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검색어

    검색어로 검색
    저작물 구분
    설명 보기:각 기관에서 제공해주신 원문DB 공공저작물로 바로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각 기관에서 제공해주신 원문DB 공공저작물로 바로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설명 보기: 각 기관 사이트에서 연계한 저작물로 기관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각 기관 사이트에서 연계한 저작물로 기관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소장기관
    이용조건
    소 1번 사진

    view2897 다운로드0
    관련태그
    #아악 #관악기 #문묘제례악
    공공누리 유형

    국립국악원이(가) 보유한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1유형: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3D 뷰어는 크롬 브라우저 및 파이어폭스에서만 보실수 있습니다. 컴퓨터 사양에 따라 3D 뷰어 이용 및 고화질 대용량(20~30MB/장)사진 다운로드에 다소 시간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상세설명

    • 촬영연도 : 2017
    • 촬영기관 : 국립국악원
    • 소장기관 : 국립국악원 바로가기
    • 원천유물설명 : 소(簫)는 고구려시대부터 현재까지 아악(雅樂)에 사용되는 관악기의 하나이다. 예전에는 여러 가지 아악에 쓰였으나 현재는 <문묘제례악(文廟祭禮樂)>에만 사용된다. 소에는 12율(律)에 따라서 12개의 관으로 된 것도 있고, 12율 4청성(十二律 四淸聲)을 낼 수 있는 16개의 관으로 된 것도 있으며, 24개의 관으로 된 것 등 그 종류가 많았으나, 현재 우리나라에서 쓰고 있는 소는 16개의 관으로 된 송나라의 봉소형(鳳簫形)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안악(安岳) 제3호 고분벽화와 만주 집안현(輯安縣)에 있는 통구 제17호 고분벽화에 3각형의 배소(排簫)의 그림이 있는 것으로 보아, 고구려시대에 고대 중국의 소가 쓰였음을 알 수 있다. 『고려사』권70에 의하면, 1114년(예종 9) 송나라 휘종(徽宗)에게서 받아온 신악기 중에 주칠(朱漆), 누금(縷金)으로 장식된 소 10면(面)이 있으며, 또한 1116년 송나라에서 받아온 대성아악(大晟雅樂)에도 소가 들어 있다. 『악학궤범』권6의 소조(簫條)는 <대성악보(大晟樂譜)>를 인용하여 봉소는 대나무로 만드는데 그 몸길이가 1척(尺)4촌(寸)이고, 16개의 관대가 있으며, 너비는 1척6푼(分)인데 납밀(蠟蜜)로 밑바닥을 채워 넣는다. 가(架, 틀)는 1척2촌이고 나무로 만든다. 제1관에서 제8관에 이르기까지의 관대 길이는 다시 제16관에서 제9관에 이르기까지의 관대 길이의 치수(寸數)와 같다고 하였다. 즉, 제1관(黃鐘)과 제16관(淸夾鐘)이 가장 길고, 제8관(林鐘)과 제9관(夷則)이 가장 짧으며, 제10관(南呂)부터 제16관(淸太簇)까지는 차례로 길어진다. 소를 만드는 법은 해죽(海竹)으로 관대(管)를 만들고 붉은 색칠을 한다. 지금 분촌의 수에 따라 율관에 맞추는 제도는 황종관(黃鐘管)에서부터 청협종관(淸夾鐘管)에 이르기까지 모두 밑바닥에 납밀을 넣어 율관에 맞춘다. 만약 소리가 높은 관대가 있으면 그 속의 납밀을 조금 빼내고, 소리가 낮으면 납밀을 조금 더 넣어서 음정을 조절한다. 가(틀)는 가목(假木)으로 만들고 검은 칠을 한다. 현재 쓰이고 있는 소는 16개의 관대가 모두 틀 속에 들어가도록 되어 있으나, 『악학궤범』의 소는 16개의 관대 아랫부분이 틀 아래쪽으로 나오도록 꽂혀 있는 점이 다르다. 소를 부는 법은 틀의 머리를 양손으로 잡되 취구가 앞쪽으로 되도록 하고, 취구에 아랫입술을 대고 음률에 따라서 한 관 한 관을 찾아서 김을 넣어 분다.
    • 활용설명 : 소는 현재 문묘제례악에서 사용되는 악기로 고구려시대부터 전통이 이어졌다. 국립국악원에 소장된 소의 형태를 그대로 활용하여 관광 기념품이나 전시와 관련된 복제품으로 제작한다. 소를 통해서 국악과 국악기에 대한 가치를 생각할 수 있으며, 관심을 갖는 계기가 될 것이다.

    출처표시 예시

    예시 1

    본 저작물은 OOO(기관명)에서 OO년 작성하여 공공누리 제[유형번호]유형으로 개방한 저작물명(작성자:OOO)을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OOO(기관명), OOO(홈페이지 주소) 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위 내용은 예시이므로 작성연도 및 해당 기관명과 홈페이지 주소, 작성자명 기입

    예시 2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유형번호]유형에 따라 [기관명(사이트 URL), 작성자:OOO]의 공공저작물을 이용하였습니다.

    예시 3

    * 출처 - [기관명], [사이트명(사이트상세 URL)]

    유의사항

    <이용자가 가지는 권리 >

    1. 온·오프라인 상에 공유 및 이용 : 온·오프라인을 통하여 공유 및 이용 가능

    2. 저작물 변경 : 2차적 저작물로 변경하여 이용 가능

    3. 이 저작물은 영리 목적으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물 사용 조건>

    - 출처 표시 : 저작물의 출처를 표시하셔야 합니다.

    공공기관이 후원 한다고 하거나 공공기관과 특수한 관계에 있는 것처럼 제 3자가 오인하게 하는 표시를 해서는 안됩니다.

    < 알아야 할 사항 >

    I. 이용조건의 표시 및 변경

    1. 이용자가 공공누리 저작물 활용 시 출처표시를 꼭 해 주셔야 합니다.

    2. 공공누리 저작물의 이용조건은 변경될 수 있습니다.

    다만 이용자가 이용조건 변경 전 사용하셨다면 해당저작물 한해 용도변경 없이 계속 이용할 수 있습니다.

    II. 이용조건의 위반

    1. 이용자가 공공누리 이용조건을 위반할 경우 그 즉시 이용허락이 종료됩니다.

    2. 이용자가 이용조건 위반 후 지속적으로 공공저작물을 이용할 경우 저작권 침해가 성립되므로 형사상, 민사상 책임을 부담 하실 수 있습니다.

    관련 저작물

    자세히 보기
    view2224 다운로드15
    자세히 보기
    view2025 다운로드17
    자세히 보기
    view2309 다운로드9
    자세히 보기
    view2802 다운로드81
    자세히 보기
    view2616 다운로드242
    자세히 보기
    view3335 다운로드170
    자세히 보기
    view2422 다운로드89
    자세히 보기
    view2527 다운로드212
    자세히 보기
    view2533 다운로드165
    자세히 보기
    view3852 다운로드78
    자세히 보기
    view2356 다운로드35
    자세히 보기
    view2264 다운로드33
    자세히 보기
    view2649 다운로드32
    자세히 보기
    view2725 다운로드353
    자세히 보기
    view2270 다운로드110
    자세히 보기
    view2324 다운로드858
    자세히 보기
    view2238 다운로드24
    자세히 보기
    view2177 다운로드21
    자세히 보기
    view2589 다운로드81
    자세히 보기
    view2285 다운로드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