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검색어

    나발 1번 사진

    나발

    view2973 다운로드0
    관련태그
    #나팔 #대취타 #농악 #관악기
    공공누리 유형

    국립국악원이(가) 보유한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1유형:출처표시 조건에 따라 이용 할 수 있습니다.

    3D 뷰어는 크롬 브라우저 및 파이어폭스에서만 보실수 있습니다. 컴퓨터 사양에 따라 3D 뷰어 이용 및 고화질 대용량(20~30MB/장)사진 다운로드에 다소 시간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상세설명

    • 촬영연도 : 2017
    • 촬영기관 : 국립국악원
    • 소장기관 : 국립국악원 바로가기
    • 원천유물설명 : 나발(喇叭)은 흔히 나팔이라고 하면 떠오르는 모양대로, 주둥이 쪽은 좁고 반대쪽은 넓어지는 형태의 금관악기이다. 교과서적으로 나발은 지공이 없어 선율을 내지 못하고 한 음만 낸다고 한다. 그러나 국악 연주자와 서양음악 연주자가 섞여 있는 군악대나 경찰악대 같은 데서, 호른이나 트럼펫 연주자가 장난삼아 국악기 나발로 자연배음(natural harmonics) 연주를 시도해 성공하는 경우가 심심찮게 있다. 나무로 만든 스위스의 알펜호른(Alpenhorn)도 이와 같이 자연배음을 낼 수 있다. 나발은 원천적으로 한 음만을 낼 수 있는 악기는 아니고, 한국음악에서 굳이 자연배음을 내지 않고 한 음만 내는 쪽으로 특화 또는 퇴화한 셈이다. 농악의 나발은 지역에 따라 오동나무나 대나무 등으로도 만들었고 길이에 따라 대각(大角), 중각(中角), 소각(小角)으로 분류하기도 했다. 하지만 현재는 대부분 엇비슷한 길이의 놋쇠로 된 나발을 쓴다. <대취타(大吹打)>와 농악 등으로 쓰임이 축소된 데 비해 명칭은 각(角), 땡가리, 땡각, 영각, 고동, 목고동 등으로 다양하다. 호른과 트럼펫류 악기의 기원은 세계 거의 모든 지역에 분포하는 뿔나팔이다. 한국의 나발도 각(角, 뿔)이라는 명칭에서 보듯 처음에는 뿔나팔이 주를 이루었고, 놋쇠 나발이 일상화된 뒤에도 타성적으로 나발수를 취각군(吹角軍)이나 취각수(吹角手) 등으로 부르기 일쑤였다. 나발의 전신인 뿔나팔은 고분벽화의 행렬도에서 확인할 수 있다. 고구려 안악3호분 벽화에는 대각을 연주하는 인물이 보인다. 『고려사(高麗史)』, 『악학궤범(樂學軌範)』 등 본격적인 음악 저서들에서는 나발을 정식 악기로 다루지 않았다. 그보다는 주로 군대나 의장(儀仗) 관련 문헌들에서 나발에 관한 정보를 더 많이 찾을 수 있다. 1795년 정조 의 화성(華城) 행차를 기록한 『원행을묘정리의궤(園行乙卯整理儀軌)』의 반차도에서는 대각수와 나발수가 함께 편성되어 있다. 국왕이 친히 군대를 사열하고 훈련시키는 대열(大閱)의 절차를 정한 <대열의주(大閱儀注)>에도 “군령을 내릴 때는 대각을 불어 경계하게 하며, 싸움에서는 소각을 불되, 진퇴(進退)를 알릴 때는 대각을 급하게, 교전을 알릴 때는 소각을 급하게 분다”라는 식의 상세한 규정이 있다. 19세기 말 서구식 군대와 군악대가 도입되면서 군영에서 나발을 사용할 일이 없게 되어, 나발은 현재 전통음악인 <대취타>와 복원 행사, 일부 농악 등에서만 연주된다. 국립국악원 <대취타>에 쓰이는 나발은 길이 약 120㎝, 지름 15㎝, 마우스피스의 지름은 약 3㎝이다. 세 토막(혹은 두 토막)으로 나뉜 관을 접어 넣으면 그 길이는 약 60㎝이다. 몸체의 길이가 규격화되어 있지 않아서 음고가 악기마다 약간씩 다르다.
    • 활용설명 : 나발의 형태를 그대로 사용하여 관광기념품이나 전시와 관련된 복제품으로 제작한다. 나팔을 연상시키는 형태로 재현된 상품을 직접 연주할 수도 있다. 나발을 통해서 국악과 국악기에 대한 가치를 생각하고 국악기에 대한 인지도를 높일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다.

    출처표시 예시

    예시 1

    본 저작물은 OOO(기관명)에서 OO년 작성하여 공공누리 제[유형번호]유형으로 개방한 저작물명(작성자:OOO)을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OOO(기관명), OOO(홈페이지 주소) 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위 내용은 예시이므로 작성연도 및 해당 기관명과 홈페이지 주소, 작성자명 기입

    예시 2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유형번호]유형에 따라 [기관명(사이트 URL), 작성자:OOO]의 공공저작물을 이용하였습니다.

    예시 3

    * 출처 - [기관명], [사이트명(사이트상세 URL)]

    유의사항

    <이용자가 가지는 권리 >

    1. 온·오프라인 상에 공유 및 이용 : 온·오프라인을 통하여 공유 및 이용 가능

    2. 저작물 변경 : 2차적 저작물로 변경하여 이용 가능

    3. 이 저작물은 영리 목적으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저작물 사용 조건>

    - 출처 표시 : 저작물의 출처를 표시하셔야 합니다.

    공공기관이 후원 한다고 하거나 공공기관과 특수한 관계에 있는 것처럼 제 3자가 오인하게 하는 표시를 해서는 안됩니다.

    < 알아야 할 사항 >

    I. 이용조건의 표시 및 변경

    1. 이용자가 공공누리 저작물 활용 시 출처표시를 꼭 해 주셔야 합니다.

    2. 공공누리 저작물의 이용조건은 변경될 수 있습니다.

    다만 이용자가 이용조건 변경 전 사용하셨다면 해당저작물 한해 용도변경 없이 계속 이용할 수 있습니다.

    II. 이용조건의 위반

    1. 이용자가 공공누리 이용조건을 위반할 경우 그 즉시 이용허락이 종료됩니다.

    2. 이용자가 이용조건 위반 후 지속적으로 공공저작물을 이용할 경우 저작권 침해가 성립되므로 형사상, 민사상 책임을 부담 하실 수 있습니다.