑스군에 의해 노획되었다가 경매를 통해 되찾은 전통 각궁이다. 활 안쪽에 ‘정미춘(丁未春) 강도장(江都藏)’이 쓰여 있고, ‘윤동신(尹東臣)’이 음각되었으며, 1866년의 연도와 프랑스어 문구가 적힌 종이가 부착되었다. 조선 후기의 사료를 통해 윤동신의 행적을 일부 살펴볼 수 있다. 1788년 9월 3일 임금이 융무당(隆武堂), 중일청(中日廳)에서 시사(試射, 활쏘기를 시험함)할 때 소포(小布, 무명 등으로 만든 과녁) 입격자 중 궁인(弓人) 윤동신(尹東臣)이 1발을 맞추어 전죽(箭竹) 100개를 하사 받았고, 유엽전(柳葉箭) 입격자 중 역시 궁인 윤동신이 변(邊)에 1발을 맞추어 상현궁(上弦弓) 1장을 수여했다(『일성록』 정조 12년 9월 3일 기사). 1792년 2월 21일 춘당대(春塘臺)에서 시사할 때에 유엽전(柳葉箭) 입격자 중 궁인 윤동신이 관(貫)에 1발, 변(邊)에 2발을 맞혀 곧바로 전시(殿試)에 응시할 자격을 주었다(같은 책, 정조 16년 2월 21일 기사). 또한 윤동신은 신축년(辛丑年)에 내궁방(內弓房, 활과 화살을 만든 왕실 관아)에 입속(入屬)한 궁인 신분으로 20년 이상 복역하며 수천 장의 활을 만들어 바치기도 하였다(『승정원일기』 순조 즉위년 12월 2일 기사). 이러한 기록에 보이는 윤동신이 이 활에 이름이 쓰여진 인물일 것으로 판단되며 활에 쓰여진 정미년은 1787년으로 추정된다
- 다운로드
-
※ 3D 뷰어는 익스플로러에서는 재생되지 않습니다. 컴퓨터 사양에 따라 3D 뷰어 이용 및 고화질 대용량(20~30MB/장)사진 다운로드에 다소 시간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출처표시 예시
- 예시
01 -
본 저작물은 OOO(기관명)에서 OO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유형번호]유형으로 개방한 저작물명(작성자:OOO)을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OOO(기관명), OOO(홈페이지 주소)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위 내용은 예시이므로 작성연도 및 해당 기관명과 홈페이지 주소, 작성자명 기입
- 예시
02 -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유형번호]유형에 따라 [기관명(사이트 URL), 작성자:OOO]의 공공저작물을 이용하였습니다.
- 예시
03 -
* 출처 -[기관명], [사이트명(사이트상세 URL)]
유의사항
1. 온·오프라인 상에 공유 및 이용 : 온·오프라인을 통하여 공유 및 이용 가능
2. 저작물 변경 : 2차적 저작물로 변경하여 이용 가능
3. 이 저작물은 영리 목적으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물 사용 조건>- 출처 표시 : 저작물의 출처를 표시하셔야 합니다.
공공기관이 후원 한다고 하거나 공공기관과 특수한 관계에 있는 것처럼 제 3자가 오인하게 하는 표시를 해서는 안됩니다.
< 알아야 할 사항 >I. 이용조건의 표시 및 변경
1. 이용자가 공공누리 저작물 활용 시 출처표시를 꼭 해 주셔야 합니다.
2. 공공누리 저작물의 이용조건은 변경될 수 있습니다.
다만 이용자가 이용조건 변경 전 사용하셨다면 해당저작물 한해 용도변경 없이 계속 이용할 수 있습니다.
II. 이용조건의 위반1. 이용자가 공공누리 이용조건을 위반할 경우 그 즉시 이용허락이 종료됩니다.
2. 이용자가 이용조건 위반 후 지속적으로 공공저작물을 이용할 경우 저작권 침해가 성립되므로 형사상, 민사상 책임을 부담 하실 수 있습니다.
원본신청안내 및 개인정보 수집동의
고품질 공공저작물 원본 신청
공공누리에서 제공하는 공공저작물 중 공공누리 1유형은 출처표시만 한다면 영리, 비영리 목적으로 모두 활용 가능하며 개작 등 2차 변형이 가능하도록 무료로 개방하고 있습니다. 다만, 원활한 저작물 제공과 관리를 위해 아래와 같이 원본 이용 신청을 받고 있습니다.
원본 신청 파일 수령 안내
한국문화정보원에서는 공공저작물 원본 파일을 방문수령 또는 저장장치 배송을 통해 제공하고 있습니다. 원본 신청 접수 완료 후 상세 수령 절차는 기입하신 이메일을 통해 안내 드립니다.
* 1일 이내 안내메일 발송(주말제외)
* 원본 저장 장치(USB, 외장하드 등)를 사전에 준비하셔야 하며 왕복 택배비는 신청자 부담입니다.
개인정보이용 동의 안내
한국문화정보원에서는 공공저작물 원본 관리 및 전달 등과 관련하여 귀하의 개인정보를 아래와 같이 수집하고자 합니다. 다음의 사항에 대해 충분히 읽어 보신 후, 동의 여부를 체크, 서명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개인정보 수집항목
- 기 업 : 기업명, 소속/부서
- 담 당 자 : 성명, 이메일 주소
- 일반 국민 : 성명, 이메일 주소
* 개인정보 수집목적
- 이용허가 및 저작권 이용관리
보유기간 : 수집된 정보는 3년간 보존하며, 수집된 정보는 수집 목적 이외의 다른 목적으로 사용되지 않습니다.
위의 개인정보 수집에 대한 동의를 거부할 권리가 있습니다. 그러나 동의를 거부할 경우 원활한 저작권 이용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원본신청안내 및 개인정보 수집동의
공공누리 이용 약관 및 개인 정보이용 동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